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에 따른 토론 학습의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13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discussion ability,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learners’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for online discussion in middle school Korean classes.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was the type of online discussion media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iscussion ability,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discus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Secon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social 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Thir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social pres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Fourth,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 first-year middle school classes located in Siheung, Gyeonggi Province.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amely, Experimental Group I, which conducted discussion classes on the web community board, Experimental Group II, which had real-time text discussions, and Experimental Group III, which had video conference discussions, and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experiment. The pre-tests for discussion ability and the social efficacy were conducted in advance in order to confirm the homogeneity between group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Ten sessions of discussion classes were carried out over a total of 4 weeks and the post-tests for discussion ability and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test, and satisfaction test were conducted.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the Tukey post hoc test was used to carry out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means for the group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discussion ability of students in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ere 3.67, 3.95, and 3.57, respectively and one-way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5.216, p<.05). The post-hoc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showed higher discussion ability than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which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ean social efficacy of students in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as 3.65, 3.94, and 3.60, respectively, and the one-way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3.169, p<.05). However, the post-hoc resul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average social presence of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as 3.74, 4.03, and 3.86, respectively, and the one-way ANOVA results presen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3.237, p<.05). The post-hoc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that conducted real-time text discussion scored a higher sense of social presence than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discussion on the web community board, which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s of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ere 3.85 points, 4.09 points, and 4.00 points, respectively, and as a result of one-way ANOVA,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 =1.864, p>.05).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real-time text discussion has higher score on discussion ability compared to video conference and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social presence than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In real-time text discussion, students can actively present their opinions without psychological burden, express their opinions in various ways and engage in various thinking activities are related to the results of discussion abilit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se real-time text messages as their main tool to establish social relationships, and because they freely communicate and respond right away, it can be seen that they showed high results in social presence.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First, future studies should compare the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online discussion media through various dependent variables, such as discussion messages, interaction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which were not addressed in this study.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types of discussion classes using real-time text, the medium most familiar to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although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firmed in this study, since the video conferencing method has been universally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since COVID-19,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the on/offline video conferencing discussion class strategy and practical application ca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discussion ability,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learners’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for online discussion in middle school Korean classes.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discussion ability,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learners’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for online discussion in middle school Korean classes.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was the type of online discussion media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iscussion ability,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discus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Secon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social 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Thir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social pres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Fourth,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 first-year middle school classes located in Siheung, Gyeonggi Province.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amely, Experimental Group I, which conducted discussion classes on the web community board, Experimental Group II, which had real-time text discussions, and Experimental Group III, which had video conference discussions, and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experiment. The pre-tests for discussion ability and the social efficacy were conducted in advance in order to confirm the homogeneity between group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Ten sessions of discussion classes were carried out over a total of 4 weeks and the post-tests for discussion ability and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test, and satisfaction test were conducted.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the Tukey post hoc test was used to carry out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means for the group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discussion ability of students in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ere 3.67, 3.95, and 3.57, respectively and one-way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5.216, p<.05). The post-hoc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showed higher discussion ability than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which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ean social efficacy of students in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as 3.65, 3.94, and 3.60, respectively, and the one-way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3.169, p<.05). However, the post-hoc resul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average social presence of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as 3.74, 4.03, and 3.86, respectively, and the one-way ANOVA results presen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3.237, p<.05). The post-hoc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that conducted real-time text discussion scored a higher sense of social presence than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discussion on the web community board, which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s of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ere 3.85 points, 4.09 points, and 4.00 points, respectively, and as a result of one-way ANOVA,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 =1.864, p>.05).