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pati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Disaster Risk, Vulnerable Population and Response Capacity - The Case of Cheongju Cit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6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재난약자는 상대적으로 재난 위험에 더욱 노출되어 있고 회복력도 낮기 때문에 효율적인 재난안전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 요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재난약자에 초점을 두고, 폭염과 침수를 대상으로 ‘재난위험-재난약자-대응력’ 간의 관계를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 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에 따라 재난약자의 분포특성과 재난안전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재난약자가 재난 위험에 실제로 더 많이 노출되어 있고, 공간적으로 불평등이 발생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간계획과 공간정보가 재난안전정책에 반영되어야 하며, 사 각지대 제거를 위한 대책이 요구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취약성 저감과 회복력 증진의 측면 에서 재난약자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정책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재난안전정의’ 를 실현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재난약자는 상대적으로 재난 위험에 더욱 노출되어 있고 회복력도 낮기 때문에 효율적인 재난안전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 요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재난약자에 ...

      재난약자는 상대적으로 재난 위험에 더욱 노출되어 있고 회복력도 낮기 때문에 효율적인 재난안전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 요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재난약자에 초점을 두고, 폭염과 침수를 대상으로 ‘재난위험-재난약자-대응력’ 간의 관계를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 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에 따라 재난약자의 분포특성과 재난안전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재난약자가 재난 위험에 실제로 더 많이 노출되어 있고, 공간적으로 불평등이 발생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간계획과 공간정보가 재난안전정책에 반영되어야 하며, 사 각지대 제거를 위한 대책이 요구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취약성 저감과 회복력 증진의 측면 에서 재난약자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정책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재난안전정의’ 를 실현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ulnerable popul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effective disaster and safety polices because they are relatively more exposed but less resilient to damage from disasters. This study examined the spatial relationship among disaster risk, vulnerable population and response capacity for the cases of heat wave and inund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ulnerable population and their sensitivity of disaster risks were different by region. Second, spatial inequality was observed for vulnerable populations who are more exposed to disaster risk.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atial data and planning should be used to design disaster and safety policy, focusing on the elimination of “blind spot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reducing vulnerability and improving resilience for vulnerable popu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determine policy priorities and contribute to providing a foundation for “disaster safety justice”.
      번역하기

      Vulnerable popul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effective disaster and safety polices because they are relatively more exposed but less resilient to damage from disasters. This study examined the spatial relationship among disaster risk, v...

      Vulnerable popul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effective disaster and safety polices because they are relatively more exposed but less resilient to damage from disasters. This study examined the spatial relationship among disaster risk, vulnerable population and response capacity for the cases of heat wave and inund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ulnerable population and their sensitivity of disaster risks were different by region. Second, spatial inequality was observed for vulnerable populations who are more exposed to disaster risk.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atial data and planning should be used to design disaster and safety policy, focusing on the elimination of “blind spot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reducing vulnerability and improving resilience for vulnerable popu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determine policy priorities and contribute to providing a foundation for “disaster safety just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 1. 재난약자에 관한 고찰
      • 2. 재난위험과 약자간의 관계 고찰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 1. 재난약자에 관한 고찰
      • 2. 재난위험과 약자간의 관계 고찰
      • 3. 재난 대응정책 고찰
      • III. 연구방법론
      • 1. 분석범위
      • 2. 자료 수집
      • 3. 분석 틀
      • Ⅳ. 분석 및 고찰
      • 1. 재난약자 분포현황 및 민감도 분석
      • 2. 재난위험과 재난약자 간 공간관계 분석
      • Ⅴ. 결론
      • 1. 재난약자 특성 기반의 재난안전정책 수립방안
      • 2. 공간관계 기반의 재난안전정책 수립방안
      •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References
      • 국문초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