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인천지역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Job Stress Factors among Firefighters and Their Priority: The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Fire S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3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화재진압과 구조・구급, 그리고 재난 분야에서 활동하는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정리하고 이들 요인들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현 소방공무원 중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기법을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동일한 소방공무원이라도 직종에 따라 우선순위가 다소 차이가 있지만 종합적으로 살펴 볼 때 직무의 위험성, 2교대근무제가 가장 중요한 유발요인으로 나타났다. 이하 순위를 보면 불편한 인간관계와 대기태세의 긴장, 직무지식 및 기술의 부족, 사회생활애로, 역할 어려움, 개인 성격, 인사 공정성 부족, 교육 및 훈련 부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스트레스 해소대안으로서는 최신 안전장비의 구비와 개인지급, 전국적인 규모의 화상전문의를 보유한 차별성을 가진 국립소방병원의 건립, 그리고 3교대 근무제의 시행 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화재진압과 구조・구급, 그리고 재난 분야에서 활동하는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정리하고 이들 요인들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현 소방공무...

      이 논문은 화재진압과 구조・구급, 그리고 재난 분야에서 활동하는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정리하고 이들 요인들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현 소방공무원 중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기법을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동일한 소방공무원이라도 직종에 따라 우선순위가 다소 차이가 있지만 종합적으로 살펴 볼 때 직무의 위험성, 2교대근무제가 가장 중요한 유발요인으로 나타났다. 이하 순위를 보면 불편한 인간관계와 대기태세의 긴장, 직무지식 및 기술의 부족, 사회생활애로, 역할 어려움, 개인 성격, 인사 공정성 부족, 교육 및 훈련 부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스트레스 해소대안으로서는 최신 안전장비의 구비와 개인지급, 전국적인 규모의 화상전문의를 보유한 차별성을 가진 국립소방병원의 건립, 그리고 3교대 근무제의 시행 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l kinds of jobs have peculiar stresses. Different kinds of jobs have different types and weight of stress. This study debates the job stress priority of firefighters who work in firefighting, emergency rescue, and disaster response empirically using the AHP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wo important stressors, that is, job danger and a shift system of working 24 hours and then being off 24 hours. Others include uncomfortable human relations, tension preparing, insufficient job and technology knowledge, social relations problems, role difficulty, personality hardships, unfairness of promotion, and insufficient learning and training.
      These results suggest providing up-to-date equipment to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building special national hospitals for burns, and implementing a three-shift system as urgent desirable alternatives for reducing or relieving these stressors.
      번역하기

      All kinds of jobs have peculiar stresses. Different kinds of jobs have different types and weight of stress. This study debates the job stress priority of firefighters who work in firefighting, emergency rescue, and disaster response empirically using...

      All kinds of jobs have peculiar stresses. Different kinds of jobs have different types and weight of stress. This study debates the job stress priority of firefighters who work in firefighting, emergency rescue, and disaster response empirically using the AHP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wo important stressors, that is, job danger and a shift system of working 24 hours and then being off 24 hours. Others include uncomfortable human relations, tension preparing, insufficient job and technology knowledge, social relations problems, role difficulty, personality hardships, unfairness of promotion, and insufficient learning and training.
      These results suggest providing up-to-date equipment to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building special national hospitals for burns, and implementing a three-shift system as urgent desirable alternatives for reducing or relieving these stress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성완, "하위직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도시과학대학원 2006

      2 박정선,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고려의학사 2005

      3 안성률, "정부조직변화에 따른 변화저항과 직무태도 연구: 소방방재청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2005

      4 오수정, "원자력발전소 근무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05

      5 유기현, "스트레스관리" 무역경영사 1997

      6 김성곤,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중・하위직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유발 요인의 발굴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02

      7 문유석,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환경적 유발요인"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119-141, 2011

      8 박경효, "소방공무원의 근무환경 실태와 개선방안: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15 (15): 60-78, 2002

      9 노경환, "소방 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대하교 2005

      10 류종천, "교도관들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피로도 및 관련 요인" 계명대학교 2004

      1 강성완, "하위직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도시과학대학원 2006

      2 박정선,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고려의학사 2005

      3 안성률, "정부조직변화에 따른 변화저항과 직무태도 연구: 소방방재청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2005

      4 오수정, "원자력발전소 근무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05

      5 유기현, "스트레스관리" 무역경영사 1997

      6 김성곤,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중・하위직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유발 요인의 발굴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02

      7 문유석,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환경적 유발요인"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119-141, 2011

      8 박경효, "소방공무원의 근무환경 실태와 개선방안: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15 (15): 60-78, 2002

      9 노경환, "소방 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대하교 2005

      10 류종천, "교도관들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피로도 및 관련 요인" 계명대학교 2004

      11 김병섭, "공무원의 복지부동과 직무 몰입도: 동기이론 및 스트레스이론을 중심으로" 28 (28): 1994

      12 하미승, "공무원 직무스트레스의 유발요인 및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1 (11): 214-245, 2002

      13 이도조,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사기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단국대학교 2004

      14 Cooper, C.L, "White Collar and Professional Stress" Wiley 1980

      15 Webster, "Webster's 7th New Collegiate Dictionary" G&C Meriam Co 1971

      16 Beehr, T. A., "The experience and management of work related stress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Perspectives and Issues" Allyn and Bacon 350-359, 1988

      17 Beehr, T. A., "The current debate about the meaning of job stress" 8 (8): 5-18, 1986

      18 Carlisle, "The Role of Occupational Stress in the Contemporary Fire Service" National FireAcademy, Executive Fire Officer Program 1999

      19 Beehr,T.A, "Stress, workload and fatigue in relation to task, technology and performance" 47 : 747-749, 2002

      20 Ivancevich, J. M, "Stress and Work: A Managerial Perspective" Scott, Foresman 1980

      21 Pendleton, "Stress and Strain among Police, Firefighters, and Government Workers" 16 (16): 196-210, 1989

      22 Green,Olin, "Stress Management Model for Maintaining Firefighter Wellbeing, National Fire Academy"

      23 Schuler,R.S, "Organizational Stress and Coping: A Model and Review in Handbook of Organizational Stress Coping Strategies" Ballinger 1984

      24 Beehr, T. A, "Organizational Role Stress in Handbook of Work Stress" Sage Publica 7-33, 2005

      25 Cooper, C.L, "Occupational Sources of Stress: A Review of Literature relating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ntal Health" 49-, 1976

      26 Gupta, N, "Job stress and employee behaviors" 23 : 373-387, 1979

      27 David,L.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 Macmillian Co. & Free Press 1968

      28 International Critical Incident Stress Foundation Inc, "Critical Incident Stress Information Sheets"

      29 Glazer, S, "Consistency of implications of three role stressors across four countries" 26 : 467-487, 2005

      30 Posner,M.I, "Chronometric explorations of mind" Lawrence Erlbaum 1978

      31 Hendrix, W. H., "Behavior and Psysiological Consequence of Stress and its Antecedent Factors" 70 (70): 1985

      32 Beehr,T.A, "An organizational psychology meta-model of occupational stress in Theories of Organizational Stress" Oxford University Press 6-27, 1998

      33 이성근, "AHP기법을 이용한 마케팅 의사결정" 석정 1994

      34 Beehr, T. A, "A note on the structure of employee withdrawal" 21 : 73-79, 1979

      35 Seyle.H, "A Syndrome Produced by Diverse Nocuous Agents" Nature 1936

      36 Adukia,Rajkumar S, "A Handbook on Stress Management with Self Care Techniques"

      37 정요안, "119 소방공무원의 내부고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를 중심으로" 한경대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