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고와 객관적 증빙을 이용한 상표자산화  :  상표확대전략에의 시사점 Implications for Brand Extension Strategy = Building Brand Equity Through Advertising and Evidence Uti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867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의 주요 정보원인 광고와 공공기간에서 제공하는 상품평가에 관
      한 객관적 증빙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고 브랜드에 대한 지각을
      구조화시키는가를 보였다. 또한 브랜드 자산을 상표확대에 이전시키는데 있어 한계
      점 을 고찰하였다.

      한 브랜드의 경쟁우위적 강점 기반이 특정속성과 연관되었을 때, 이 속성과 관련
      이 필은 제품 범주로만 상표확대가 가능하였다. 한 브랜드가 전반적인 이미지에서
      강점을 가질수록 더 넓은 제품범주로 상표확대가 가능하나 속성에 입각한 상표확대
      보다는 그 효과가 강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상표확대에 대한
      이론적이며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 ABSTRACT >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perceptual
      framing, and the limitations of brand extension by providing advertising and objective
      evidence. The results suggest that brand equity based on advertising and evidence
      influences consumers' evaluation of a brand extension. If the basis for a brand's
      competitive advantage is closely tied to a particular attribute, its ability to capitalize on
      the advantage through brand extension is likely to be limited to products that share the
      same basis for competition. A more general image is likely to transfer more widely to
      unrelated product categories, but provides less leverage in relevant product categories
      with a more or less limited impact on brand extension. Further, this study show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brand extension in relation to advertising and
      evidence.
      번역하기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의 주요 정보원인 광고와 공공기간에서 제공하는 상품평가에 관 한 객관적 증빙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고 브랜드에 대한 지각을 구조화시키...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의 주요 정보원인 광고와 공공기간에서 제공하는 상품평가에 관
      한 객관적 증빙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고 브랜드에 대한 지각을
      구조화시키는가를 보였다. 또한 브랜드 자산을 상표확대에 이전시키는데 있어 한계
      점 을 고찰하였다.

      한 브랜드의 경쟁우위적 강점 기반이 특정속성과 연관되었을 때, 이 속성과 관련
      이 필은 제품 범주로만 상표확대가 가능하였다. 한 브랜드가 전반적인 이미지에서
      강점을 가질수록 더 넓은 제품범주로 상표확대가 가능하나 속성에 입각한 상표확대
      보다는 그 효과가 강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상표확대에 대한
      이론적이며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 ABSTRACT >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perceptual
      framing, and the limitations of brand extension by providing advertising and objective
      evidence. The results suggest that brand equity based on advertising and evidence
      influences consumers' evaluation of a brand extension. If the basis for a brand's
      competitive advantage is closely tied to a particular attribute, its ability to capitalize on
      the advantage through brand extension is likely to be limited to products that share the
      same basis for competition. A more general image is likely to transfer more widely to
      unrelated product categories, but provides less leverage in relevant product categories
      with a more or less limited impact on brand extension. Further, this study show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brand extension in relation to advertising and
      evid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 머 리 말
      • II. 광고(Advertising)와 객관적 증빙(Evidence)
      • 1. 광고의 헝태 (Types of Advertising)
      • 2. 객관적 증빙의 형태 (Types of Evidence)
      • III. 광고, 객관적증빙, 그리고 확장상표평가와의 관계
      • I . 머 리 말
      • II. 광고(Advertising)와 객관적 증빙(Evidence)
      • 1. 광고의 헝태 (Types of Advertising)
      • 2. 객관적 증빙의 형태 (Types of Evidence)
      • III. 광고, 객관적증빙, 그리고 확장상표평가와의 관계
      • 1. 가설 1-1
      • 2. 가설 1-2
      • 3. 가설 2
      • IV. 연구방법
      • 1. 광고
      • 2. 객관적 증빙
      • 3. 상표확대
      • 4. 실험절차
      • 5. 척도
      • V. 실증분석결과
      • VI. 결론 및 토의
      • 1. 이론적 측면
      • 2. 관리적 측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