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 교재의 개정에 따른 통사적 난이도 추이 연구 : 서울대학교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596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구조를 지닌 종합 학습서의 틀을 갖추기 시작한 20세기 후반부터 최근까지 간행된 한국어 교재들에 수록된 텍스트들의 통사적 난이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순차적으로 개정된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의 『한국어』교재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비교한다. 청각구두식 교수법에 의한 1979년 교재와 1993년 교재, 문법 번역식 교수법과 의사소통 교수법을 절충한 2003년 교재, 기능과 과제 중심· 내용과 주제 중심 교수요목으로 구성되고 의사소통 교수법을 표방한 2013년 교재를 대상으로 본고는 시대에 따라 개정된 교재의 통사적 난이도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텍스트를 등급과 기능별로 문장의 명제 차원과 양태 차원에서 분석하고, 공시적인 관점과 더불어 통시적인 관점에서 문장의 통사적 난이도 추이를 고찰했다는 점에 있다.
      본고의 진행 상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검토하면서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에 대한 통시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분석대상의 선정 기준과 범위에 대해서 알아보고 2장에서는 교재를 분석하여 통사적 복잡성을 추출할 수 있는 이론인 ‘해석문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해석문법’을 통해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전 어학연구소)에서 1979년, 1993년, 2003년, 2013년에 출간한 교재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출간년도에 따라 개정된 교재 간의 통사적 난이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동일 기관에서 순차적으로 개정된 『한국어』교재의 시대적 배경과 교수법에 대래 살펴보고, 교재에 수록된 텍스트의 통사적 난이도를 등급별로, 기능별로, 명제와 양태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의 구어와 문어의 통사적 난이도의 차이, ‘말하기’, ‘듣기’, ‘읽기’의 기능별 텍스트의 통사적 난이도 차이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어』교재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구조를 지닌 종합 학습서의 틀을 갖추기 시작한 20세기 후반부터 최근까지 간행된 한국어 교재들에 수록된 텍스트들의 통사적 난이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구조를 지닌 종합 학습서의 틀을 갖추기 시작한 20세기 후반부터 최근까지 간행된 한국어 교재들에 수록된 텍스트들의 통사적 난이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순차적으로 개정된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의 『한국어』교재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비교한다. 청각구두식 교수법에 의한 1979년 교재와 1993년 교재, 문법 번역식 교수법과 의사소통 교수법을 절충한 2003년 교재, 기능과 과제 중심· 내용과 주제 중심 교수요목으로 구성되고 의사소통 교수법을 표방한 2013년 교재를 대상으로 본고는 시대에 따라 개정된 교재의 통사적 난이도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텍스트를 등급과 기능별로 문장의 명제 차원과 양태 차원에서 분석하고, 공시적인 관점과 더불어 통시적인 관점에서 문장의 통사적 난이도 추이를 고찰했다는 점에 있다.
