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亂中雜錄"
2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3 민현구, "조선전기의 군사제도와 정치" 한국연구원 1983
4 이형석, "임진전란사" 임진왜란사간행위원회 1974
5 김진수, "임진왜란기 朴晉의 군사 활동과 평가" 고려사학회 (60) : 243-276, 2015
6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7 김강식, "임진왜란과 청도지역의 창의활동-청도 밀성박씨 14의사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1992
8 김강식, "임진왜란과 경상우도의 의병운동" 혜안 2001
9 김진수, "임진왜란 초기 경상좌도 조선군의 대응양상에 대한 검토-경상좌병사 박진(朴晉)과 권응수(權應銖)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4) : 1-27, 2012
10 정해은, "임진왜란 초기 경상좌도 안집사 김륵의 역할과 활동" 영남문화연구원 (28) : 357-388, 2015
1 "亂中雜錄"
2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3 민현구, "조선전기의 군사제도와 정치" 한국연구원 1983
4 이형석, "임진전란사" 임진왜란사간행위원회 1974
5 김진수, "임진왜란기 朴晉의 군사 활동과 평가" 고려사학회 (60) : 243-276, 2015
6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7 김강식, "임진왜란과 청도지역의 창의활동-청도 밀성박씨 14의사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1992
8 김강식, "임진왜란과 경상우도의 의병운동" 혜안 2001
9 김진수, "임진왜란 초기 경상좌도 조선군의 대응양상에 대한 검토-경상좌병사 박진(朴晉)과 권응수(權應銖)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4) : 1-27, 2012
10 정해은, "임진왜란 초기 경상좌도 안집사 김륵의 역할과 활동" 영남문화연구원 (28) : 357-388, 2015
11 노영구, "임진왜란 초기 경상우도 의병의 성립과 활동 영역 - 김면(金沔) 의병부대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64) : 33-64, 2007
12 정해은,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수령의 동향과 의병 지원 활동" 조선시대사학회 (70) : 133-168, 2014
13 이선희, "임진왜란 시기 咸陽 守令의 전란대처 - 『孤臺日錄』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110) : 95-123, 2010
14 김강식, "임란의병사의 재조명"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2012
15 최효식, "임란기 경상좌도의 의병항쟁" 국학자료원 2004
16 "鶴沙集"
17 "鶴峰全集"
18 "邑誌" 아세아문화사 1982
19 "節義錄"
20 "新增東國輿地勝覽"
21 "宣祖實錄"
22 "宣祖修正實錄"
23 "宣武願從錄"
24 "安村集"
25 "孤臺日錄"
26 "大山集"
27 "國朝榜目"
28 박홍갑, "16세기초 청도지역 사림의 활동 - 甁齋 朴河澄을 중심으로-"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28 :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