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덕연구단지의 두뇌 만들기 : 카이스트의 대덕 이전 및 대학화 과정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325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덕연구단지 산-학-연 네트워크 중 대표적인 “학”이라고 불리는 카이스트의 대덕이전 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이 과정이 단순히 카이스트가 지리적으로 이동한 결과가 아...

      본 연구는 대덕연구단지 산-학-연 네트워크 중 대표적인 “학”이라고 불리는 카이스트의 대덕이전 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이 과정이 단순히 카이스트가 지리적으로 이동한 결과가 아니라, 한국 사회에 독특한 의미를 지니고 있던 카이스트가 하나의 대학으로 정체성을 변화시킨 과정이었음에 주목한다. 1970년대부터 형성된 대덕연구단지는 한국에 새로운 “두뇌산업”을 일으키며, 지식기반경제를 선도하길 기대받았다. 그런데 이 두뇌산업을 이끌 두뇌들은 누구인가? 어떤 모습인가? 어떻게 길러지는 것인가? 본 연구는 이 질문에 대한 사전에 잘 정립된 답은 없었음을 강조하며, 카이스트의 두 차례 대덕 이전 시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덕연구단지가 구상·표방한 지식(인)을 둘러싼 상이한 이상 및 열망을 드러낸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인력 “고급화”에 대한 논의가 1970년대부터 이루어져 왔지만, 구체적인 고급인력에 대한 상이한 생각이, 변화하던 한국의 정치·경제적 맥락에서 형성·경합하여 왔고, 한국의 지식기반 경제의 모습은 이 과정에서 구체화 되었음을 강조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카이스트가 대덕연구단지의 지식(인) 양성소로 변모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1970-80년대 한국 사회가 구상·형성한 지식기반경제의 단면 및 혼선을 조명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1970s, the Korean government formed Daeduk Science Town with a hope to nurture “brain-intensive industry” and promote knowledge based economy. However, who was the brain for brain-intensive industry? What form of the brain was imagined, v...

      From the 1970s, the Korean government formed Daeduk Science Town with a hope to nurture “brain-intensive industry” and promote knowledge based economy. However, who was the brain for brain-intensive industry? What form of the brain was imagined, valued, and shaped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brain-intensive industry in Korea? This paper shows that there were few well-established answers which preceded Daeduk Science Town, and reveals instead the development of conflicted ideas over the nature of the brain by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KAIST. KAIST moved from Seoul to Daeduk in the 1980s, representing the important university in Daeduk Science Town. This paper highlights that KAIST’s move to Daeduk was not just the result of geographical relocation, but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ts identity into an university. By analyzing two moments at which the relocation of KAIST was raised from the 1970s, this paper unveils the way Daeduk Town configured and constructed the place for producing the brain for brain-intensive industry. Thereby, this paper illuminates the tension and confusion over the nature of the brain as a medium to explore the meanings of knowledge-based economy in a changing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 of South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두뇌산업으로의 전환 및 과학기술인력 고급화 : 카이스트 대덕 캠퍼스 설립안
      • 3. 고급“과학”두뇌 양성을 위한 카이스트의 대학화 및 대덕 이전
      • 4. 결론
      • 참고문헌
      • 1. 서론
      • 2. 두뇌산업으로의 전환 및 과학기술인력 고급화 : 카이스트 대덕 캠퍼스 설립안
      • 3. 고급“과학”두뇌 양성을 위한 카이스트의 대학화 및 대덕 이전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홍근, "한국정부의 경제적 역할 변화와 시장제도의 변화: 1980년대 초 ‘안정화시책’에 대한 담론제도주의 분석" 한국정치연구소 22 (22): 163-188, 2013

      2 송성수, "한국의 산업화와 기술발전" 들녘 2021

      3 조황희, "한국의 과학기술인력 정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

      4 한국과학원, "한국과학원 대덕캠퍼스 종합기본계획" 1979

      5 "한국과학기술원법 중 개정법률안"

      6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사반세기"

      7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대학(가칭) 설립(안) 검토회의 (5.14)"

      8 김근배, "한국 과학기술혁명의 구조" 들녘 2016

      9 문만용, "한국 과학기술 연구체제의 진화" 들녘 2017

      10 충대신문방송사, "충남대와 유성구, 함께 미래를 열어가는 ‘협력과상생’의 발전사"