      본고의 진행 상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검토하면서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에 대한 통시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분석대상의 선정 기준과 범위에 대해서 알아보고 2장에서는 교재를 분석하여 통사적 복잡성을 추출할 수 있는 이론인 ‘해석문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해석문법’을 통해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전 어학연구소)에서 1979년, 1993년, 2003년, 2013년에 출간한 교재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출간년도에 따라 개정된 교재 간의 통사적 난이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동일 기관에서 순차적으로 개정된 『한국어』교재의 시대적 배경과 교수법에 대래 살펴보고, 교재에 수록된 텍스트의 통사적 난이도를 등급별로, 기능별로, 명제와 양태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의 구어와 문어의 통사적 난이도의 차이, ‘말하기’, ‘듣기’, ‘읽기’의 기능별 텍스트의 통사적 난이도 차이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어』교재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yntactic difficulty of text contain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late 20th century, which began to frame a comprehensive study material with a systematic structure, until recently. To do this, the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Korean Language』textbook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which were revised sequentially. The study will examine the trends of sequentially revised textbooks’ syntactic difficulty through the ‘Audio-Lingual Method’ based textbook in 1979 and 1993, textbook in 2003 which compromised ‘Grammar Translation Method’ an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textbook in 2013 which composed course of study based on function, task-oriented · content and subject-oriented and claim to advocat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 contained in the『Korean Language』textbook in terms of the proposition(명제) and modality(양태) dimension by class(등급) and function, and contemplate the sentences’ syntactic difficulty trend in synchronic(공시) and diachronic(통시) perspective.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tudy pointed out that there is lack of diachronic research about text in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examined the selection criteria and scope of analysis targets. Chapter 2 presented the ‘analysis phase grammar(해석문법)’, a theory that can analyze textbooks and extract syntactic complexity. Chapter 3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former Language Research Institute) published textbooks in 1979, 1993, 2003, and 2013 through analysis phase grammar. Finally, Chapter 4 compared syntactic difficulty between the sequentially revised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in Chapter 3.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eaching methods of『Korean Language』textbooks, which were revised sequentially by the same institution, and contemplated the syntactic difficulty of text contained in textbooks by class and function, and proposition and modality dimension. This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syntactic difficulty of Korea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nd the syntactic difficulty of text by function of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This will help develop the『Korean Language』textbook.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syntactic difficulty of text contain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late 20th century, which began to frame a comprehensive study material with a systematic structure, until recently. To do this, the study anal...

      This study examines the syntactic difficulty of text contain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late 20th century, which began to frame a comprehensive study material with a systematic structure, until recently. To do this, the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Korean Language』textbook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which were revised sequentially. The study will examine the trends of sequentially revised textbooks’ syntactic difficulty through the ‘Audio-Lingual Method’ based textbook in 1979 and 1993, textbook in 2003 which compromised ‘Grammar Translation Method’ an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textbook in 2013 which composed course of study based on function, task-oriented · content and subject-oriented and claim to advocat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 contained in the『Korean Language』textbook in terms of the proposition(명제) and modality(양태) dimension by class(등급) and function, and contemplate the sentences’ syntactic difficulty trend in synchronic(공시) and diachronic(통시) perspective.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tudy pointed out that there is lack of diachronic research about text in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examined the selection criteria and scope of analysis targets. Chapter 2 presented the ‘analysis phase grammar(해석문법)’, a theory that can analyze textbooks and extract syntactic complexity. Chapter 3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former Language Research Institute) published textbooks in 1979, 1993, 2003, and 2013 through analysis phase grammar. Finally, Chapter 4 compared syntactic difficulty between the sequentially revised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in Chapter 3.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eaching methods of『Korean Language』textbooks, which were revised sequentially by the same institution, and contemplated the syntactic difficulty of text contained in textbooks by class and function, and proposition and modality dimension. This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syntactic difficulty of Korea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nd the syntactic difficulty of text by function of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This will help develop the『Korean Language』textboo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 1
      • 1.2. 선행 연구검토 3
      • 1.3. 연구 방법 10
      • 1.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 1
      • 1.2. 선행 연구검토 3
      • 1.3. 연구 방법 10
      • 2. 문장 분석의 이론과 실제 15
      • 2.1. 문장 분석의 틀 15
      • 2.2. 문장의 복잡성 및 측정 21
      • 2.3. 문장 분석의 실제 25
      • 3.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통사적 난이도 분석 29
      • 3.1. 1979년 교재의 통사적 난이도 30
      • 3.2. 1993년 교재의 통사적 난이도 36
      • 3.3. 2003년 교재의 통사적 난이도 40
      • 3.4. 2013년 교재의 통사적 난이도 54
      • 4. 서울대 한국어 교재 간의 통사적 난이도 비교 74
      • 4.1. 동일 등급 간 통사적 난이도 비교 74
      • 4.2. 동일 영역 간 통사적 난이도 비교 84
      • 4.3. 2003년 교재와 2013년 교재의 통사적 난이도 비교 92
      • 4.4. 전체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통사적 난이도 비교 109
      • 5. 결론 112
      • 참고문헌 117
      • ABSTRACT 123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