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교폭력과 주변인 역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chool Violence and Bystanders Ro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n bystanders role in school violence on the premise that not only the role of aggressor and victim who are directly involved in school violence but the role of bystander is important 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n bystanders role in school violence on the premise that not only the role of aggressor and victim who are directly involved in school violence but the role of bystander is important as well.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760 male․female adolescents who are enrolled in 4 middle schools and 4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used data of 721 students excluding unreliable response in final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bystanders role in school violence of adolescents by classifying into the roles of bystander, defender, and follower, the influencing factors on bystanders role were gender, level of school, empathy for victims, permissive attitude for violenc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peer support, and school atmosphere. For influence of major variables on the role of defender, it was identified that gender, empathy for victims, peer support, and school atmosphere make effect. Lastly, influencing factors on follower’s role were sexual, sympathy for victims, permissive attitude for violenc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and school atmosphe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뿐만 아니라 주변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위치...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뿐만 아니라 주변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중학교 4개교와 인문계고등학교 2개교, 특성화고등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721명의 남․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방관자 역할에는 성별, 학교급, 피해자에 대한 공감, 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지지, 학교 분위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어자 역할에는 성별, 피해자에 대한 공감, 또래지지, 학교 분위기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 동조자 역할에는 성적, 피해자에 대한 공감, 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 분위기로 나타났다. 또한 각 역할에 대한 주요 변인의 영향력은 방관자 역할과 방어자 역할은 피해자에 대한 공감이, 동조자 역할에는 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주변인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 등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지원, "학급 공동체의식이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주변인 유형(방관자, 가해동조자, 피해자 방어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 김범수, "학교폭력의 실태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미영,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충북지역 중·고등학교 여학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3

      4 김대유, "학교폭력, 우리아이 지키기" 노벨과개미 2006

      5 김현경, "학교폭력 피해 및 방관경험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6 구태림, "학교폭력 청소년을 위한 강점 활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 광주대학교대학원 2016

      7 남미애,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회 (50) : 109-144, 2015

      8 김이진, "학교폭력 감소를 위한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9 이은정, "학교체계요인이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해경험집단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0 李相均, "학교에서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1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공시자료 학교폭력실태조사"

      12 김현동, "청소년의 일탈적 생활양식이 학교폭력 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심리학회 12 (12): 5-32, 2016

      13 하영희, "청소년의 도덕행동에 관한 관련변인 연구 : 권장행동과 금지행동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14 박재은,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내 사회자본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5 고은지, "청소년 후기 대학생의 부모와의 분리-개별화 과정 관련 변인이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1 (1): 47-64, 2012

      16 주지선, "청소년 학교폭력 주변인 행동유형에 대한 생태체계적 요인의 영향" 한양대학교대학원 2017

      17 오환희, "청소년 집단괴롭힘 상황에서 참여자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18 류경희, "청소년 집단 따돌림에서 동조 행동의 영향 변인" 대한가정학회 44 (44): 139-154, 2006

      19 신나민, "청소년 또래괴롭힘의 참여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공감 구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25-45, 2012

      20 임주현, "집단따돌림에서 이타 행동과 방어자의 관계 : 또래지지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1 유계숙, "집단따돌림 참여자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족학교 관련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63-89, 2013

      22 이춘재,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 지지" 13 (13): 65-80, 2000

      23 김현주, "집단 따돌림에서의 동조집단 유형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4 아영아, "인권을 존중받은 경험과 청소년의 학교폭력 주변인역할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정복지학회 (40) : 75-98, 2016

      25 박선영, "인권기반 공감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폭력태도와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259-1276, 2017

      26 홍봉선, "인권감수성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3 : 307-335, 2012

      27 이신애,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방관경험과 해결방안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507-538, 2013

      28 권연희,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9 서미정, "아동의 개인적.환경적 특성과 또래괴롭힘" 한국아동학회 25 (25): 93-108, 2004

      30 이겨라, "부모자녀관계가 학교폭력행동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도덕성을 매개 변인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1 서미정, "방관자의 집단 특성에 따른 또래괴롭힘 참여 역할행동" 한국아동학회 29 (29): 79-96, 2008

      32 이희경, "문화성향·공감과 동조가 집단따돌림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147-166, 2003

      33 김연화, "또래괴롭힘 참여유형에 관련된 변인 탐색"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9

      34 서미정, "또래괴롭힘 완화요인의 탐색 : 주변또래의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35 서미정,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의 안정성과 주변 또래 역할의 변화와 관련된 부모, 또래, 교사 및 지역사회 요인" 2015

      36 차윤희,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학령기 아동의 역할과 사회적 이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37 오인수,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 공감과 공격성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45-63, 2010

      38 한하나, "괴롭힘 주변인의 행동과 감사, 공감, 학교소속감의 관계" 교육문제연구소 27 (27): 53-75, 2014

      39 신유림, "공격적 아동의 사회적 수용에 대한 자아 및 또래 지각과 외현적 문제"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77-85, 2007

      40 조효진, "공감능력과 이타성향간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41 Kokkinos, C. M.,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empathy among preadolescents" 15 (15): 41-58, 2012

      42 Smith, J. D., "The effectiveness of whole-school antibullying programs : A synthesis of evaluation research" 4 : 547-560, 2004

      43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44 Konstantina, K., "School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among greek middle school students" 93-113, 2010

      45 Salmivalli, C., "Participant role approach to school bullying :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22 : 453-459, 1999

      46 Salmivalli, C.,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 How Can Peer Bystanders Be Utilized in Interventions?" 53 (53): 286-292, 2014

      47 Hawkins, D. L., "Naturalistic observations of peer interventions in bullying" 10 : 512-527, 2001

      48 Salmivalli, C., "Making bullying prevention a priority in Finnish schools : The KiVa antibullying program" 133 : 41-53, 2012

      49 Estrada, J. N., "Gang Membership, School Viol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Risk and Protective Behaviors in California High Schools" 13 (13): 288-251, 2014

      50 Malette, N., "Forms of Fighting : A Micro-Social Analysis of Bullying and In-School Violence" 40 : 1-29, 2017

      51 Hazler, R., "Bystanders : An overlooked factor in peer on peer abuse" 11 : 11-21, 1996

      52 Datta, P., "Aggressive Attitudes And Prevalence Of Bullying Bystander Behavior In Middle School" 53 (53): 804-816, 2016

      53 Fawson, P. R., "Adolescents' Experiences: Programming Implications for In-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41 (41): 1-16, 2016

      54 Whitney, I., "A survey of the nature and extent of bullying in junior/middle and secondary schools" 35 (35): 3-25, 1993

      55 Pepler, D. J., "A peek behind the fence : Naturalistic observations of aggressive children with remote audiovisual recording" 31 : 548-553, 1995

      56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3년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연구" 청예단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cademy Welfare Counselling -> Korea Academy of Welfare Counsell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