      1 윤홍근, "한국정부의 경제적 역할 변화와 시장제도의 변화: 1980년대 초 ‘안정화시책’에 대한 담론제도주의 분석" 한국정치연구소 22 (22): 163-188, 2013

      2 송성수, "한국의 산업화와 기술발전" 들녘 2021

      3 조황희, "한국의 과학기술인력 정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

      4 한국과학원, "한국과학원 대덕캠퍼스 종합기본계획" 1979

      5 "한국과학기술원법 중 개정법률안"

      6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사반세기"

      7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대학(가칭) 설립(안) 검토회의 (5.14)"

      8 김근배, "한국 과학기술혁명의 구조" 들녘 2016

      9 문만용, "한국 과학기술 연구체제의 진화" 들녘 2017

      10 충대신문방송사, "충남대와 유성구, 함께 미래를 열어가는 ‘협력과상생’의 발전사"

      11 디트뉴스24, "충남대 대덕캠퍼스, 이렇게 만들어졌다"

      12 신향숙, "제5공화국의 과학 기술 정책과 박정희 시대 유산의 변용:기술 드라이브 정책과 기술 진흥 확대 회의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37 (37): 519-553, 2015

      13 과학기술실무계획반, "제4차경제개발 5개년계획: 과학기술부문계획, 1977~1981" 1976

      14 영재교육과정 설치 추진위원회, "제2회 영재교육과정 설치 추진위원회 회의록 (4.22)"

      15 한국과학원, "제2년차 5개년 사업계획" 카이스트 KRMS 기록관리시스템 1977

      16 과학기술처, "제1회 기술진흥 확대회의 : 대통령각하 당부말씀(안)"

      17 국회사무처, "제123회 국회 경제과학심의회회의록 제15호"

      18 국회사무처, "제122회 국회 경제과학심의회회의록 제3호"

      19 전일욱, "전두환 정부의 정부조직개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42 : 159-180, 2018

      20 최형섭, "재미한인과학기술자 개인 및 단체 형성과 업적에 관한 연구"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 79-85, 1998

      21 한국과학원, "장기고급과학기술인력 개발방안: 한국과학원 확충계획" 1978

      22 조선일보, "인사태풍 카운트 다운"

      23 공적조서, "이정오 공적조서"

      24 한국과학기술원, "영재교육과정신설계획(안)" 카이스트 KRMS 기록관리시스템 1983

      25 과학기술처, "연구·교육단지 건설을 위한 마스터 푸랜" 1971

      26 대통령비서실, "연구 학원도시 건설계획 : 대통령각하지시공문(안)"

      27 대통령비서실, "연구 학원도시 건설계획 : [회의록] 연구학원도시 건설계획(안)보고" 1973

      28 한경희, "엔지니어들의 한국사: 근현대사 속 한국 엔지니어들의 변천사" 휴머니스트 2016

      29 김형아, "박정희의 양날의 선택: 유신과 중화학공업" 일조각 2005

      30 문만용, "박정희 시대 과학기술 ‘제도 구축자’: 최형섭과 오원철" 한국과학사학회 35 (35): 225-244, 2013

      31 동아일보, "동아 인터뷰 이정오 과학기술처 장관"

      32 임덕순, "대덕연구단지의 발전과정 및 국제비교:-혁신클러스터 관점에서-" 한국기술혁신학회 7 (7): 373-395, 2004

      33 한국과학기술원, "대덕연구단지 활성화 계획 및 한국과학기술원 마스터 플랜" 1984

      34 대덕전문연구단지관리본부, "대덕연구단지 30년사: 1973-2003"

      35 미래창조과학부, "대덕연구개발특구 40년사: 과학기술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내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13

      36 과학기술처, "대덕연구 학원도시 건설 추진계획(제2차 보고)" 1973

      37 한국과학기술원, "대덕 이전 건설사업 계획 자료 송부"

      38 한국과학기술원, "국회 경과위 질의내용 (12.11)"

      39 인력계획관실, "과학영재교육과정설립(안)" 카이스트 KRMS 기록관리시스템 1983

      40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교육과정 설치사업계획안" 카이스트 KRMS 기록관리시스템 1983

