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과 인간 존엄성’이라는 제목으로 이루어진 본고에서 페미니즘이란 여성적 시각을 중심으로 ‘인간됨’의 의미를 묻고, 현실적인 삶의 방향과 목적을 되찾고자 하는 여성적 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80926
장경 (전 서강대학교)
2019
Korean
페미니즘 ; 인간 존엄성 ; 하느님의 모상 ; 가부장제 ; 성과 성차 ; Feminism ; Human Dignity ; Image of God ; Patriarchy ; Sex and Gender
KCI등재
학술저널
2-33(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페미니즘과 인간 존엄성’이라는 제목으로 이루어진 본고에서 페미니즘이란 여성적 시각을 중심으로 ‘인간됨’의 의미를 묻고, 현실적인 삶의 방향과 목적을 되찾고자 하는 여성적 외...
‘페미니즘과 인간 존엄성’이라는 제목으로 이루어진 본고에서 페미니즘이란 여성적 시각을 중심으로 ‘인간됨’의 의미를 묻고, 현실적인 삶의 방향과 목적을 되찾고자 하는 여성적 외침이라 말할 수 있다.
가부장적인 사회와 문화 속에서 여성의 억압과 종속, 그리고 비인간화의 현실을 체험한 페미니스트들에게 제1의 물결인 여성 운동은 ‘투표권이나 참정권’에서 여성의 평등 권리를 찾는 방향으로 드러난다. 다음으로 제2의 물결인 페미니스트 운동은 실존주의자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의 『제2의 성』(The Second Sex)을 예로 들 수 있겠다. 그녀는 이 책에서 남성은 ‘표준과 가치를 정하는 주체’로서 제1의 성이고, 여성은 ‘지배자 특성이 부족한 타자(other)’로서 제2의 성이 되었다고 지적한다. 제3의 물결로 드러난 페미니즘 이론은 ‘성, 섹슈얼리티와 젠더’의 불평등에 대한 문제들을 더 주시한다.
20세기에 가톨릭 여성신학의 대변자들은 류터(R.R. Ruether)와 피오렌자(E. Schüssler Fiorenza)다. 이들은 첫째로 여성의 관점에서 전통을 비판하는 일을 자신들의 과제로 파악한다. 둘째로 그들의 비판 작업은 성경과 그리스도교 전승 안에 숨겨진 여성사를 밝히려 하며 셋째로 역사적 자료와 시대적 통찰들을 결합시켜 신학 가르침들과 교의를 새롭게 꼴 짓고자 한다. 이처럼 ‘비판, 역사적 복원, 신학적 재건’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드러난 그들의 과제들은 수십 년간에 걸쳐 진행되면서, ‘신학적 방법론’이 그 자체로 정당성을 지니고 주요 논제로 떠올랐다. 그리하여 근대 이래, 모든 분야에서 ‘참된 실재’라는 기준이 ‘개인주의·위계성·남성 중심성’에서 ‘상호 의존·상호 관계·포용성’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신학적 인간학에서 중요한 것은 인간이 하느님의 모습대로 남성과 여성으로 창조되었다는 것이다. 이 창조는 인간이 한계와 가능성을 지니면서, 그들 모두, 양성 상호적 관계를 왜곡시킨 길고도 슬픈 악의 역사에 책임이 있다. 죄와 그 손상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인은 세례를 받고 새로운 삶으로 극복될 수 있다고 믿는다. 진정한 남녀평등이란 서로를 차별하지 않으면서 차이를 인정할 줄 아는 자세에서 참의미를 찾을 수 있다.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그 말씀을 따라 살 때, 삼위일체의 선물인 사랑으로 인간의 인격체는 더욱더 하느님의 모상을 닮아 갈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존슨, 엘리사벳 A, "하느님의 백한 번째 이름" 바오로딸 2000
2 페이트만, 캐럴, "페미니즘 정치사상사" 이후 2004
3 통, 로즈마리, "페미니즘 사상: 종합적 접근" 한신문화사 2000
4 피오렌자, "크리스찬 기원의 여성 신학적 재건" 종로서적 1986
5 로버, 주디스, "젠더 불평등, 페미니즘 이론과 정책" 일신사 2005
6 마이어, 우줄라 I, "여성주의철학 입문" 철학과 현실사 2005
7 크리스트, 캐롤 P, "여성의 성스러움"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1-42, 2011
8 피오렌자, "여성의 성스러움" 충남 대학교출판문화원 189-203, 2011
9 티슬턴, 앤서니, "엔서니 티슬턴의 성경해석학 개론: 철학적·신학적 해석학의 역사와 의의" 새물결플러스 2012
10 카, 앤, "신학·그 막힘과 트임, 여성신학개론" 분도출판사 13-41, 2004
1 존슨, 엘리사벳 A, "하느님의 백한 번째 이름" 바오로딸 2000
2 페이트만, 캐럴, "페미니즘 정치사상사" 이후 2004
3 통, 로즈마리, "페미니즘 사상: 종합적 접근" 한신문화사 2000
4 피오렌자, "크리스찬 기원의 여성 신학적 재건" 종로서적 1986
5 로버, 주디스, "젠더 불평등, 페미니즘 이론과 정책" 일신사 2005
6 마이어, 우줄라 I, "여성주의철학 입문" 철학과 현실사 2005
7 크리스트, 캐롤 P, "여성의 성스러움"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1-42, 2011
8 피오렌자, "여성의 성스러움" 충남 대학교출판문화원 189-203, 2011
9 티슬턴, 앤서니, "엔서니 티슬턴의 성경해석학 개론: 철학적·신학적 해석학의 역사와 의의" 새물결플러스 2012
10 카, 앤, "신학·그 막힘과 트임, 여성신학개론" 분도출판사 13-41, 2004
11 오닐, 메리, "신학·그 막힘과 트임, 여성신학개론" 분도출판사 185-213, 2004
12 라커그나, 캐서린, "신학·그 막힘과 트임, 여성신학개론" 분도출판사 113-150, 2004
13 콘, 조앤, "신학·그 막힘과 트임, 여성신학개론" 분도출판사 309-340, 2004
14 김영희, "새여성학 강의" 동녘 34-56, 1999
15 허혜경, "사회변동과 성역할" 문음사 2010
16 피오렌자, 엘리사벳 쉬슬러, "동등자 제자직: 비판적 여성론의 해방 교회론" 분도출판사 1997
17 큉, 한스, "그리스도교 여성사" 분도출판사 2011
18 데일리, 메리, "교회와 제2의 성" 여성신문사 1997
19 요한 바오로 2세, "교서 여성의 존엄"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89
