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맥>은 전체 10권으로 구성된 다권본(多卷本)으로는 처음으로 200쇄를 돌파하는 대중적 성공을 이룬 작품이다. 본고는 작품의 이러한 대중적 성공 요인에 주목한다. 먼저 문학 작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59989
2011
-
미시사 ; 거시사 ; 우연 ; 기억 ; 심성 ; microscopic history ; macroscopic history ; accidental ; recollection ; nature
810
KCI등재
학술저널
323-351(2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태백산맥>은 전체 10권으로 구성된 다권본(多卷本)으로는 처음으로 200쇄를 돌파하는 대중적 성공을 이룬 작품이다. 본고는 작품의 이러한 대중적 성공 요인에 주목한다. 먼저 문학 작품...
<태백산맥>은 전체 10권으로 구성된 다권본(多卷本)으로는 처음으로 200쇄를 돌파하는 대중적 성공을 이룬 작품이다. 본고는 작품의 이러한 대중적 성공 요인에 주목한다. 먼저 문학 작품의 대중적 성공은 작품이 시대와 독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부합될 때 가능한 결과일 것이다. <태백산맥>이 창작·완간되었던 80년대는 일본에 의한 식민지, 해방, 해방 후 발생한 이데올로기 관련 사건들, 전쟁, 독재정치와 같은 이 땅의 내재된 문제들이 민주화에 대한 요구와 함께 사회적으로 표출되던 시기였다. 이 점은<태백산맥>의 등장시기와 대중적 호응이 무관하지 않음을 추론가능케 한다. 하지만 <태백산맥>의 대중적 성공이 단순히 시대적 문제와 결부된 것이라면 작품이 완간 후 2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하는 데 대한 적절한 답이 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태백산맥>의 대중적 성공의 요인이 시대적 요구에 대한 적절한 부합과 더불어 역사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해명에 있어서 정당성을 얻음으로서 독자의 요구에 부합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고 본다. 인간의 생활이 모든 예술의 근원임에는 이론(異論)이 있을 수 없는 것인바, <태백산맥>은 인간 생활의 형상화를 통해 역사를 읽어내어야 하는 역사소설로써의 미덕을 지녔다 할 것이다. 인간의 생활이란 문학작품에 형상되는 개인들의 삶이 다양한 경로에 의해 얽히고설키며 시·공간 속을 변주해가는 모습에 대한 커다란 시각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생활이라는 큰 시각을 구성하는 요소는 개인이라는 존재이다. 기존의 역사적 관점에 의하면 개인이란 역사와 상반된 의미로 이해되어 왔다. 개인과 개인의 만남, 우연에 의한 변화, 기억, 개인의 심성에 내재된 다양한 지표들은 역사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하위역사 혹은 주관적 요소 인식되었다. 기존 실증적 역사는 역사의 주체인 인간을 역사라는 과제 해명을 통해 적절하게 구현해내지 못했다 할 것이다. 본고는 <태백산맥>이 개인의 삶을 형상화함으로써 기존 역사에 대항한다고 본다. 또한 본고는 개인과 역사의 의미를 읽는데 있어서 미시사를 사용하고자 한다. 미시사는 개인과 역사의 문제를 해명하는 데 있어서 적절한 방법론이 될 것이다. 역사소설은 역사서가 될 수 없다. 하지만 역사소설은 인간의 생활이라는 요소를 적절하게 살려냄으로써 기존 역사의 거시사적 관점을 교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역사란 단순히 결과론적인 계량화가 아닐 것이다. 역사의 주체가 언제나 인간이라는 점에서 역사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그 본질로 삼아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aebaek Mountains consisting a set of 10 volumes is the first to exceed 200th printings, and has achieved popular success. This article takes notice of the factors of popular success this literary work carries. First of all, the popular hit of a l...
