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톨릭 사회운동의 현실 인식과 참여 담론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을 중심으로 =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Korean Catholic Social Mov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912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과거에 가톨릭의 민주화 운동을 대표했던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이 특정한 지향을 갖게 된 이유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가톨릭 사회운동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로 대표되는 종교 내부의 혁신 및 권위주의 정부와의 우발적 충돌로 본격화되었다. 1974년 지학순 주교의 구속을 계기로 출범한 사제단은 기본권과 생존권이라는 당대의 보편적 저항 담론을 신학적으로 풀어내면서 박정희 정부에 대응했다. 이후 사제단의 지향점은 재야 민주화 운동 세력의 이념적, 이론적 전망을 실천적으로 수용, 변용하면서 체계화되었다. 1980년대를 경과하면서 사제단은 정치적 민주화를 중심적 과제로 삼고, 개헌 국면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민주화 이후 사제단은 분단을 모든 부조리의 근원으로 보는 분단체제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에 입각하여 통일/반통일, 반외세/외세의 구분에 입각한 인식과 실천을 지속하고 있다. 민주화 이후 사사화의 압력과 그에 따른 사제단의 소수정예화, 제도 교회와의 긴장-협력 관계 약화, 교회 밖 사회운동과의 연계 강화는 이러한 편향을 배태시킨 원인이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과거에 가톨릭의 민주화 운동을 대표했던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이 특정한 지향을 갖게 된 이유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가톨릭 사회운동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 연구는 과거에 가톨릭의 민주화 운동을 대표했던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이 특정한 지향을 갖게 된 이유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가톨릭 사회운동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로 대표되는 종교 내부의 혁신 및 권위주의 정부와의 우발적 충돌로 본격화되었다. 1974년 지학순 주교의 구속을 계기로 출범한 사제단은 기본권과 생존권이라는 당대의 보편적 저항 담론을 신학적으로 풀어내면서 박정희 정부에 대응했다. 이후 사제단의 지향점은 재야 민주화 운동 세력의 이념적, 이론적 전망을 실천적으로 수용, 변용하면서 체계화되었다. 1980년대를 경과하면서 사제단은 정치적 민주화를 중심적 과제로 삼고, 개헌 국면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민주화 이후 사제단은 분단을 모든 부조리의 근원으로 보는 분단체제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에 입각하여 통일/반통일, 반외세/외세의 구분에 입각한 인식과 실천을 지속하고 있다. 민주화 이후 사사화의 압력과 그에 따른 사제단의 소수정예화, 제도 교회와의 긴장-협력 관계 약화, 교회 밖 사회운동과의 연계 강화는 이러한 편향을 배태시킨 원인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lves into the factors underpinning the unique orientation of the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CPAJ), an organization historically emblematic of the Catholic democracy movement. The Catholic social movement has its roots in fortuitous confrontations with authoritarian regimes within the ecclesiastical sphere, coinciding with the epoch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inception of the CPAJ in 1974, catalyzed by the arrest of Bishop Ji, Hak Soon, marked a theological response to the political milieu, notably the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through the lens of the discourse on fundamental rights and the right to life. Since its inception, the CPAJ has systematically embraced and adapted the ideological and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wider democratization movement, extending beyond ecclesiastical confines. Post-democratization, the CPAJ actively endorsed the division-system theory, which posits division as the genesis of societal discord, underpinning its positions on matters concerning reunification/anti-reunification and the anti-imperialism/imperialism. The transformation in CPAJ’s disposition can be attributed to several key factors, including a diminishing tension-cooperation relationship with the institutional church and a simultaneous reinforcement of ties with external social movements, both beyond the ecclesiastical realm.
      번역하기

      This study delves into the factors underpinning the unique orientation of the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CPAJ), an organization historically emblematic of the Catholic democracy movement. The Catholic social movement has its roots in...