20 Conn, Joann Wolski, "ew Vitality: The Challenge from Feminist Theology" 46 : 70-74, 1991
21 Johnson, Elizabeth A, "Women, Earth, and Creator Spirit" Paulist Press 1993
22 Saiving, Valerie, "Womanspirit Rising: A Feminist Reader in Religion" Harper San Francisco 25-42, 1979
23 Schmidt, Alvin John, "Veiled and Silenced: How Culture Shaped Sexist Theology" Mercer University Press 1990
24 O’Neill, Mary Aquin, "Toward a Renewed Anthropology" 36 (36): 725-736, 1975
25 Daly, Mary, "Toward a Philosophy of Women’s Liberation" Beacon Press 1973
26 De Beauvoir, Simone, "The Second Sex" Knopf 1953
27 Ford, David F, "The Modern Theologians Reader" Wilkey- Blackwell 261-272, 2012
28 Horowitz, Maryanne Cline, "The Image of God in Man: Is Woman Included" 72 (72): 175-206, 1979
29 Ruether, Rosemary Radford, "The Future of Feminist Theology in the Academy" 53 (53): 703-713, 1985
30 Humm, Maggie, "The Dictionary of Feminist Theory" Harvester Wheatsheaf 1989
31 St. John of the Cross, "The Collected Works of St. John of the Cross" Institute of Carmelite Studies 293-389, 1973
32 Daly, Mary, "The Church and the Second Sex" Harper & Row 1968
33 Weaver, Mary Jo, "Springs of Water in a Dry Land: Spiritual Survival for Catholic Women Today" Beacon Press 1993
34 Johnson, Elizabeth A, "She Who Is, The Mystery of God in Feminist Theological Discourse" Crossroad 1992
35 Ruether, Rosemary Radford, "Sexism and God-talk: Toward a Feminist Theology" Beacon Press 1983
36 Ruether, Rosemary Radford, "Religion and Sexism: Images of Women in the Jewish and Christian Traditions" Simon and Schuster 1974
37 Prusak, Bernard P, "Religion and Sexism" Simon and Schuster 89-116, 1974
38 John Paul Ⅱ, "Reflections on Humanae Vitae: Conjugal Morality and Spirituality" Daughters of St. Paul 1984
39 John Paul Ⅱ, "Original Unity of Man and Woman: Catechesis on the Book of Genesis" Daughters of St. Paul 1981
40 O’Faolain, Julia, "Not in God’s Image" Harper & Brothers 1973
41 De Beauvoir, "New French Feminism: An Anthology" Harvester Press 41-56, 1981
42 Weaver, Mary Jo, "New Catholic Women: A Contemporary Challenge to Traditional Religions Authority" Harper & Row 1985
43 Fiorenza, "Memory of Her: A Feminist Theological Reconstruction of Christian Origins" Crossroad 1983
44 Johnson, Elizabeth A, "Mary and the Female Face of God" 50 (50): 500-526, 1989
45 Janeway, Elizabeth, "Man’s World, Woman’s Place: A Study in Social Mythology" Dell 1971
46 Trible, Phyllis, "God and the Rhetoric of Sexuality" Fortress Press 1978
47 Collins, Adela Yarbro, "Feminist Perspectives on Biblical Scholarship" Scholars Press 1985
48 Russell, Letty, "Feminis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Westminster Press 1985
49 LaCugna, Catherine Mowry, "Catholic Women as Ministers and Theologians" 167 (167): 238-248, 1992
50 De Beauvoir, "Bread Not Stone: The Challenge of Feminist Biblical Interpretation" Beacon 1984
51 John Paul Ⅱ, "Blessed Are the Pure of Heart: Catechesis on the Sermon on the Mount and Writings of St. Paul" Daughters of St. Paul 1983
52 Sayers, Dorothy L, "Are Women Human" Eeerdmans 197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에 기초한 인간과 사회와 종교
요한 카시아누스와 이냐시오 데 로욜라의 영적 식별 비교 연구
여성의 천성에 반대하며: 공허하고 적용하기 어려운 개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23 | 0.668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