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교과서의 한국 고대사 내용요소와 체계화 방안 = A Study on the Content Elements and Systematization of Korean Ancient History in Secondary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2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ystematization has become a problem with each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systematization should be based on content, not on form. In this sense of problem, this paper reviewed the research performance of ancient history and presented a method of systematization based on it.
      While the research of ancient history is diversified and subdivided, I think the core content of ancient history is, after all, “an ancient country,” and it is possible to systematize by school grade according to how to teach the ancient country. In middle school curricula, we selected content elements based on development of individual countries with historical facts. And in high school, we selected content systems and content elements based on subjects.
      In particular, the subject-oriented content has the advantage of introducing new materials or actively reflecting the academic research achievements.
      번역하기

      Systematization has become a problem with each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systematization should be based on content, not on form. In this sense of problem, this paper reviewed the research performance of ancient history and presented a method of...

      Systematization has become a problem with each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systematization should be based on content, not on form. In this sense of problem, this paper reviewed the research performance of ancient history and presented a method of systematization based on it.
      While the research of ancient history is diversified and subdivided, I think the core content of ancient history is, after all, “an ancient country,” and it is possible to systematize by school grade according to how to teach the ancient country. In middle school curricula, we selected content elements based on development of individual countries with historical facts. And in high school, we selected content systems and content elements based on subjects.
      In particular, the subject-oriented content has the advantage of introducing new materials or actively reflecting the academic research achieve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과정 개정 때마다 계열화가 문제가 되었다. 계열화는 형식이 아니라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고대사의 연구성과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고대사 연구가 다양해지고 세분화되어지고 있지만, 결국 고대사의 핵심 내용요소는 '고대국가'이며, 고대국가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따라 학교급별 계열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중학교 교과에서는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게 개별국가의 성립과 발전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고등학교에서는 주제에 따른 내용체계와 내용요소를 선정해 보았다. 특히 주제 중심의 내용는 새로운 자료의 소개나 학계의 연구성과를 적극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번역하기

      교육과정 개정 때마다 계열화가 문제가 되었다. 계열화는 형식이 아니라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고대사의 연구성과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

      교육과정 개정 때마다 계열화가 문제가 되었다. 계열화는 형식이 아니라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고대사의 연구성과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고대사 연구가 다양해지고 세분화되어지고 있지만, 결국 고대사의 핵심 내용요소는 '고대국가'이며, 고대국가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따라 학교급별 계열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중학교 교과에서는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게 개별국가의 성립과 발전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고등학교에서는 주제에 따른 내용체계와 내용요소를 선정해 보았다. 특히 주제 중심의 내용는 새로운 자료의 소개나 학계의 연구성과를 적극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세철, "歷史의 有用性과 歷史敎育目標" 역사교육연구회 (87) : 153-186, 2003

      2 김창겸, "확대되는 한국고대사, 2005년 회고와 전망" 역사학회 (191) : 21-61, 2006

      3 강종훈, "현행 중등 역사 교과서의 한국 고대사 부분 서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고조선~삼국 시대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48) : 113-154, 2018

      4 장신, "해제 「중·고등학교 국사교육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36 : 2016

      5 하일식, "한국사연구 50년" 혜안 2005

      6 김기흥, "한국고대사 연구 50년" 79 : 1995

      7 한국고대사학회,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서경문화사 2007

      8 김한종, "중학교 국사교육의 의미와 내용구성" 역사교육연구회 (124) : 25-57, 2012

      9 이미미, "중학교 - 역사 - 수업에서의 사료 활용 실태 연구" 한국역사교육학회 (29) : 87-132, 2017

      10 양호환, "중등 역사 교육과정 개발의 현안과 역사교육 개선 방안" 역사교육연구회 (120) : 293-319, 2011

      1 윤세철, "歷史의 有用性과 歷史敎育目標" 역사교육연구회 (87) : 153-186, 2003

      2 김창겸, "확대되는 한국고대사, 2005년 회고와 전망" 역사학회 (191) : 21-61, 2006

      3 강종훈, "현행 중등 역사 교과서의 한국 고대사 부분 서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고조선~삼국 시대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48) : 113-154, 2018

      4 장신, "해제 「중·고등학교 국사교육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36 : 2016

      5 하일식, "한국사연구 50년" 혜안 2005

      6 김기흥, "한국고대사 연구 50년" 79 : 1995

      7 한국고대사학회,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서경문화사 2007

      8 김한종, "중학교 국사교육의 의미와 내용구성" 역사교육연구회 (124) : 25-57, 2012

      9 이미미, "중학교 - 역사 - 수업에서의 사료 활용 실태 연구" 한국역사교육학회 (29) : 87-132, 2017

      10 양호환, "중등 역사 교육과정 개발의 현안과 역사교육 개선 방안" 역사교육연구회 (120) : 293-319, 2011

      11 김한종, "중·고등학교 국사교육의 내용구성 원리" 26 : 2001

      12 김한종, "중·고등학교 국사교육목표의 설정 방안" 63 : 1997

      13 김항구, "중·고등학교 국사교육내용의 선정 방안" (창간) : 1997

      14 신선혜, "제4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대사 서술 특징과 배경" 대구사학회 136 : 191-230, 2019

      15 박찬흥, "제3차~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고대 국가 발달단계론에 대한 서술 검토" 호서사학회 (54) : 1-32, 2009

      16 이정빈, "제3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특징" 역사교과서연구소 (27) : 85-125, 2018

      17 역사교육연구소, "우리 역사교육의 역사" 책과함께 2015

      18 임기환, "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책과함께 2013

      19 정선영,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1

      20 박미선, "역사교육에서 고대사 영역의 내용 체계와 계열성 검토- 2011 교육과정과 2013 검정교과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47) : 1-33, 2018

      21 김한종,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선인 2006

      22 "역사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한국사 핵심 내용 요소 개발" 2015

      23 방지원, "역사교육 계열화의 개념과 원리" 한국역사교육학회 (3) : 7-60, 2006

      24 김한종, "역사교육 계열화를 위한 고등학교 국사교육 내용구성 방안" 호서사학회 (40) : 79-120, 2005

      25 신유아, "역사 교과에서 학습 내용 체계화의 가능성과 필요성" 역사교육학회 (64) : 71-98, 2017

      26 신유아, "역사 교과에서 계열성 구현의 難點" 역사교육연구회 (120) : 99-127, 2011

      27 주보돈, "신라사연구 50년의 성과와 전망" 16 : 1997

      28 전호태, "밖으로부터 시작된 위기와기회, 2004년의 한국고대사연구" 역사학회 (187) : 11-28, 2005

      29 신소연, "내용 요소 분석을 통해 본 역사 교육과정 개정의 계열성 -2007․2009․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사학회 (51) : 183-222, 2017

      30 이경섭, "기로에 선 한국고대사 연구와 전망" 역사학회 (235) : 23-62, 2017

      31 윤종영, "국사 교과서 파동" 혜안 1999

      32 김영하,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정신문화연구원 1996

      33 문창로, "고대사연구 60년의 동향과 과제" 한국고대사학회 (40) : 351-390, 2005

      34 이기동, "고대" 10 : 1989

      35 조영광, "2015 개정 역사 교육과정의 한국 고대사 부분에 대한 검토"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1277-1290,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6 1.598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