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이클 동호인들의 안전행동실천과 레저만족, 운동지속수행의 구조적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43833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기대학교 대학원 , 스포츠과학과 , 2022. 2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afety behavior practice, leisur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exercise performance of cyclists

      • 형태사항

        viii, 6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곽한병
        참고문헌 : p. 53-59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6449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yclist's safety behavior practic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al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n exercise continual performance. To this end, a theoretical model with safety behavior practice as an exogenous variable, leisure satisf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and exercise continuity as an endogenous variable was established and verified. The data of 254 cycling club members active in Bundang, Seongnam, Suwon, Yongin, and Suji in Gyeonggi-do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tools were: Seonhwa Yun(2000) and Gyuho Kim (2019)’s Safe Behavior Practice Scale, Beard and Ragheb(1980), Hyerim Min (2021)’s Leisure Satisfaction Scale(LSS), Corbin and Lindsey(1994), Yunyoung Lee (2020), The exercise continuity performance scale(EAQ) of Yang Hong-rim(2020) was used.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and reasoning statistical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appli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safety behavior practice,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ity performance by gender, age,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tion time, and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on in cycling club members. That i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are highest in the group under 30 years old, a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afety management, which is a sub-factor of safety behavior practic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eriod, is the highest in the group for 3 years or more, a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tendency, which is a sub-factor of sustained exercis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 was highest in the group 3 times a week, 4 times a week or mor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safety management and safety education, reinforcement, safety education and reinforc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safety behavior practice. ,there is a positive(+)correlation in reinforcing satisfaction and reinforcing, which are sub-factors of exercise continuity, reinforcing performance and possibilit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afety management of cyclists' safe behavioral practice had an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and the rest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exercise continuation performance.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the safety management of cyclists improves leisure satisfaction and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continuous exercise performanc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apply various safety behavior practice programs that can prevent deviation from exercise in order for cyclists to perform exercise continuous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yclist's safety behavior practic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al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n exercise continual performance. To this end, a theoreti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yclist's safety behavior practic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al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n exercise continual performance. To this end, a theoretical model with safety behavior practice as an exogenous variable, leisure satisf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and exercise continuity as an endogenous variable was established and verified. The data of 254 cycling club members active in Bundang, Seongnam, Suwon, Yongin, and Suji in Gyeonggi-do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tools were: Seonhwa Yun(2000) and Gyuho Kim (2019)’s Safe Behavior Practice Scale, Beard and Ragheb(1980), Hyerim Min (2021)’s Leisure Satisfaction Scale(LSS), Corbin and Lindsey(1994), Yunyoung Lee (2020), The exercise continuity performance scale(EAQ) of Yang Hong-rim(2020) was used.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and reasoning statistical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appli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safety behavior practice,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ity performance by gender, age,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tion time, and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on in cycling club members. That i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are highest in the group under 30 years old, a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afety management, which is a sub-factor of safety behavior practic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eriod, is the highest in the group for 3 years or more, a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tendency, which is a sub-factor of sustained exercis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 was highest in the group 3 times a week, 4 times a week or mor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safety management and safety education, reinforcement, safety education and reinforc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safety behavior practice. ,there is a positive(+)correlation in reinforcing satisfaction and reinforcing, which are sub-factors of exercise continuity, reinforcing performance and possibilit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afety management of cyclists' safe behavioral practice had an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and the rest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exercise continuation performance.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the safety management of cyclists improves leisure satisfaction and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continuous exercise performanc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apply various safety behavior practice programs that can prevent deviation from exercise in order for cyclists to perform exercise continuous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이클 동호인의 안전행동 실천이 레저만족 및 운동지속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레저만족이 운동지속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안전행동 실천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레저만족을 매개변인으로, 운동지속 수행을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기도 분당, 성남, 수원, 용인, 수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이클 동호회원 254명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윤선화(2000)와 김규호(2019)의 안전행동실천 척도, Beard와 Ragheb (1980), 민혜림(2021)의 레저만족 척도(LSS), Corbin과 Lindsey(1994), 이윤영(2020), 양홍림(2020)의 운동지속수행척도(EA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및 추리통계 분석, 공분산 구조분석이 적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클 동호인들의 성별, 연령별, 참여 기간별, 참여 시간별, 참여 횟수별 안전행동 실천, 레저만족, 운동지속 수행 변인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연령에 따른 레저만족 하위 요인인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은 30세 미만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참여 기간에 따른 안전행동 실천 하위 요인인 안전관리는 3년 이상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참여 횟수에 따른 운동지속 수행의 하위 요인인 경향성은 주 3회, 주 4회 이상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안전행동 실천 하위 요인인 안전관리와 안전교육, 강화성, 안전교육과 강화성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저만족 하위 요인인 심리적 만족과 사회적 만족, 사회적 만족과 휴식적 만족, 휴식적 만족과 강화성, 운동지속 수행 하위 요인인 강화성과 가능성에서 정적(+) 상관이 있다.
      셋째, 사이클 동호인들의 안전 행동 실천의 안전관리는 레저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레저만족의 휴식적 만족, 사회적 만족은 운동지속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하면 사이클 동호인들의 안전관리는 레저만족을 향상시키고, 운동지속 수행의 중요한 변수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사이클 동호인들의 운동지속 수행을 위해서는 운동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 행동 실천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이클 동호인의 안전행동 실천이 레저만족 및 운동지속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레저만족이 운동지속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안전행동 실천...

