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량색소를 첨가한 1제형 산성염모제 제조에 의한 염색력 연구 = Study on dyeing power pursuant to production of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acidic hairdye to utilize a kaoliang pig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60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anufacture of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acidic hairdye among various hairdyes. this study is aimed not only at grasping dying power of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acidic hairdye and PH necessary for surely in case of manufacturing of hairdye by dyeing sample with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acidic hairdye that has been produced by adding ingredient content that can improve dyeing power of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acidic hairdye after adding a kaoliang pigment as a ingredient of natural pigment, In research methods, we have searched for brightness index L* as a color tone value and chromaticity index, a*- b* value and dye uptake(K/S) after we produced a hairdye and dried naturally for 20 minutes, again 40 minutes, and treat by heating for 10 minutes and treated to leave a hairdye as it is naturally.
      Result that we hav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L*, a*, b*value of kaoliang pigment as a natural pigment (colorant) and K/S value is satisfactory as an ingredient of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hairdye, because dyeing power is not only more excellent than untreated hair, but also dyeing power is much more excellent in case of heat treatment than in case of treatment to leave a hairdye as it is naturally when a person dyes his hair. We could have grasped that (it is) not that dyeing power heighten more because of addition of more pigment dissolvent (dissolving agent), (it is) but that dyeing power heighten when pigment dissolvent is mixed up with pigment content at a proper rate.
      번역하기

      In manufacture of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acidic hairdye among various hairdyes. this study is aimed not only at grasping dying power of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acidic hairdye and PH necessary for surely in case of manufacturing of hairdye b...

      In manufacture of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acidic hairdye among various hairdyes. this study is aimed not only at grasping dying power of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acidic hairdye and PH necessary for surely in case of manufacturing of hairdye by dyeing sample with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acidic hairdye that has been produced by adding ingredient content that can improve dyeing power of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acidic hairdye after adding a kaoliang pigment as a ingredient of natural pigment, In research methods, we have searched for brightness index L* as a color tone value and chromaticity index, a*- b* value and dye uptake(K/S) after we produced a hairdye and dried naturally for 20 minutes, again 40 minutes, and treat by heating for 10 minutes and treated to leave a hairdye as it is naturally.
      Result that we hav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L*, a*, b*value of kaoliang pigment as a natural pigment (colorant) and K/S value is satisfactory as an ingredient of the first formulated type of hairdye, because dyeing power is not only more excellent than untreated hair, but also dyeing power is much more excellent in case of heat treatment than in case of treatment to leave a hairdye as it is naturally when a person dyes his hair. We could have grasped that (it is) not that dyeing power heighten more because of addition of more pigment dissolvent (dissolving agent), (it is) but that dyeing power heighten when pigment dissolvent is mixed up with pigment content at a proper ra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량색소을 첨가항여 염모제 종류 중 1제형인 산성염모제를 제조하는데 있어 천연색소 성분인 고량 색소를 첨가하여, 염색력이 가장 높을 때의 조성을 알기위해 pH, 색소용해제를 첨가하여 염모제를 제조하여 시료에 도포하여 1제형 염모제의 염색력을 알고, 염모제로서의 기능이 가능한지를 연구하고, 천연색소를 이용한 염모제 제조에 있어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염모제를 제조하여 자연건조 20, 자연건조 40, 열처리 10, 열처리 20분 방치처리한 후 CIELAB 표색계의 색상 값인 명도지수 L*과 색좌표 지수인 a*와 b*값 과 염착량(K/S) 을 구하였다.
      결과 천연색소인 고량색소가 L * a * b 값과 K/S값을 비교분석한 결과 미처리모보다 염색력이 우수하여 1제형 염모제의 성분으로 충분하며 염색시술시 자연방치 보다는 열처리 시 염색력이 우수하고, 색소용해제를 많이 첨가한다고 하여 염색력이 높아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어 색소용해제는 색소함량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할 때 염색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량색소을 첨가항여 염모제 종류 중 1제형인 산성염모제를 제조하는데 있어 천연색소 성분인 고량 색소를 첨가하여, 염색력이 가장 높을 때의 조성을 알기위해 pH, 색소용해제를 ...

      본 연구는 고량색소을 첨가항여 염모제 종류 중 1제형인 산성염모제를 제조하는데 있어 천연색소 성분인 고량 색소를 첨가하여, 염색력이 가장 높을 때의 조성을 알기위해 pH, 색소용해제를 첨가하여 염모제를 제조하여 시료에 도포하여 1제형 염모제의 염색력을 알고, 염모제로서의 기능이 가능한지를 연구하고, 천연색소를 이용한 염모제 제조에 있어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염모제를 제조하여 자연건조 20, 자연건조 40, 열처리 10, 열처리 20분 방치처리한 후 CIELAB 표색계의 색상 값인 명도지수 L*과 색좌표 지수인 a*와 b*값 과 염착량(K/S) 을 구하였다.
      결과 천연색소인 고량색소가 L * a * b 값과 K/S값을 비교분석한 결과 미처리모보다 염색력이 우수하여 1제형 염모제의 성분으로 충분하며 염색시술시 자연방치 보다는 열처리 시 염색력이 우수하고, 색소용해제를 많이 첨가한다고 하여 염색력이 높아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어 색소용해제는 색소함량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할 때 염색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순, "퍼머넌트 웨이브 및 헤어컬러링" 청구문화사 89-97, 1995

      2 김영숙, "천연염색에 의한 모발의발색도구" 1 (1): 32-, 2005

      3 박미선, "천연색소 추출 공정의 추출 용매 조성에 의한 색차 효과" 한국공업화학회 13 (13): 844-851, 2002

      4 최원준, "아세틸 시스테인을 원료로 한 환원제의 웨이브 효율성에 관한 연구" 2 (2): 18-22, 2006

      5 권경옥, "신화장품화학" 동화출판 70-91, 1994

      6 최정숙, "손상모발의 염색 후 무색 헤어매니큐어 관리시점에 따른 형태적 변화" 5 (5): 5-11, 2007

      7 김주섭, "HaircoloringMate"

      1 김경순, "퍼머넌트 웨이브 및 헤어컬러링" 청구문화사 89-97, 1995

      2 김영숙, "천연염색에 의한 모발의발색도구" 1 (1): 32-, 2005

      3 박미선, "천연색소 추출 공정의 추출 용매 조성에 의한 색차 효과" 한국공업화학회 13 (13): 844-851, 2002

      4 최원준, "아세틸 시스테인을 원료로 한 환원제의 웨이브 효율성에 관한 연구" 2 (2): 18-22, 2006

      5 권경옥, "신화장품화학" 동화출판 70-91, 1994

      6 최정숙, "손상모발의 염색 후 무색 헤어매니큐어 관리시점에 따른 형태적 변화" 5 (5): 5-11, 2007

      7 김주섭, "HaircoloringMat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8-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주식회사 진셀팜 -> 한국피부과학연구원
      영문명 : Korea Institute for Skin and Clinical Sciences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KCI등재
      2016-04-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Society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60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