      This study delves into the factors underpinning the unique orientation of the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CPAJ), an organization historically emblematic of the Catholic democracy movement. The Catholic social movement has its roots in fortuitous confrontations with authoritarian regimes within the ecclesiastical sphere, coinciding with the epoch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inception of the CPAJ in 1974, catalyzed by the arrest of Bishop Ji, Hak Soon, marked a theological response to the political milieu, notably the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through the lens of the discourse on fundamental rights and the right to life. Since its inception, the CPAJ has systematically embraced and adapted the ideological and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wider democratization movement, extending beyond ecclesiastical confines. Post-democratization, the CPAJ actively endorsed the division-system theory, which posits division as the genesis of societal discord, underpinning its positions on matters concerning reunification/anti-reunification and the anti-imperialism/imperialism. The transformation in CPAJ’s disposition can be attributed to several key factors, including a diminishing tension-cooperation relationship with the institutional church and a simultaneous reinforcement of ties with external social movements, both beyond the ecclesiastical real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창희, "현대 한국 사회 안에서 사회 교리의 역할 - 70-80년대 한국 사회의 민주화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9) : 91-136, 2006

      2 함세웅, "함세웅의 붓으로 쓰는 역사기도" 라의눈 2022

      3 오세일, "한국천주교회와 사회 참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로 인한 성찰적 근대화" 한국사회학회 49 (49): 93-123, 2015

      4 김녕, "한국정치와 교회-국가 갈등" 소나무 1996

      5 강인철, "한국전쟁과 천주교 반공주의 : 역사적 변동과 비판적 성찰"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19) : 281-320, 2021

      6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한국 천주교회의 위상: ’70년대 정의구현활동에 대한 종합과 평가" 1985

      7 윤일웅, "한국 천주교의 갈등" 8 (8): 204-224, 1987

      8 강인철, "한국 천주교 통일운동의 역사와 과제" 천주교정의구현전국연합·통일열사 조성만(요셉) 10주기 추모사업위원회 3-39, 1998

      9 최민석, "한국 자유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1945~1970: 『사상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21

      10 정철희, "한국 민주화 운동의 사회적 기원: 미시동원맥락과 프레임의형성" 29 : 501-532, 1995

      1 황창희, "현대 한국 사회 안에서 사회 교리의 역할 - 70-80년대 한국 사회의 민주화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9) : 91-136, 2006

      2 함세웅, "함세웅의 붓으로 쓰는 역사기도" 라의눈 2022

      3 오세일, "한국천주교회와 사회 참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로 인한 성찰적 근대화" 한국사회학회 49 (49): 93-123, 2015

      4 김녕, "한국정치와 교회-국가 갈등" 소나무 1996

      5 강인철, "한국전쟁과 천주교 반공주의 : 역사적 변동과 비판적 성찰"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19) : 281-320, 2021

      6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한국 천주교회의 위상: ’70년대 정의구현활동에 대한 종합과 평가" 1985

      7 윤일웅, "한국 천주교의 갈등" 8 (8): 204-224, 1987

      8 강인철, "한국 천주교 통일운동의 역사와 과제" 천주교정의구현전국연합·통일열사 조성만(요셉) 10주기 추모사업위원회 3-39, 1998

      9 최민석, "한국 자유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1945~1970: 『사상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21

      10 정철희, "한국 민주화 운동의 사회적 기원: 미시동원맥락과 프레임의형성" 29 : 501-532, 1995

      11 추교윤, "한국 민주화 과정에서의 천주교회의 역할 : 천주교회의 도덕적 귄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12 안영배, "한국 가톨릭의 보수화" 56 : 76-81, 1991

      13 안수영, "한국 가톨릭 사제의 사회참여 활동의 특징과 변화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활동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1

      14 김수환, "추기경 김수환 이야기" 평화방송·평화신문 2009

      15 김선필, "천주교회의 관료제적 특성이 한국교회의 제2차 바티칸공의회 수용에 미친 영향 - 1980년대 공인 - 비공인 논란을 중심으로 -" 종교와문화연구소 (27) : 147-176, 2016