The Taebaek Mountains consisting a set of 10 volumes is the first to exceed 200th printings, and has achieved popular success. This article takes notice of the factors of popular success this literary work carries. First of all, the popular hit of a literary work can be attributed to proper correspondence with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 readers. In 1980s when The Taebaek Mountains was created and completed, socially expressed and manifested were such inherent issues of this country as Japanese forced occupation, liberation, post-liberation incidents related with ideology, the Korean War, and dictatorship along with the demands for democratization. At this point,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 introduction time of The Taebaek Mountains matched the public positive response. However, if one says that such popular success of the work is only connected with periodic issues, one cannot answer why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rank as a steady seller for 20 yea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iece.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popular success of the work derive not only from the proper meeting of demands of the times, but also from appropriate correspondence to the demands of readers through gaining of justifiable explan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men. As there cannot be a different view that everyday life of a man is base of all arts, The Taebaek Mountains has a virtue of historical novel through vivid figuration of human life and its contemporary history. Everyday life of man is a great view that an individual life is figured in a literary work playing variations along in time and space entangled through various courses. An individual entity is the basic composite element in a great view of so-called human life. According to the existing historical view, an individual is understood as a meaning contrary to history. Encounter between individuals, accidental changes, recollection, and a variety of indicators inbuilt within one's nature were all recognized as a marginal sub-history surrounding a history or subjective factors. Historic demand for empirical measure has not properly realized a man as a agent of history through illustration of his history. Accordingly this paper understands that The Taebaek Mountains confronts the existing history through figuration of an individual. Moreover, this article uses microscopic method to comprehend the historic meaning of an individual. Microscopic research method will be the right and proper way to explain the issues involving an individual and history. A historic novel cannot be a history. Nevertheless, a historic novel can play a role in correcting historic books by suitably reviving everyday life of a man. History could not be just quantifiable results. In that a man is always put as a main agent of history, the comprehending of man as a base of history is crucial in discussing history. In conclusion, popular success of The Taebaek Mountains has a great relevancy with a tremendous appeal to the readers in respect to both the inquisitiveness about issues of man and history presented in the work and their precise figur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천이두, "한의 구조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3
2 Bruce Cumings,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86
3 황영식, "한국일보, <소설 태백산맥 “이적성 검토”논란>, 1991. 4. 11"
4 이왕구, "한국일보, <민족통일 위해 남북 모두 화해노력 이성 찾아야>, 2009. 3. 3"
5 이충재, "한국일보, <검경, 소설 「태백산맥」 수사 “곤혹”>, 1994. 4. 23"
6 김동훈, "한겨레, <‘태백산맥’ 작가 조정래씨 무혐의 처리키로>, 2005. 3. 28"
7 김기봉,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역사 2008
8 "판도라TV, <인물코리아-조정래편>, 2008. 1. 1"
9 조정래, "태백산맥 1-10" 해냄 2010
10 육영수, "치유의 역사학으로: 라카프라의 정신분석학적 역사학" 푸른역사 2008
1 천이두, "한의 구조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3
2 Bruce Cumings,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86
3 황영식, "한국일보, <소설 태백산맥 “이적성 검토”논란>, 1991. 4. 11"
4 이왕구, "한국일보, <민족통일 위해 남북 모두 화해노력 이성 찾아야>, 2009. 3. 3"
5 이충재, "한국일보, <검경, 소설 「태백산맥」 수사 “곤혹”>, 1994. 4. 23"
6 김동훈, "한겨레, <‘태백산맥’ 작가 조정래씨 무혐의 처리키로>, 2005. 3. 28"
7 김기봉,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역사 2008
8 "판도라TV, <인물코리아-조정래편>, 2008. 1. 1"
9 조정래, "태백산맥 1-10" 해냄 2010
10 육영수, "치유의 역사학으로: 라카프라의 정신분석학적 역사학" 푸른역사 2008
11 황남준, "전남지방정치와 여순사건, In 해방전후사의 인식3" 한길사 413-494,
12 박태호, "역사의 공간" 휴머니스트 2010
13 강만길, "역사가의 시간" 창비 2010
14 김응종, "아날학파의 역사세계" 아르케 2002
15 허경진, "삼국유사" 한길사 2006
16 곽차섭,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7
17 심지연, "대구10월항쟁연구" 청계연구소 1991
18 오연호, "노근리 그후" 월간말 1991
19 나경수, "남도 민속의 세계" 민속원 2005
20 조정래, "나의 창작교실" 실천문학사 43 : 238-249,
21 권영민, "太白山脈 다시읽기" 해냄 2006
22 한국역사민속학회, "南滄 손진태의 역사민속학연구" 민속원 2003
23 이의범, "事實과 史實 왜곡한 ≪太白山脈≫" 60 : 34-40,
24 이영준, "‘太白山脈’과 趙廷來를 구속하라" 83 : 128-136,
25 Lucien Febvre, "16세기 무신앙문제:라블레의 종교" 지만지고전천줄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0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1 | 0.739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