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거지지원형 도시재생뉴딜사업에서 도시재생기반시설 계획특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13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도시 쇠퇴에 대응하여 물리적 환경개선(H/W)과 주민들의 역량강화(S/W)를 통해 도시를 “종합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에서 5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 중 주거지지원형은 원도심 저층주거지역의 주거환경 개선과 기반시설 개선 및 확보를 위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 및 생활편의시설 공급, 주민역량강화 등을 목표로 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주거지지원형사업의 활성화계획을 살펴보면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에 대해 여러 계획을 수립하였으나, 대부분 주민공동이용시설 설치와 가로환경개선 등에 재원이 투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법에서 정하고 있는 도시재생기반시설의 범위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주거지지원형사업에서 수립되고 있는 기반시설의 종류가 일부분인 것에 대해 현황 및 요인을 검토하여, 보다 다양한 도시재생기반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천시 주거지지원형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서구 상생마을, 계양구 효성마을, 중구 공감마을, 연수구 함박마을을 대상으로 지구별 활성화계획을 검토하고, 사업별 재원계획과 도시재생기반시설 사업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4개 대상지구의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 활성화 계획 중 도시재생기반시설에 투입되는 사업비는 대부분 전체 사업비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마중물 사업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활성화계획에 따라 13%~77% 까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마중물사업 중 도시재생기반시설에 관련된 사업에서 도로, 주차장, 공원 등 기반시설이 차지하는 비율은 주민공동이용시설에 비해 낮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각 지역의 현황여건과 필요시설 등에 의해 필요한 기반시설의 규모와 종류가 다를 수 있지만, 마중물사업이 지역역량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나, 기반시설의 종류도 대부분 도로개선과 주차장 설치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에 따른 개선방안으로는 도로 및 주차장 등 획일적인 기반시설 설치계획을 지양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기반시설 설치 방안을 마련하며, 마중물사업으로 수립이 어려울 경우 부처간 협력이나 연계사업 등을 통해 다양한 도시재생기반시설의 확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화계획 고시 후 도시재생기반시설사업의 현재 진행사항에 대해 자세히 다루지 못한 것에 대한 한계점이 있지만, 향후 주거지지원형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본 연구를 참고로 다양한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도시 쇠퇴에 대응하여 물리적 환경개선(H/W)과 주민들의 역량강화(S/W)를 통해 도시를 “종합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도시 쇠퇴에 대응하여 물리적 환경개선(H/W)과 주민들의 역량강화(S/W)를 통해 도시를 “종합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에서 5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 중 주거지지원형은 원도심 저층주거지역의 주거환경 개선과 기반시설 개선 및 확보를 위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 및 생활편의시설 공급, 주민역량강화 등을 목표로 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주거지지원형사업의 활성화계획을 살펴보면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에 대해 여러 계획을 수립하였으나, 대부분 주민공동이용시설 설치와 가로환경개선 등에 재원이 투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법에서 정하고 있는 도시재생기반시설의 범위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주거지지원형사업에서 수립되고 있는 기반시설의 종류가 일부분인 것에 대해 현황 및 요인을 검토하여, 보다 다양한 도시재생기반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천시 주거지지원형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서구 상생마을, 계양구 효성마을, 중구 공감마을, 연수구 함박마을을 대상으로 지구별 활성화계획을 검토하고, 사업별 재원계획과 도시재생기반시설 사업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4개 대상지구의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 활성화 계획 중 도시재생기반시설에 투입되는 사업비는 대부분 전체 사업비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마중물 사업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활성화계획에 따라 13%~77% 까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마중물사업 중 도시재생기반시설에 관련된 사업에서 도로, 주차장, 공원 등 기반시설이 차지하는 비율은 주민공동이용시설에 비해 낮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각 지역의 현황여건과 필요시설 등에 의해 필요한 기반시설의 규모와 종류가 다를 수 있지만, 마중물사업이 지역역량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나, 기반시설의 종류도 대부분 도로개선과 주차장 설치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에 따른 개선방안으로는 도로 및 주차장 등 획일적인 기반시설 설치계획을 지양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기반시설 설치 방안을 마련하며, 마중물사업으로 수립이 어려울 경우 부처간 협력이나 연계사업 등을 통해 다양한 도시재생기반시설의 확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화계획 고시 후 도시재생기반시설사업의 현재 진행사항에 대해 자세히 다루지 못한 것에 대한 한계점이 있지만, 향후 주거지지원형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본 연구를 참고로 다양한 도시재생기반시설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s intended to “comprehensively regenerate” the city through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H/W) and residents’ capacity building (S/W) in response to urban decline,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the Revitalization and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the economy-based type and neighborhood regeneration type are subdivided into five types and are being promoted. Among them, the residential support type is a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original downtown low-rise residential area and to improve and secure infrastructure, Securing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and supplying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It is a project that establishes and promotes an activation plan with the goal of strengthening residents' capabilities. However, looking at the revitalization plan for residential support-type projects, several plans were established for securing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but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financial resources were invested in the installation of resident communal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the street environment.
