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팬데믹 시대, ‘공간’을 주제로 한 글쓰기치료 수업 모형 연구 = A Study of a Sriting Therapy Class Model about “Space” in the Pandemic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34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팬데믹 시대,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계의 단절 등으로 고립감과 우울감 등을 경험하는 20대들에게 심리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는 점, 팬데믹 시대, 집안이나 실내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

      본고는 팬데믹 시대,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계의 단절 등으로 고립감과 우울감 등을 경험하는 20대들에게 심리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는 점, 팬데믹 시대, 집안이나 실내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크게 증가한 대학생들에게 ‘공간’에 대한 사유가 필요하다는 두 가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팬데믹 시대 ‘공간’을 주제로 한 글쓰기치료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4차시로 구성된 본 수업 모델은 글쓰기치료의 4단계 과정에 따라 고안된 모델로, 체베나 쓰기를 통한 무의식 속 공간 탐색(1차시), 나의 기억 속 토포필리아 탐색(2차시), 토포필리아의 공유를 통한 공간의식의 확장(3차시), 현재 나에게 가장 의미있는 공간 찾기와 소감 쓰기(4차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첫째, 공간을 주제로 한 글쓰기는 팬데믹 시대, 자신의 리비도가 가장 많이 투영되어 있는 공간을 발견하고, 그 공간에서의 행위와 의미들을 탐색할 수 있게 한다. 둘째, 토포필리아에 대한 글쓰기는 과거의 소중한 공간에 대한 기억과 감정들을 되살아나게 함으로써 공간의 중요성과 공간의 가치를 깨닫게 한다. 셋째, 수업시간에 발표를 통해 공유하는 공간에 대한 기억은 공간에 대한 이해와 깊이를 확장하게 하며, 확장된 공간의식을 바탕으로 현재 자신에게 가장 의미 있는 공간을 탐색하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성격과 취향, 자신의 가치관과 삶의 태도 등을 성찰할 수 있다. 넷째, 공간에 대한 글쓰기는 안전하고 조용한 글쓰기 공간 안에서 내면의 억압된 것들을 자유롭게 표출하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들을 정리하게 함으로써 글쓰기의 가치와 치유적 효과를 경험하게 한다.
      이처럼 팬데믹 시대, ‘공간을 주제로 한 글쓰기’는 학생들에게 구속과 제약, 답답함이나 무료함 너머, 공간의 다양성과 가능성, 그리고 공간의 소중함과 중요성 등을 탐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으며, 자신이 점유하고 있는 생활공간에 애착을 부여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주체성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writing therapy class model of “space” in the pandemic era based on the awareness of two problems. First, psychological help is needed for those in their 20s who experience feelings of isolation and depression due to social d...

      This paper presents a writing therapy class model of “space” in the pandemic era based on the awareness of two problems. First, psychological help is needed for those in their 20s who experience feelings of isolation and depression due to social distancing and disconnection. Second, college student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time at home or indoors during the pandemic. These problems have in common the fact that selecting “space” is necessary. This class model, which consists of four lessons,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four-step process of writing therapy. Chronologically, the process goes as follows: exploration of space in the unconscious through writing Chevena; exploration of topophilia in memory; expansion of spatial consciousness by sharing topophilia; and finding the most meaningful space at present and writing one’s impressions. As a result, we find the following.
      First, writing on the subject of space allows one to discover the space where one’s libido is most projected in the pandemic era. It also enables one to explore the actions and meanings in that space. Second, writing about topophilia conveys the importance and value of space by reviving memories and emotions about precious spaces of the past. Third, the memory of the spaces shared through conversation in class expands its understanding and depth. In addition, students can reflect on their personalities, tastes, values, a n d attitudes toward life through activities that explore the space that is most meaningful to them now. Fourth, writing about space allows students to freely express their inner repressed feelings in a safe and quiet writing space, and by having students organize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ey experience the value and healing effect of writing.
      Thus, “space-themed writing” in the pandemic era will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diversity, possibilities, specialness, and importance of space, rather than the constraints and restrictions of and stuffiness and boredom brought about by the pandemic. Moreover, by making them attach themselves to the living space that they occupy,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ir ident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20

      2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보도자료"

      3 제임스 페니베이커, "표현적 글쓰기" 엑스북스 2017

      4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포스트코로나 일상의 미래" 청림출판 2021

      5 오동섭, "코로나19 시대를 읽는 10가지 키워드" 세계선교연구원 (54) : 41-70, 2021

      6 "중앙일보 보도자료"

      7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21

      8 이효숙, "장소성 기반 자기 성찰 글쓰기 수업 모형 개발" 한국문화융합학회 39 (39): 113-144, 2017

      9 김춘경, "상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20

      10 홍단비, "박민규 소설에 나타난 공간의 특징과 치유성" 인문사회 21 12 (12): 1659-1674, 2021

      1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20

      2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보도자료"

      3 제임스 페니베이커, "표현적 글쓰기" 엑스북스 2017

      4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포스트코로나 일상의 미래" 청림출판 2021

      5 오동섭, "코로나19 시대를 읽는 10가지 키워드" 세계선교연구원 (54) : 41-70, 2021

      6 "중앙일보 보도자료"

      7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21

      8 이효숙, "장소성 기반 자기 성찰 글쓰기 수업 모형 개발" 한국문화융합학회 39 (39): 113-144, 2017

      9 김춘경, "상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20

      10 홍단비, "박민규 소설에 나타난 공간의 특징과 치유성" 인문사회 21 12 (12): 1659-1674, 2021

      11 이명미, "메타픽션을 활용한 글쓰기 치료 기법 연구" 한국문학치료학회 55 : 71-104, 2020

      12 이효숙 ; 홍송이,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에 나타난  대학의 장소성과 대학 적응 과정 고찰" 중앙어문학회 71 : 343-373, 2017

      13 채연숙, "글쓰기치료" 경북대학교출판부 2010

      14 "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

      15 앙리 르페브르,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9

      16 유현준, "공간의 미래" 을유문화사 2021

      17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사이 2020

      18 마르쿠스 슈뢰르, "공간, 장소, 경계" 에코리브르 2018

      19 김중철, "공간 읽기와 성찰적 글쓰기"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0 (10): 143-164, 2017

      20 박현이, "‘공간’의 재발견을 통한 교양교육으로서의 글쓰기 사례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1 (11): 467-492,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1 1.23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