      본 연구는 사이클 동호인의 안전행동 실천이 레저만족 및 운동지속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레저만족이 운동지속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안전행동 실천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레저만족을 매개변인으로, 운동지속 수행을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기도 분당, 성남, 수원, 용인, 수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이클 동호회원 254명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윤선화(2000)와 김규호(2019)의 안전행동실천 척도, Beard와 Ragheb (1980), 민혜림(2021)의 레저만족 척도(LSS), Corbin과 Lindsey(1994), 이윤영(2020), 양홍림(2020)의 운동지속수행척도(EA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및 추리통계 분석, 공분산 구조분석이 적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클 동호인들의 성별, 연령별, 참여 기간별, 참여 시간별, 참여 횟수별 안전행동 실천, 레저만족, 운동지속 수행 변인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연령에 따른 레저만족 하위 요인인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은 30세 미만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참여 기간에 따른 안전행동 실천 하위 요인인 안전관리는 3년 이상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참여 횟수에 따른 운동지속 수행의 하위 요인인 경향성은 주 3회, 주 4회 이상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안전행동 실천 하위 요인인 안전관리와 안전교육, 강화성, 안전교육과 강화성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저만족 하위 요인인 심리적 만족과 사회적 만족, 사회적 만족과 휴식적 만족, 휴식적 만족과 강화성, 운동지속 수행 하위 요인인 강화성과 가능성에서 정적(+) 상관이 있다.
      셋째, 사이클 동호인들의 안전 행동 실천의 안전관리는 레저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레저만족의 휴식적 만족, 사회적 만족은 운동지속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하면 사이클 동호인들의 안전관리는 레저만족을 향상시키고, 운동지속 수행의 중요한 변수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사이클 동호인들의 운동지속 수행을 위해서는 운동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 행동 실천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 모형 및 가설 4
      • 4. 연구의 제한점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 모형 및 가설 4
      • 4. 연구의 제한점 5
      • 5.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안전행동실천 7
      • 1) 안전행동실천의 개념 및 정의 7
      • 2) 레저스포츠 안전사고 현황 및 특성 8
      • 3) 선행연구 동향 11
      • 2. 레저 만족 13
      • 1) 레저의 정의 13
      • 2) 레저만족 14
      • 3. 운동지속수행 16
      • 1) 운동지속수행의 정의 16
      • 2) 운동지속수행의 결정 요소 17
      • 4. 안전행동실천과 레저만족 및 운동지속수행의 관계 19
      • 1) 안전행동실천과 레저만족 19
      • 2) 안전행동실천과 운동지속수행 20
      • 3) 레저만족과 운동지속수행 21
      • Ⅲ. 연구 방법 23
      • 1. 연구대상 23
      • 2. 조사도구 24
      • 3.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25
      • 4.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33
      • Ⅳ. 연구결과 35
      •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안전행동실천, 레저만족, 운동지속수행간의 차이 검증 35
      • 2. 안전행동실천, 레저만족, 운동지속수행 간 상관관계 40
      • 3. 안전행동실천이 레저만족에 미치는 영향 41
      • 4. 안전행동실천이 운동지속 수행에 미치는 영향 42
      • 5. 레저만족이 운동지속 수행에 미치는 영향 43
      • 6. 측정모형 검증 44
      • Ⅴ. 논의 47
      •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안전행동실천, 레저만족, 운동지속수행간의 차이 47
      • 2. 안전행동실천과 레저만족 47
      • 3. 안전행동실천과 운동지속수행 48
      • 4. 레저만족과 운동지속수행 49
      • Ⅵ. 결론 및 제언 51
      • 1. 결론 51
      • 2. 제언 52
      • 참고문헌 53
      • 부 록 60
      • Abstract 6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유연만, "자율체육활동 참가 지속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 주대학교 대학원, 1999

      2 유정이, "여성 생활무용 참여의 재미요인,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박민규, 이용만, 신택현, "건강, 인지 및 안전 풍토가 안전 행동과 사고에 미 치는 영향: 철도기관사를 중심으로", 한국철도학회지, 16(4), 331-339, 2013

      4 서신아,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이 자아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운동 지속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5 박 철, "부사관 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계획행동이 안보의식, 안전의식 및 캠퍼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8

      1 유연만, "자율체육활동 참가 지속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 주대학교 대학원, 1999

      2 유정이, "여성 생활무용 참여의 재미요인,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박민규, 이용만, 신택현, "건강, 인지 및 안전 풍토가 안전 행동과 사고에 미 치는 영향: 철도기관사를 중심으로", 한국철도학회지, 16(4), 331-339, 2013

      4 서신아,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이 자아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운동 지속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5 박 철, "부사관 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계획행동이 안보의식, 안전의식 및 캠퍼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