      In this study, despite the diversity of the scope of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stipulated by the law,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factors of some of the types of infrastructure being established in the residential support type project, It was intended to come up with a plan to install more diverse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reviewed the revitalization plan for each district targeting the Sangsaeng Village in Seo-gu, Hyosung Village in Gyeyang-gu, Gonggam Village in Jung-gu, and Hambak Village in Yeonsu-gu, which are promoting residential support-type projects in Incheon, and An analysis of the financial plan for each project and the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projec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curing of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in the four target districts, most of the project costs for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among the total revitalization plans account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project cost, The proportion of the priming water project cost varied from 13% to 77% according to the activation pla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parking lots, and parks in project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among the priming water projects was lower than that of public facilities for residents. Although the size and type of infrastructure required may vary depending on the current conditions and necessary facilities of each region, It is analyzed that the priming water project is focused on strengthening regional capabilities, but most of the types of infrastructure are road improvement and parking lot installation.
      As an improvement plan, we avoid uniform infrastructure installation plans such as roads and parking lots, Various infrastructure installation plans were prepared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when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a priming water project, it was suggested to secure various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through inter-ministerial cooperation or linked projects.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deal with the current progress of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projects in detail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activation pla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ecuring various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by referring to this study in promoting residential support type project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s intended to “comprehensively regenerate” the city through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H/W) and residents’ capacity building (S/W) in response to urban decline,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s intended to “comprehensively regenerate” the city through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H/W) and residents’ capacity building (S/W) in response to urban decline,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the Revitalization and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the economy-based type and neighborhood regeneration type are subdivided into five types and are being promoted. Among them, the residential support type is a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original downtown low-rise residential area and to improve and secure infrastructure, Securing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and supplying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It is a project that establishes and promotes an activation plan with the goal of strengthening residents' capabilities. However, looking at the revitalization plan for residential support-type projects, several plans were established for securing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but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financial resources were invested in the installation of resident communal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the street environment.
      In this study, despite the diversity of the scope of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stipulated by the law,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factors of some of the types of infrastructure being established in the residential support type project, It was intended to come up with a plan to install more diverse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reviewed the revitalization plan for each district targeting the Sangsaeng Village in Seo-gu, Hyosung Village in Gyeyang-gu, Gonggam Village in Jung-gu, and Hambak Village in Yeonsu-gu, which are promoting residential support-type projects in Incheon, and An analysis of the financial plan for each project and the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projec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curing of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in the four target districts, most of the project costs for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among the total revitalization plans account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project cost, The proportion of the priming water project cost varied from 13% to 77% according to the activation pla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parking lots, and parks in project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among the priming water projects was lower than that of public facilities for residents. Although the size and type of infrastructure required may vary depending on the current conditions and necessary facilities of each region, It is analyzed that the priming water project is focused on strengthening regional capabilities, but most of the types of infrastructure are road improvement and parking lot installation.
      As an improvement plan, we avoid uniform infrastructure installation plans such as roads and parking lots, Various infrastructure installation plans were prepared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when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a priming water project, it was suggested to secure various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through inter-ministerial cooperation or linked projects.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deal with the current progress of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projects in detail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activation pla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ecuring various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by referring to this study in promoting residential support type projects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1.1. 연구의 배경 1
      • 1.1.2. 연구의 목적 2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1.1. 연구의 배경 1
      • 1.1.2. 연구의 목적 2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1.2.1. 연구의 범위 3
      • 1.2.2. 연구의 방법 3
      • 제 2 장 이론연구 5
      • 2.1. 도시재생사업의 이해 5
      • 2.1.1. 도시재생사업의 도입배경 5
      • 2.1.2. 도시재생사업의 목적 5
      • 2.1.3. 도시재생사업의 주요 특징 6
      • 2.1.4. 도시재생뉴딜사업 8
      • 2.2. 도시재생사업의 내용 10
      • 2.2.1. 도시재생사업의 추진 단계별 내용 10
      • 2.2.2. 도시재생사업 기반시설 확보 12
      • 2.3. 도시재생사업 현황 13
      • 2.3.1. 연도별 도시재생사업 현황 13
      • 2.4. 선행연구 및 차별성 14
      • 2.4.1. 선행연구 분석 14
      • 2.4.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7
      • 제 3 장 인천시 도시재생사업 현황 18
      • 3.1. 인천시 쇠퇴현황 18
      • 3.1.1. 인천시 쇠퇴지표 18
      • 3.1.2. 인천시 도시성장 특성 21
      • 3.2. 인천시 도시재생사업 24
      • 3.2.1. 인천시 도시재생사업 개요 24
      • 3.2.2. 인천시 도시재생사업 현황 25
      • 3.2.3. 인천시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황 28
      • 제 4 장 도시재생기반시설 계획특성 분석을 위한 사례연구 37
      • 4.1. 분석의 개요 37
      • 4.1.1. 연구 대상지 선정 37
      • 4.1.2. 분석의 틀 51
      • 4.2. 도시재생기반시설 현황 분석 53
      • 4.1.1. 서구 상생마을 53
      • 4.1.2. 계양구 효성마을 56
      • 4.1.3. 중구 공감마을 59
      • 4.1.4. 연수구 함박마을 62
      • 4.3. 소결 65
      • 제 5 장 결 론 70
      • 5.1. 연구의 결론 70
      • 5.2. 연구 결과의 한계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