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사이버상담과 면접상담, 전화상담을 비교해 봄으로써 사이버상담의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 사이버상담이 상담에 있어서 보조수단이 아닌 독자적인 상담의 한 형태로서 이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026498
대전 :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학위논문(석사) --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 사회상담학과 , 2001. 8
2001
한국어
186.3 판사항(4)
361.323 판사항(19)
대전
51p. : 수표 ; 26cm.
참고문헌: p. 44-4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상담과 면접상담, 전화상담을 비교해 봄으로써 사이버상담의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 사이버상담이 상담에 있어서 보조수단이 아닌 독자적인 상담의 한 형태로서 이에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상담과 면접상담, 전화상담을 비교해 봄으로써 사이버상담의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 사이버상담이 상담에 있어서 보조수단이 아닌 독자적인 상담의 한 형태로서 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그 기초 연구로서 사이버상담과 면접상담, 전화상담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이버상담과 면접상담, 전화상담을 이용한 내담자들을 성별, 대상별, 문제유형별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의 여러 상담기관 중 사이버상담과 면접상담, 전화상담을 함께 실시하고 있는 한국청소년상담원을 선정하였다. 전국 6개의 기관으로는 대도시와 일반 시도 지역을 골고루 선정,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이 기간 동안 이용한 19,257명의 내담자들의 자료를 기초로 사이버상담과 면접상담, 전화상담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들 기관의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의 내담자 이용실태를 바탕으로 하여 사이버상담과 면접상담, 전화상담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자료를 성별, 대상별, 상담내용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의 자료처리는 SPSS 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주요 배경변인별 응답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하였다. 통계분석의 유의도는 p<0.001=***로 표기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에 따른 상담유형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사이버상담과 면접상담, 전화상담 간에는 모두 여자가 남자 보다 상담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대상에 따른 상담유형간의 차이에 있어서는 면접상담과 사이버상담은 고등학생, 중학생, 학부모, 일반인의 순서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전화상담의 경우에는 학부모, 고등학생, 일반인, 중학생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이버상담과 면접상담에서는 상담대상에 따른 상담유형간의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지만 전화상담에 있어서는 월등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내담자 문제유형에 따른 상담유형간의 차이를 보면 면접상담과 사이버상담에서는 진로와 성격문제를 가장 많이 호소하였다. 따라서 면접상담과 사이버상담 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화상담의 경우에는 성문제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비교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면접상담과 사이버상담은 성별과 상담대상, 문제유형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전화상담과는 상담대상, 문제유형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conditon of cyber-counseling, facial counseling and telephon-counseling,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to support cyber-counseling which is not the secondary mean but its own way. To achive this pu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conditon of cyber-counseling, facial counseling and telephon-counseling,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to support cyber-counseling which is not the secondary mean but its own way.
To achive this purpase, gender, groups, and the types of problem of the clients were analyzed.
Korean Youth Counseling Institution and 6 counseling centers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 subjects were 19,257 clients counseling data.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hi-square test and Frequency in SPSS/win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 First, in gender, there are more female clients than male clients in the all parts.
Second, in groups, There are high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 and usual people in order in the parts of the facial and cyber-counseling.
But, in the case of telephone counseling, parents, high school student, usual people and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 in order.
This result means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facial counseling and cyber-counseling.
Third, in types of problem, There were the most things about personality and course in life in the parts of the facial counseling and cyber-counseli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the most things about sexual problem in the telephone-couns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facial counseling and cyber-counseling in the clients gender, groups, as well as the types of problem.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