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real-time text discussion has higher score on discussion ability compared to video conference and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social presence than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In real-time text discussion, students can actively present their opinions without psychological burden, express their opinions in various ways and engage in various thinking activities are related to the results of discussion abilit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se real-time text messages as their main tool to establish social relationships, and because they freely communicate and respond right away, it can be seen that they showed high results in social presence.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First, future studies should compare the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online discussion media through various dependent variables, such as discussion messages, interaction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which were not addressed in this study.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types of discussion classes using real-time text, the medium most familiar to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although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firmed in this study, since the video conferencing method has been universally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since COVID-19,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the on/offline video conferencing discussion class strategy and practical application ca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교 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을 위한 매체 유형에 따라 토론 능력, 사회적 효능감, 사회적 현존감, 학습자의 만족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독립 변인은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이고 종속 변인은 토론 능력, 사회적 효능감, 사회적 현존감, 만족도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토론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사회적 효능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사회적 현존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을 위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시흥시 소재 중학교 1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3개의 집단, 즉 웹 게시판 토론 수업을 하는 실험 집단 Ⅰ, 실시간 문자 토론을 하는 실험 집단 Ⅱ, 화상 회의 토론을 하는 실험 집단 Ⅲ으로 구분되어 연구를 위한 실험에 참여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 확인을 위하여 사전에 토론 능력 검사와 사회적 효능감 검사를 실시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총 4주 10차시 동안 토론 수업을 실시한 뒤 토론 능력 검사, 사회적 효능감 검사, 사회적 현존감 검사,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들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집단들에 대해서는 Tukey 검증 방법으로 평균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을 통해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토론 능력의 평균은 각각 3.67점, 3.95점, 3.57점이었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5.216, p<.05). Tukey 검증 결과 실시간 문자 토론을 실시한 집단이 화상 회의 토론을 실시한 집단 보다 토론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사회적 효능감의 평균은 각각 3.65점, 3.94점, 3.60점으로 나타났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169, p<.05). 그러나 이에 대한 Tukey 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셋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사회적 현존감의 평균은 각각 3.74점, 4.03점, 3.86점으로 나타났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237, p<.05). Tukey 검증 결과 실시간 문자 토론을 실시한 집단이 웹 게시판 토론을 실시한 집단보다 사회적 현존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만족도 평균은 각각 3.85점, 4.09점, 4.00점이었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1.864, p>.05).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실시간 문자를 활용한 집단의 토론 능력 점수 평균이 화상 회의를 활용한 집단의 토론 능력 점수 평균에 비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실시간 문자 토론은 웹 게시판 토론에 비해 사회적 현존감의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간 문자 토론에서 학생들은 심리적 부담감이 없이 활발하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고,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며 다양한 사고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다른 매체들을 사용한 집단보다 토론 능력 점수가 더 높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중학생들은 실시간 문자를 평소에도 사회적 관계 맺기의 주된 도구로 이용하며 자유롭게 대화하고 바로 응답기 때문에 사회적 현존감에서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몇 가지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 간의 효과 차이를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토론 메시지나 상호작용, 문제해결력 등 다양한 종속 변인들을 통해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중학교 학생들에게 가장 익숙한 매체인 실시간 문자를 활용한 다양한 유형의 토론 수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충분히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화상 회의 방식은 코로나19 이후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화상 회의 토론 수업 전략 및 실천적 적용에 대한 탐색이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중학교 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을 위한 매체 유형에 따라 토론 능력, 사회적 효능감, 사회적 현존감, 학습자의 만족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

      이 연구는 중학교 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을 위한 매체 유형에 따라 토론 능력, 사회적 효능감, 사회적 현존감, 학습자의 만족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독립 변인은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이고 종속 변인은 토론 능력, 사회적 효능감, 사회적 현존감, 만족도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토론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사회적 효능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사회적 현존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을 위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시흥시 소재 중학교 1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3개의 집단, 즉 웹 게시판 토론 수업을 하는 실험 집단 Ⅰ, 실시간 문자 토론을 하는 실험 집단 Ⅱ, 화상 회의 토론을 하는 실험 집단 Ⅲ으로 구분되어 연구를 위한 실험에 참여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 확인을 위하여 사전에 토론 능력 검사와 사회적 효능감 검사를 실시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총 4주 10차시 동안 토론 수업을 실시한 뒤 토론 능력 검사, 사회적 효능감 검사, 사회적 현존감 검사,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들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집단들에 대해서는 Tukey 검증 방법으로 평균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을 통해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토론 능력의 평균은 각각 3.67점, 3.95점, 3.57점이었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5.216, p<.05). Tukey 검증 결과 실시간 문자 토론을 실시한 집단이 화상 회의 토론을 실시한 집단 보다 토론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사회적 효능감의 평균은 각각 3.65점, 3.94점, 3.60점으로 나타났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169, p<.05). 그러나 이에 대한 Tukey 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셋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사회적 현존감의 평균은 각각 3.74점, 4.03점, 3.86점으로 나타났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237, p<.05). Tukey 검증 결과 실시간 문자 토론을 실시한 집단이 웹 게시판 토론을 실시한 집단보다 사회적 현존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만족도 평균은 각각 3.85점, 4.09점, 4.00점이었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1.864, p>.05).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실시간 문자를 활용한 집단의 토론 능력 점수 평균이 화상 회의를 활용한 집단의 토론 능력 점수 평균에 비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실시간 문자 토론은 웹 게시판 토론에 비해 사회적 현존감의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간 문자 토론에서 학생들은 심리적 부담감이 없이 활발하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고,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며 다양한 사고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다른 매체들을 사용한 집단보다 토론 능력 점수가 더 높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중학생들은 실시간 문자를 평소에도 사회적 관계 맺기의 주된 도구로 이용하며 자유롭게 대화하고 바로 응답기 때문에 사회적 현존감에서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몇 가지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 간의 효과 차이를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토론 메시지나 상호작용, 문제해결력 등 다양한 종속 변인들을 통해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중학교 학생들에게 가장 익숙한 매체인 실시간 문자를 활용한 다양한 유형의 토론 수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충분히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화상 회의 방식은 코로나19 이후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화상 회의 토론 수업 전략 및 실천적 적용에 대한 탐색이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문제 5
      • 1.3. 용어의 정의 6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문제 5
      • 1.3. 용어의 정의 6
      • 2. 이론적 배경 8
      • 2.1. 토론과 토론 학습의 교육적 영향력 8
      • 2.2. 온라인 토론과 온라인 토론을 위한 매체 유형 12
      • 2.2.1. 웹 게시판을 활용한 토론 13
      • 2.2.2. 실시간 문자를 활용한 토론 14
      • 2.2.3. 온라인 토론 도구로서의 화상 회의 16
      • 2.3. 온라인 토론 학습의 효과 18
      • 3. 연구 방법 25
      • 3.1. 연구의 대상 25
      • 3.2. 연구의 설계 26
      • 3.3. 연구의 도구 27
      • 3.4. 연구의 절차 31
      • 3.4.1. 온라인 토론 학습의 설계 및 구안 32
      • 3.4.1.1 온라인 토론 학습 주제 탐색 32
      • 3.4.1.2 온라인 토론을 위한 구성 32
      • 3.4.1.3 온라인 토론 학습 진행 과정 33
      • 3.4.2. 사전 검사 35
      • 3.4.3. 집단별 온라인 토론의 실시 37
      • 3.4.4. 사후 검사 40
      • 3.5. 자료의 처리 41
      • 4. 연구 결과 42
      • 4.1.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에 따른 토론 능력의 차이 42
      • 4.2.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의 차이 44
      • 4.3.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에 따른 사회적 현존감의 차이 46
      • 4.4.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48
      • 5. 논의 및 결론 50
      • 5.1. 논의 50
      • 5.2. 결론 53
      • 참고문헌 56
      • ABSTRACT 63
      • 부 록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