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천을 중심으로 = Digital Citizenship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comparatively about digital citizenship in the social studies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6th social studies curric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comparatively about digital citizenship in the social studies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6th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ontents description about digital citizenship has not been continuing, but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is consistently described digital citizenship, has become more abundant. Second,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four categories of digital citizenship appear is 'digital citizenship a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citizenship as ethics> digital citizen as participation/engagement'. In the digital era, digital citizenship should be discussed and formulated more actively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rd, by encompassing digital citizenship into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t should help students in the digital age to grow as a responsible democratic citiz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사회에 대응하여 사회과 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시민성 관련 논의를 참고하여 분석의 준거로서 Choi(...

      디지털 사회에 대응하여 사회과 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시민성 관련 논의를 참고하여 분석의 준거로서 Choi(2016)의 디지털 시민성 4가지 범주를 차용하였다. 제6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디지털 시민성 관련 내용을 사회과 성격, 목표 및 성취기준 내용을 시기별, 학교급별로 비교분 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제6차부터 현행 2015개정까지 디지털 시민성 에 대한 내용 진술이 계속성을 갖지 못하고 있다가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사회과의 성격, 목표, 성취기준에서 일관되게 기술되고 있으며, 내용 진술이 보다 풍부 해지고 있다. 디지털 시민성의 4개 범주가 나타나는 빈도는 ‘매체와 정보 리터러시로 서의 디지털 시민성> 윤리로서의 디지털 시민성> 참여로서의 디지털 시민성’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시대를 맞아 디지털 시민성이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에 더욱 활발하 게 논의되고 구체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회과 교육이 지향하는 민주시민성 개념의 외연을 확장하여 디지털 시민성을 포괄함으로써 디지털 세대인 학생들이 디지털 사회 에 대처하고 책임 있는 민주 시민으로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문선,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한국형 디지털 시민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273-297, 2015

      2 메리차이코 Mary Chayko, "초연결사회" 한울 2018

      3 이지혜, "사회과교육의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1-39, 2017

      4 차경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7

      5 박기범, "사회과 디지털 수업론" 교육과학사 2009

      6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사회과 교육과정"

      7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8 윤성이, "디지털시대 시민의식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2 (12): 59-84, 2009

      9 이대성, "디지털사회의 민주시민교육 방향" 13 : 105-124, 2011

      10 김영석,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0

      1 최문선,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한국형 디지털 시민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273-297, 2015

      2 메리차이코 Mary Chayko, "초연결사회" 한울 2018

      3 이지혜, "사회과교육의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1-39, 2017

      4 차경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7

      5 박기범, "사회과 디지털 수업론" 교육과학사 2009

      6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사회과 교육과정"

      7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8 윤성이, "디지털시대 시민의식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2 (12): 59-84, 2009

      9 이대성, "디지털사회의 민주시민교육 방향" 13 : 105-124, 2011

      10 김영석,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0

      11 유양근, "디지털 정보사회의 이해"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5

      12 박기범, "디지털 시대의 시민성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25 (25): 33-46, 2014

      13 문상현, "디지털 사회와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351-391, 2014

      14 황용석, "디지털 사회와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431-470, 2014

      15 조일수, "디지털 민주주의 형성을 위한 민주 시민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6 김은미, "‘디지털 네이티브’의 시민성" 한국언론학회 57 (57): 305-334, 2013

      17 "http://libreresearchgroup.org"

      18 Bennet, W. L., "Young citizens and civic learning : Two paradime of citizenship in the digital age" 13 (13): 105-120, 2009

      19 Moeller, S., "Toward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indicator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1

      20 Tatarchevskiy, T., "The ‘popular’culture of Internet activism" 13 : 297-313, 2011

      21 Coleman, S., "The John D. & Catherine T. MacArthur Foundation Series on Digital Media and Learning" 189-206, 2007

      22 Winn, M. R., "Promote digital citizenship through school-based social networking" 39 : 10-13, 2012

      23 Longford, G., "Pedagogies of digital citizenship and the politics of code" 9 : 1-17, 2005

      24 Lee, Y.-O., "Internet election 2.0? Culture, institutions, and technology in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s of 2002 and 2007" 6 : 312-325, 2009

      25 Banks, J. A., "Diversity, group identit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a global age" 37 : 129-139, 2008

      26 Ribble, M., "Digital citizenship in schools"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07

      27 Common Sense Media, "Digital Literacy and Citizenship in the 21st Century. A Common Sense Media White Paper" Common Sense Media 2009

      28 Ribble, M., "Digital Citizenship: Addressing appropriate technology behavior" 32 (32): 6-11, 2004

      29 Mossberger, K., "Digital Citizenship" MIT Press 2008

      30 Hermes, J., "Citizenship in the Age of the Internet" 21 (21): 295-309, 2006

      31 Pajnik, M., "Citizenship and mediated society" 9 (9): 349-367, 2005

      32 Engin Isin, "Being Digital Citizens" RLI 2015

      33 Moonsun Choi, "A Concept Analysis of Digital Citizenship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Internet Age" 44 (44): 565-607, 2016

      34 모경환,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29-51,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DUCATIONAL RESEARCH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5 0.972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