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안전수준을 실증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경험적으로 진단함으로써 리스크 흐름을 이해하고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개발과 실천에 관한 방안을 모색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안전수준을 실증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경험적으로 진단함으로써 리스크 흐름을 이해하고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개발과 실천에 관한 방안을 모색하...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안전수준을 실증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경험적으로 진단함으로써 리스크 흐름을 이해하고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개발과 실천에 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종 위험과 안전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일반적인 관행 및 의식을 파악하기 위해 안전의식조사를 실시하고 총 677개의 설문지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론적으로는 위험연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리스크추구, 안전의식, 위험취약성, 신뢰도를 주요 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리스크추구성향은 연령과 성, 집단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한국사회가 점차 불안해지는 것으로 구성원들은 인지하고 있다. 특히 교통사고, 붕괴 및 폭발, 산업재해 분야의 객관적인 안전지표는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데 비해, 주관적 안전지표에 의하면 교통사고, 건강질환, 생활사고, 정신질환 분야에서 위험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전통적 재난뿐만 아니라 사회적 위험 및 정보화와 관련된 위험 등을 고려하는 포괄적인 지표개발이 향후 안전관리에서 핵심요소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의 발전전략과 문화적 관행에 따른 구조적 위기에 기인하며, 복합위험사회로서 리스크추구성향이 증가함에 따라 위험의 객관적·물리적·거시적 차원이외에도 주관적·사회적·일상적 차원이 중요해짐을 의미한다.
공공부문 조직혁신 성과에 관한 연구 : 특허청의 6시그마 도입을 중심으로
관료제적 맥락 하에서 팀제의 부합성(不合性)에 관한 연구
행정조직 BSC의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정부의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준공공부문조직의 조직구조연구 : 원자력발전소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