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계획의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추가적으로 상사의 경력지원행동과 조직의 교육훈련기회 제공의 조절변인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77655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3-103(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계획의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추가적으로 상사의 경력지원행동과 조직의 교육훈련기회 제공의 조절변인으...
본 연구의 목적은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계획의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추가적으로 상사의 경력지원행동과 조직의 교육훈련기회 제공의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현 직장에서 상사와 6개월 이상 근무한 직장인 30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는 경력계획 및 경력성공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며, 경력계획 역시 경력성공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경력계획이 매개변인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입증되었다.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가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상사의 경력지원행동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가 높을 때 보다는 낮을 때에 상사의 경력지원행동이 경력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력계획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의 교육훈련기회 제공정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자기감시성향(self-monitoring personality)과 네트워크 특성이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구성원의 지각된 팀동기와 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 :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정서적 불일치에 대한 귀인과 긍정적 기분이 정서조절 행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