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갯개미자리(Spergularia marina Griseb)의 염농도에 따른 발아 및 생장 반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01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서남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갯개미자리의 염농도에 따른 발아와 생장반응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다. 1.갯개미자리의 염농도 및 온도별 발아율을 ...

      본 연구는 한국 서남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갯개미자리의 염농도에 따른 발아와 생장반응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다. 1.갯개미자리의 염농도 및 온도별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NaCl 0~1.0%에서는 15℃에서 발아율이 90% 이상으로 높았고, NaCl 2.0%에서는 모든 온도에서 발아가 되지 않았다. NaCl 0%에서 발아율은 10℃에서 20℃까지는 90% 이상을 보였지만, 25℃에서는 51.7%로 급격히 낮아졌다. 또한 15℃에서 NaCl 농도별 발아율이 80% 이상 되는 시기는 NaCl 0%와 0.3%에서는 5일, NaCl 0.5%에서는 7일, NaCl 1%에서는 9일이었고, NaCl 2%에서는 발아하지 못하였다.2.염농도별로 8주 동안 양액재배한 결과, 염농도가 NaCl 0, 50, 100, 200, 300, 400 mM에서는 NaCl 50 mM 처리구가 초장 12.5 cm, 건물중 0.73 g로 생장이 가장 좋았다. 또한 해수 0, 12.5, 25, 50, 100%에서는 해수 12.5% 처리구가 초장 20.9 cm, 건물중 0.72 g으로 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이들 염농도는 모두 NaCl 0.3% 수준이었다.3.염농도에 따른 무기성분 함량은 NaCl 농도가 높을수록 Na+ 함량은 높아졌지만, K+과 Ca+, Mg+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Na+ 함량과 K+ 함량이 대조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들은 NaCl 50 mM에서 함량이 급격히 변화한 다음 NaCl 400 mM까지 완만한 함량 변화를 보였다. 4.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갯개미자리는 안정적인 발아를 위해 NaCl 1.0% 이하에서 15℃ 유지가 필요하고 재배에서는 NaCl 0.3% 수준이 적정 염농도로 생각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and growth response by Salinitie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grown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in South Korea. The germination was investigated for 10 days at temperature 10℃, 15℃, 2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and growth response by Salinitie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grown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in South Korea. The germination was investigated for 10 days at temperature 10℃, 15℃, 20℃, 25℃ in order to examine the germination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by NaCl concentration 0.0, 0.3, 0.5, 1.0, 2.0%. The germination of NaCl concentration 0.0~1.0% was 90% over at 15℃ treatment, but the germination of NaCl concentration 2.0% was 0% at all temperature treatments. To identify the growth response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according to the salinity, Spergularia marina Griseb was cultivated for 8 weeks in Hoagland culture medium and sea water. In nutrient solution culture, growth was best in NaCl 50mM among 0∼400 mM concentrations and in 0, 12.5, 25, 50, 100% of sea water, growth was best in 12.5% (dilution ratio with fresh water) treatment. Spergularia marina Griseb’s inorganic component contents according to salinity showed that Na+ content increased, but contents of K+, Ca+, Mg+ decreased. As a result, appropriate condition for Spergularia marina Griseb’s germination is considered to be maintained at 15℃ and in less than NaCl 1.0% of salinity. When nutrient solution culture, NaCl 0.3% of treatment level is considered to be the optimum salin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북구, "전남 서부 해안가에서 생산되는 세발나물의 유통실태, 이화학적 성분 및 생리활성"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181-191, 2009

      2 서영완, "염생식물로부터 Peroxynitrite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한국생물공학회 19 (19): 57-61, 2004

      3 남유경, "염분농도에 따른 나문재, 해홍나물, 퉁퉁마디의 생장반응" 한국토양비료학회 40 (40): 349-353, 2007

      4 심현보, "경기만 연안지역의 염생식물 분포" 한국환경생물학회 20 (20): 4-34, 2002

      5 정재혁, "간척지에서 퉁퉁마디 재배시 적정 염농도 및 질소시비량 구명"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5 (25): 62-67, 2013

      6 Min, B. M., "Vegetat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20 : 167-178, 1998

      7 Okusanya, O. T., "The growth and mineral composition of three species of Spergularia as affected by salinity and nutrients at high salinity" 71 (71): 439-447, 1984

      8 Erdei, L., "The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action content, Na+-uptake and translocation in salt-sensitive and salt-tolerant" 47 : 95-99, 1979

      9 Ungar, I. A., "The effct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Hordeum jubatum" 52 : 1357-1362, 1974

      10 W. Hogan, "Seed germination in Iva annua" 51 : 150-154, 1970

      1 허북구, "전남 서부 해안가에서 생산되는 세발나물의 유통실태, 이화학적 성분 및 생리활성"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181-191, 2009

      2 서영완, "염생식물로부터 Peroxynitrite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한국생물공학회 19 (19): 57-61, 2004

      3 남유경, "염분농도에 따른 나문재, 해홍나물, 퉁퉁마디의 생장반응" 한국토양비료학회 40 (40): 349-353, 2007

      4 심현보, "경기만 연안지역의 염생식물 분포" 한국환경생물학회 20 (20): 4-34, 2002

      5 정재혁, "간척지에서 퉁퉁마디 재배시 적정 염농도 및 질소시비량 구명"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5 (25): 62-67, 2013

      6 Min, B. M., "Vegetat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20 : 167-178, 1998

      7 Okusanya, O. T., "The growth and mineral composition of three species of Spergularia as affected by salinity and nutrients at high salinity" 71 (71): 439-447, 1984

      8 Erdei, L., "The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action content, Na+-uptake and translocation in salt-sensitive and salt-tolerant" 47 : 95-99, 1979

      9 Ungar, I. A., "The effct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Hordeum jubatum" 52 : 1357-1362, 1974

      10 W. Hogan, "Seed germination in Iva annua" 51 : 150-154, 1970

      11 Lee, B. M., "Physiological response on saline tolerance between halophytes and glycophytes" 18 (18): 61-65, 1999

      12 Flowers, T. J., "Halophytes, The quarterly review of biology" 61 (61): 313-337, 1986

      13 Lee, S. G., "Effects of salt stress on phytosynthesis, free proline content and ion content in tobacco" 17 : 215-215, 1998

      14 Kim, C. S.,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e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Korea" 6 (6): 167-176, 1983

      15 이재준, "Blanching에 따른 세발나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866-872, 2012

      16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Analytical methods of soil and plan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9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