      41 과학기술처, "과학영재과정설립추진계획(안)" 카이스트 KRMS 기록관리시스템 1984

      42 영재교육과정 설치 추진위원회, "과학영재과정 회의보고 (2.25)" 카이스트KRMS 기록관리시스템 1984

      43 영재교육과정 설치 추진위원회, "과학영재과정 설립관련 회의보고 (2.24)" 카이스트 KRMS 기록관리시스템 1984

      44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과정 & 산업기술대학 설립계획 검토(안) (2.27)" 카이스트 KRMS 기록관리시스템 1984

      45 문만용, "과학대통령 박정희 신화를 넘어: 과학과 권력, 그리고 국가" 역사비평사 75-108, 2018

      46 과학기술처, "과학기술처 장관 방독, 방미 결과보고서" 1981

      47 송성수, "과학기술종합계획에 관한 내용분석: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5

      48 한국과학기술원, "과학기술영재 양성을 위한 교육체제 확립에 관한 연구" 1982

      49 송성수, "과학기술거점의 진화 : 대덕연구단지의 사례" 9 (9): 33-55, 2009

      50 박영구, "공업화와 교육: 중화학공업화와 기능공 육성" 경제사학회 52 : 117-141, 2012

      51 과학자양성계획작업반, "고급과학자양성계획, 1981-91" 1981

      52 이창욱, "경기과학고등학교의 설립과 한국 과학영재교육 체제의 형성, 1969-1986" 서울대학교 2017

      53 한국과학원, "[이사회 보고안건] 한국과학원 대덕 Campus 건설계획 개요(안) 보고" 카이스트 KRMS 기록관리시스템 1978

      54 전기 및 전자공학과, "[서신] 제목: 전기 및 전자공학과의 전문석사과정"

      55 한국과학원, "[발표자료] 대덕캠퍼스건설계획" 카이스트 KRMS 기록관리시스템 1980

      56 한국과학원, "[기안] 대덕연구단지내의 한국과학원 분원부지 지정 요청 (수신:과학기술처 장관, 문서번호: 111-2657)"

      57 한국과학원, "[기안] 대덕단지내 한국과학원 부지 선정에 관한 일 (수신: 과학기술처장관 진흥국장, 문서번호: 342-1836)"

      58 이정오, "[관보] 이정오 과학기술처장관 82년도 과학기술처 시책방향 TV 대담"

      59 Kim, Dong-Won, "Winning Markets or Winning Nobel Prizes?: KAIST and the Challenges of Late Industrialization" 13 : 154-185, 1998

      60 Florida, Rhicard,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Basic Books 2002

      61 Machlup, Fritz,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the United Stat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2

      62 Landry, Charles, "The Creative City" Demos 1995

      63 Bell, Daniel,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 A Venture in Social Forecasting" Basic Books 1973

      64 Castells, Manuel, "Technopoles of the World: The Making of 21st Century Industrial Complexes" Routledge 1994

      65 Saxenian, Anna L., "Regional Advantage : Culture and Competition in Silicon Valley and Route 128"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66 Touraine, Alain, "Post-Industrial Society : Tomorrow’s Social History : Classes, Conflicts, and Culture in the Programmed Society" Random House 1971

      67 Carrillo, Francisco J., "Knowledge and the City: Concepts, Applications and Trends of Knowledge-Based Urban Development" Routledge 2014

      68 한국과학기술원, "KAIST 대덕이전에 관한 계획 제출"

      69 O’ Mara, Margaret P., "Cities of Knowledge : Cold War Science and the Search for the Next Silicon Vall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

      70 Cummings, Alex S., "Brain Magnet : Research Triangle Park and the Idea of Idea Economy" Columbia University 2020

      71 Han, Kyeonghee, "A Crisis of Identity: The Kwa-Hak-Ki-Sul-Ja (Scientist- Engineer) in Contemporary Korea" 2 (2): 125-147, 2010

      72 박훈탁, "1980년대 제5공화국 정부의 통화주의 인플레이션 정책의 정치경제:영국과 한국에서 상이한 아이디어와 이해와 제도의 상호작용" 21세기정치학회 15 (15): 132-154, 2005

      73 한국과학원, "1978학년도 입학안내서(전문석사과정포함) 발간: 1978학년도입학 안내"

      74 노동부, "(가칭)한국산업기술대학설립계획"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기술학연구회 -> 한국과학기술학회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6 1.08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