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헬스클럽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정서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ntion Motivation and Emotion of Health-Club Particip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485728

      • 저자
      • 발행사항

        경주 : 경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학과 , 2005. 8

      • 발행연도

        200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92.8 판사항(4)

      • DDC

        796.0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ii, 42p ; 26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으로 "헬스클럽 참여동기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조사" 수록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헬스클럽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정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와 참여동기 및 정서에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관계모형을 설정, 헬스클럽 참여자의 참여동기 및 정서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는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참여동기 및 정서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참여동기간의 관계, 둘째,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정서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 선정은 2005년 현재 대구, 경북에 소재한 헬스클럽에서 수련하고 있는 회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집락무선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된 총 3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방법(self-administraion)을 적용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남자 84명(35.4%), 여자 153명(64.6%), 총 237명이였다.
      본 연구에서 통제하고자 한 배경변인은 연령, 성, 참여정도, 학력 등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제한하였으며,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참여동기 변인을 설정하였다. 설정한 잠재개념들간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적 분석기법은 SPSS/ win 11.0 version 프로그램으로 t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요인에 대해서는 이를 다시 Scheffe와 Duncan을 이용 사후검증을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되었다.
      첫째,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정서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참여 정도는 참여동기 및 정서에 관계가 있으며, 헬스클럽 참여 정도와 참여동기 및 정서의 인과관계는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참여정도의 지속이 참여동기와 정서수준을 향상시키는 변인으로 기여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헬스클럽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정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와 참여동기 및 정서에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관계모형을 설정, 헬스클럽 참여자의 참여동기 및 정서간의 관계를 규...

      본 연구는 헬스클럽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정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와 참여동기 및 정서에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관계모형을 설정, 헬스클럽 참여자의 참여동기 및 정서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는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참여동기 및 정서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참여동기간의 관계, 둘째,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정서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 선정은 2005년 현재 대구, 경북에 소재한 헬스클럽에서 수련하고 있는 회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집락무선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된 총 3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방법(self-administraion)을 적용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남자 84명(35.4%), 여자 153명(64.6%), 총 237명이였다.
      본 연구에서 통제하고자 한 배경변인은 연령, 성, 참여정도, 학력 등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제한하였으며,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참여동기 변인을 설정하였다. 설정한 잠재개념들간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적 분석기법은 SPSS/ win 11.0 version 프로그램으로 t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요인에 대해서는 이를 다시 Scheffe와 Duncan을 이용 사후검증을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되었다.
      첫째,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정서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헬스클럽 참여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참여 정도는 참여동기 및 정서에 관계가 있으며, 헬스클럽 참여 정도와 참여동기 및 정서의 인과관계는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참여정도의 지속이 참여동기와 정서수준을 향상시키는 변인으로 기여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motion of health club participationts.
      Subject for this study by using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consisted of adults in DaeGu, Gyeongbuk.
      By using self-administration method, 84 maleadults, 153 female adults, total 237 adul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ethod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elf-recording method were, T-test, one way ANOVA. The post-hoc comparison used Scheff, Duncan method.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atistics characteristics of Health club Participationts, motivation shows differences.
      2.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atistics characteristics of Health club Participationts, emotion shows differen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motion of health club participationts. Subject for this study by using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consisted of adults in DaeGu, Gyeongbuk. By 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motion of health club participationts.
      Subject for this study by using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consisted of adults in DaeGu, Gyeongbuk.
      By using self-administration method, 84 maleadults, 153 female adults, total 237 adul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ethod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elf-recording method were, T-test, one way ANOVA. The post-hoc comparison used Scheff, Duncan method.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atistics characteristics of Health club Participationts, motivation shows differences.
      2.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tatistics characteristics of Health club Participationts, emotion shows differ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국문요지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2
      • 목차 = ⅰ
      • 국문요지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2
      • 3. 관련 변인 및 연구 가설 = 3
      • 4. 연구의 제한점 = 3
      • Ⅱ. 이론적 배경 = 5
      • 1. 운동과 참여동기 = 5
      • 2. 운동과 정서 = 10
      • Ⅲ. 연구 방법 = 14
      • 1. 연구 대상 = 14
      • 2. 측정 도구 = 14
      • 3. 조사 절차 = 16
      • 4. 자료 분석 = 16
      • Ⅳ. 결과 분석 = 17
      • 1.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 17
      • 2. 헬스클럽 참여자의 특성 = 17
      • 3. 헬스클럽 참여자의 참여동기 및 정서 = 19
      • 4.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 동기 = 19
      • 5.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정서 = 26
      • Ⅴ. 논의 = 29
      • Ⅵ. 결론 = 32
      • 참고문헌 = 1
      • 부록 = 5
      • ABSTRACT = 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