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력충돌 시에 드론(무인항공기, Unmanned Aerial Vehicle)은 21세기의 무력충돌에서 핵심적 무기체계로 자리 잡고 있는 듯하다. 이처럼 무력충돌 시 무인항공기의 사용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무력충돌 시에 드론(무인항공기, Unmanned Aerial Vehicle)은 21세기의 무력충돌에서 핵심적 무기체계로 자리 잡고 있는 듯하다. 이처럼 무력충돌 시 무인항공기의 사용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
무력충돌 시에 드론(무인항공기, Unmanned Aerial Vehicle)은 21세기의 무력충돌에서 핵심적 무기체계로 자리 잡고 있는 듯하다.
이처럼 무력충돌 시 무인항공기의 사용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그것의 사용을 규제하는 독자적인 규범체계는 존재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차선책이기는 하지만, 무력충돌 시 무인항공기의 사용규제문제는 기존의 국제인도법으로부터 그 규제의 근거를 찾을 수밖에 없으며, 만약 구한다면 그것이 무엇인가 하는 점으로 귀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인도법은 무력충돌 시 무인항공기 그 자체를 특별히 금지하고 있지 않으며, 그 사용과 관련해서는 자신의 여러 규칙에 따르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에서는 무력충돌 시 무인항공기의 사용규제 여부를 국제인도법상의 일반원칙을 중심으로 아래의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무력충돌 시 무인항공기의 사용규제에 적용 가능한 일반원칙과 규정을 전반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둘째 국제인도법상의 일반원칙이 무인항공기의 사용규제에 적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셋째 상기 일반원칙에 의한 사용규제의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끝으로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향후 무인항공기가 가져올 해악을 최소화한다는 관점에서 아래와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첫째 무력충돌 시 무인항공기의 사용을 규제할 독자적인 규범체계가 정립되어야 한다. 만약 그러한 체계의 정립이 어렵다면, 차선의 방안으로서, 공전에 관한 단일조약의 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비약적으로 발전한 공전양상을 규제할 수 있는 공전규범의 정비가 요망된다.
셋째 무력충돌 시 무인항공기의 사용규제문제에 국제인도법상의 일반원칙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론체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넷째 신무기에 대한 적법성 검토 조항의 활용이 요망된다. 1977년의 제1추가의정서 제36조에서는 개개 종류의 무기를 직접 규제하는 명시의 규정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 사용이 즉각 합법화되는 것은 아니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무인항공기에 대해서도 그 허용성 여부를 국제인도법상의 공통의 규칙 내지 기타의 일반원칙에 비추어 판단하는 노력이 있어야 하겠다.
1 김형구, "현행 공전법규체제와 전쟁법의 기본원칙의 적용" 인도법연구소 (31) : 2011
2 이용호, "현대 국제군축법의 이론과 실제" 박영사 2019
3 이용호, "헤이그법의 발전과 현대적 과제" 국제법평론회 (30) : 109-139, 2009
4 이용호, "제네바법(the law of Geneva)의 발전과 현대적 과제" 대한국제법학회 56 (56): 195-222, 2011
5 이용호, "전쟁과 평화의 법"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2
6 박문언, "자율무기체계의 국제법적 허용성과 규제방안" 서울대학교대학원 2019
7 정인섭, "신국제법강의" 박영사 2022
8 송가준, "미국의 파키스탄 내 무인기 작전에 대한 법적 분석 – 정당화 논변과 비판론, 시사점" 공군본부 공군법무관실 17 (17): 2013
9 이영진, "무인항공기의 발전과 국제법적 쟁점"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6 (26): 3-39, 2011
10 신홍균, "무인항공기의 무력공격을 둘러싼 국제법상 쟁점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8 (28): 37-61, 2013
1 김형구, "현행 공전법규체제와 전쟁법의 기본원칙의 적용" 인도법연구소 (31) : 2011
2 이용호, "현대 국제군축법의 이론과 실제" 박영사 2019
3 이용호, "헤이그법의 발전과 현대적 과제" 국제법평론회 (30) : 109-139, 2009
4 이용호, "제네바법(the law of Geneva)의 발전과 현대적 과제" 대한국제법학회 56 (56): 195-222, 2011
5 이용호, "전쟁과 평화의 법"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2
6 박문언, "자율무기체계의 국제법적 허용성과 규제방안" 서울대학교대학원 2019
7 정인섭, "신국제법강의" 박영사 2022
8 송가준, "미국의 파키스탄 내 무인기 작전에 대한 법적 분석 – 정당화 논변과 비판론, 시사점" 공군본부 공군법무관실 17 (17): 2013
9 이영진, "무인항공기의 발전과 국제법적 쟁점"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6 (26): 3-39, 2011
10 신홍균, "무인항공기의 무력공격을 둘러싼 국제법상 쟁점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8 (28): 37-61, 2013
11 김종복, "군용 무인항공기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12 황호원 ; 김형구, "국제항공규범의 전시적용 법리와 쟁점 - 공전규범상 사전예방조치 (precautionary measure)의 법리와 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6 (26): 41-68, 2011
13 정운장, "국제인도법"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4
14 "https://www.icrc.org/ihl/INTRO/560?OpenDocument"
15 "https://www.fai.org"
16 "https://www.casa.gov.au"
17 "http://www.kari.re.kr"
18 "http://www.icrc.org/eng/resources/ducuments/interview/2013/05-10-drone-weapons-ihl.htm"
19 FAA Draft Advisory Circular, "Unmanned Air Vehicle Design Criteria"
20 ICRC, "The use of armed drones must comply with law"
21 Matheson, Michael J., "The Opinions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on the Threat or Use of Nuclear Weapons" 91 (91): 1997
22 Schindler, D., "The Laws of Armed Conflicts"
23 Boothby, William, "Some legal challenges posed by remote attack" 94 (94): 2012
24 SIPRI, "SIPRI Yearbook 2021 : Armaments, Disarmament and International Security"
25 SIPRI, "SIPRI Yearbook 2020 : Armaments, Disarmament and International Security"
26 SIPRI, "SIPRI Yearbook 2014 : Armaments, Disarmament and International Security"
27 SIPRI, "SIPRI Yearbook 2013 : Armaments, Disarmament and International Security"
28 Backstrom, Alan, "New capabilities in warfare : an over view of contemporary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associated legal and engineering issues in Article 36 weapons reviews" 94 (94): 2012
29 Singer, Peter W, "Interview with Peter W. Singer" 94 (94): 2012
30 Sassòli, Marco,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31 Roberts, Adam, "Documents on the Laws of War"
재판의 전제성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헌법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