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유네스코 세계유산 문화경관 등재 경향 분석† = An Analysis of Inscription Trends of UNESCO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45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121개 문화경관의 등재 경향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화경관 유산의 특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향후 문화경관으로 등재할 유산의 선정 기준과 등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UNESCO 세계유산센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공식 문서와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각 문화경관의 기본 정보와 속성 정보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도출된 주요 경향성과 관련된 개별 문화경관 사례를 추가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경관은 유럽과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으며 1992년 이후 등재 건수가 꾸준히 증가해 왔음을 확인하였다. 문화경관은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반영한 경관의 독특성, 전통문화와 토지 이용 방식의 중요성 등을 인정받아 주로 등재기준 (iv), (iii), (v), (ii)를 중심으로 등재되고 있다. 또한 문화경관은 크게 의도적으로 설계된 경관, 유기적으로 진화된 경관, 연상적 경관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그 중에서도 농업, 산업 등 인간 활동과 자연환경의 장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유기적으로 진화된 경관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세계유산 문화경관이 자연과 문화, 유형과 무형, 물질과 비물질을 아우르는 복합적 가치 체계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문화유산 인식과 보전 방식에 근본적인 전환을 요구하는 것으로, 개별 요소가 아닌 전체적 맥락을 중시하고 경관의 동적 변화 과정 자체에 주목하는 통합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나아가 문화경관은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로서 지역 정체성 확립, 공동체 회복력 강화,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문화경관의 보전과 관리에는 경관의 역동적 진화 과정을 총체적으로 조망하는 관점과 지역 공동체와 이해당사자들의 적극적 참여에 기반한 거버넌스 체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문화경관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제고하고, 향후 문화경관 유산의 선정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121개 문화경관의 등재 경향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화경관 유산의 특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향후 문화경관으로 등재할 유산의 선정 기준...

      본 연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121개 문화경관의 등재 경향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화경관 유산의 특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향후 문화경관으로 등재할 유산의 선정 기준과 등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UNESCO 세계유산센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공식 문서와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각 문화경관의 기본 정보와 속성 정보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도출된 주요 경향성과 관련된 개별 문화경관 사례를 추가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경관은 유럽과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으며 1992년 이후 등재 건수가 꾸준히 증가해 왔음을 확인하였다. 문화경관은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반영한 경관의 독특성, 전통문화와 토지 이용 방식의 중요성 등을 인정받아 주로 등재기준 (iv), (iii), (v), (ii)를 중심으로 등재되고 있다. 또한 문화경관은 크게 의도적으로 설계된 경관, 유기적으로 진화된 경관, 연상적 경관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그 중에서도 농업, 산업 등 인간 활동과 자연환경의 장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유기적으로 진화된 경관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세계유산 문화경관이 자연과 문화, 유형과 무형, 물질과 비물질을 아우르는 복합적 가치 체계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문화유산 인식과 보전 방식에 근본적인 전환을 요구하는 것으로, 개별 요소가 아닌 전체적 맥락을 중시하고 경관의 동적 변화 과정 자체에 주목하는 통합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나아가 문화경관은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로서 지역 정체성 확립, 공동체 회복력 강화,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문화경관의 보전과 관리에는 경관의 역동적 진화 과정을 총체적으로 조망하는 관점과 지역 공동체와 이해당사자들의 적극적 참여에 기반한 거버넌스 체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문화경관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제고하고, 향후 문화경관 유산의 선정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inscriptio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121 cultural landscapes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ir inherent values and attributes. By employing a dual methodology involv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th case studi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temporal inscription patterns, selection criteria, and typologies of these landscape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official documents and databases available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website, ensuring the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of the information. The analysis reveals that cultural landscapes are predominantly concentrated in Europe and Asia, with a steady increase in inscriptions since 1992. These landscapes are primarily recognized for their uniqueness in reflecting human-nature interaction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land-use practices, resulting in their inscription mainly under criteria (iv), (iii), (v), and (ii). Furthermore, cultural landscap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designed landscapes, organically evolved landscapes, and associative landscapes. Among these, organically evolved landscapes, formed through long-term interactions between human activities such as agriculture and indust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constitute a significant propor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ESCO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possess a complex value system encompassing nature and culture,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and material and non-material aspects. This necessitates a fundamental shift in the perception and preservation approaches to cultural heritage, requiring an integrated approach that emphasizes the overall context rather than individual elements and focuses on the dynamic process of landscape evolution itself. Moreover, cultural landscapes have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s by fostering regional identity, strengthening community resilience, and promoting sustainable economic growth. Therefore,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landscapes require a perspective that holistically views the dynamic evolution process of the landscape and a governance system based 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ies and stakehold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cultural landscape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future cultural landscape heritage site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inscriptio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121 cultural landscapes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ir inherent values and attributes. By employing a dual methodology involv...

      This study examines the inscriptio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121 cultural landscapes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ir inherent values and attributes. By employing a dual methodology involv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th case studi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temporal inscription patterns, selection criteria, and typologies of these landscape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official documents and databases available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website, ensuring the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of the information. The analysis reveals that cultural landscapes are predominantly concentrated in Europe and Asia, with a steady increase in inscriptions since 1992. These landscapes are primarily recognized for their uniqueness in reflecting human-nature interaction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land-use practices, resulting in their inscription mainly under criteria (iv), (iii), (v), and (ii). Furthermore, cultural landscap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designed landscapes, organically evolved landscapes, and associative landscapes. Among these, organically evolved landscapes, formed through long-term interactions between human activities such as agriculture and indust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constitute a significant propor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ESCO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possess a complex value system encompassing nature and culture,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and material and non-material aspects. This necessitates a fundamental shift in the perception and preservation approaches to cultural heritage, requiring an integrated approach that emphasizes the overall context rather than individual elements and focuses on the dynamic process of landscape evolution itself. Moreover, cultural landscapes have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s by fostering regional identity, strengthening community resilience, and promoting sustainable economic growth. Therefore,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landscapes require a perspective that holistically views the dynamic evolution process of the landscape and a governance system based 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ies and stakehold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cultural landscape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future cultural landscape heritage sit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