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에 근거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평가기준 방향 탐색 =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based on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01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veloping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is as important as textbook development in education. Home economics subject has been involved in textbook evaluation since 1995, at which the first home economics textbook was under the national authorization ...

      Developing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is as important as textbook development in education. Home economics subject has been involved in textbook evaluation since 1995, at which the first home economics textbook was under the national author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even though there were more studies using textbook analys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ason why subject perspectives were reflected on the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pectives presented by national curriculum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developing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So this study was related to analyz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and the meaning of subject perspectives in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to drive perspectives consistently presented by the 2007 revised and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pectives in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and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 for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development.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subject perspectives for developing textbook, delivers the core concepts and unique values of our subject, and provides the direction for teach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both national curriculum, the perspectives such as management competency, life competency, practical experience, integrative competency for understanding individual and family, career and life planning, and life problem-solving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would be needed to develop the factors of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based on the perspective presented by national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평가기준에 반영된 교과 관점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현재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과 교과서 평가기준과의 관련성과 더불어 향후 교과서 평가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평가기준에 반영된 교과 관점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현재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과 교과서 평가기준과의 관련성과 더불어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을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평가기준을 분석하고, 교과서 평가기준에서의 교과 관점의 의미를 탐색하며, 2007 개정 교육과정 및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지속적으로 제시된 교과 관점을 도출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기준에서 강조하고 있는 관점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교과서 평가기준은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과 관점을 제공하고, 교과의 주요 개념과 가치를 전달하며,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과 관점들은 관리역량, 생활역량, 실천적 경험, 개인과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역량, 생활문제해결, 그리고 진로 및 생애설계이다. 향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 관점들에 터하여 교과서 평가기준의 항목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 자료 평가기준뿐만 아니라, 교수․학습 방법, 교사 활동 평가 등 다양한 평가 틀에 교과 관점들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e, S. J,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Evaluation 2007

      2 이연숙,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의 ‘청소년의 자기관리’와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 분석: 2007개정 교육과정의 강조점 반영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55-75, 2010

      3 박명희, "사회변화와 요구를 수용하는 가정교과의 내용 혁신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77-93, 2006

      4 Jin, J. K, "교과용 도서 평가 연구-평가모형 개발및 평가기준 설정"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Evaluation 2008

      5 Bell, L, "Using reading in content area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understanding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23 (23): 1-6, 2005

      6 Sim, J. H, "Textbook authorization criterion depending on the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at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1

      7 Sim, J. H, "Textbook adoption criterion depending on the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at middle school leve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1

      8 Cho, N. S, "Studies on changing system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from government-issued to government-authorizing or adoption syste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4

      9 Eom, K. H, "New home economics textbook in moddle school, how to deal with?" 6 (6): 175-183, 1994

      10 Kuurala, S, "Food and nutrition related values in finnish health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secondary school textbooks" 26 (26): 29-41, 2008

      1 Lee, S. J,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Evaluation 2007

      2 이연숙,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의 ‘청소년의 자기관리’와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 분석: 2007개정 교육과정의 강조점 반영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55-75, 2010

      3 박명희, "사회변화와 요구를 수용하는 가정교과의 내용 혁신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77-93, 2006

      4 Jin, J. K, "교과용 도서 평가 연구-평가모형 개발및 평가기준 설정"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Evaluation 2008

      5 Bell, L, "Using reading in content area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understanding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23 (23): 1-6, 2005

      6 Sim, J. H, "Textbook authorization criterion depending on the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at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1

      7 Sim, J. H, "Textbook adoption criterion depending on the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at middle school leve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1

      8 Cho, N. S, "Studies on changing system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from government-issued to government-authorizing or adoption syste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4

      9 Eom, K. H, "New home economics textbook in moddle school, how to deal with?" 6 (6): 175-183, 1994

      10 Kuurala, S, "Food and nutrition related values in finnish health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secondary school textbooks" 26 (26): 29-41, 2008

      11 Seo, J. Y, "Digital textbook content standards and evaluation criterion developmen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2

      12 Han, H. J, "Current Issues in Curriculum, In Issues in Curriculum" 교 육과학사 2011

      13 Alvermann, D. E, "Content area reading and literacy-succeeding in today's diverse classrooms" NY, Pearson Education 2007

      14 Kwon, L. R,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home economics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10 (10): 41-57, 1998

      15 Jeon, . S. K, "A study on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an evaluation criteria of textbook in practical arts subject" 12 (12): 57-71, 1999

      16 Davis, K, "A focused research agenda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 results of a policy delphi study" 27 (27): 30-44, 2009

      17 Jin, E. N, "2011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개발"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Evaluation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