      16 서중석,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출범 배경과 활동" 수선사학회 (27) : 223-248, 2007

      17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홈페이지"

      18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전체회의"

      19 강인철, "종교권력과 한국 천주교회" 한신대학교출판부 2008

      20 Stark, Rodney, "종교경제행위론" 북코리아 2016

      21 Huntington, Samuel, "제3의 물결: 20세기 후반의 민주화" 인간사랑 2011

      22 함세웅, "정의구현사제단 20년, 성찰과 다짐"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16-22, 1994

      23 대한민국 검찰국, "인권수호를 위한 특별기도회 유인물 보고"

      24 함세웅, "이 땅에 정의를: 함세웅 신부의 시대 증언" 창비 2018

      25 기쁨과희망사목연구원, "암흑속의 횃불: 7,80년대 민주화운동의 증언제7권" 2000

      26 함세웅, "암흑속의 횃불: 7,80년대 민주화운동의 증언 제4권" 기쁨과희망사목연구소 345-349, 1997

      27 함세웅, "암흑속의 횃불: 7,80년대 민주화운동의 증언 제1권" 기쁨과희망사목연구소 3-11, 1996

      28 Davie, Grace, "세속화냐? 탈세속화냐?" 대한기독교서회 97-120, 2002

      29 Maduro, Otto, "사회적 갈등과 종교" 한국신학연구소 1988

      30 Bellah, Robert, "사회 변동의 상징 구조" 삼영사 1981

      31 박기호, "사제단의 위상과 새로운 진로의 모색"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20-26, 1994

      32 문규현, "분단의 장벽을 넘어서(하)" 두리 1990

      33 문규현, "분단의 장벽을 넘어서(상)" 두리 1990

      34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북한 선교와 통일: 200주년과 북한선교" 1984

      35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민족통일을 위한 신학적 반성: 제2차 통일Workshop 자료집" 1991

      36 Weber, Max, "막스 베버 종교사회학 선집" 나남 2008

      37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둘이 하나되게 내가 잡고 있으리라: 임진각 통일염원미사 교육자료" 1989

      38 한국가톨릭사목연구소, "더 나은 세상을 위하여: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대사회 문헌"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9

      39 지학순, "내가 겪은 공산주의" 가톨릭출판사 1976

      40 박재정, "국가, 시민사회와 가톨릭교회의 관계: 제5공화국을 중심으로" 29 (29): 299-332, 1995

      41 "가톨릭정보 홈페이지"

      42 기쁨과희망사목연구원, "“신부가 그런 일을 안 하려면, 뭐하러 사제가돼?”: 1970~80년대 불의한 국가폭력에 저항한 수도·성직자들의 증언집(1)" 2021

      43 Wilde, Melissa J., "Vatican Ⅱ: A Sociological Analysis of Religious Chan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44 Westhues, Kenneth, "The Church in Opposition" 37 (37): 299-314, 1976

      45 Zald, Mayer N., "Social Movements in an Organizational Society: Collected Essays" Transaction 67-95, 1987

      46 Zald, Mayer N.,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Growth, Decay and Change" 44 : 327-341, 1966

      47 Casanova, Jose, "Public Religions in the Modern Worl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48 Chang, Paul Y., "Protest Dialectics: State Repression and South Korea’s Democracy Movement, 1970-1979"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5

      49 McAdam, Doug, "Dynamics of Conten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50 Smith, Christian, "Disruptive Religion: The Force of Faith in Social-Movement Activism" Routledge 1-25, 1996

      51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90년 회의 및 활동 보고"

      52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90 통일염원 미사에 대한 전체평가서"

      53 홍석률, "1970년대 민주화 운동세력의 분단문제 인식 ―분단시대론과 분단체제론―" 한국역사연구회 (93) : 467-504, 2014

      54 최민석, "1970, 80년대 가톨릭 사회 참여의 조건과 전개 양상: 시국기도회를 중심으로" 한국공공사회학회 13 (13): 5-36, 202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