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숲 정원의 가치평가지표의 개발 = Development of Forest Garden Value Ind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10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that can make an appropriate assessment of the forest gardens currently being attempted. To accurately evaluate forest gardens, various research results were carried out with reference, and various evaluation indexes conducted in existing studies were objectively evaluated by expert groups and their importance was assessed through AHP to improve their accuracy. In particular, the system of assessment indicators could be further strengthened by conducting evaluations in two stages by dividing them into higher and detailed categories. It was judged that the assessment index for forest gardens was sufficient to assess the basic items that forests should have, and to summarize the definition of existing forests. The evaluation index of the landscape value of forest gardens was developed so that various elements of the site could be evaluated by dividing the forest into natural, artificial and landscape elements. In addition, the evaluation index of the ecological value of forest gardens allowed the assessment of the site by dividing it into the health, species diversity, and maintenance of the habitat, and the assessment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of garden. The evaluation indexes of forest gardens developed in this way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forest gardens that were actually created. Hwadam Forest and Cheonripo Arboretum were found to be sufficiently valuable as forest gardens, but Lee Hyo-seok's forest of literature was found to have low ecological and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complementary work on this value could be recognised as a forest garden. And Wondae-ri birch forest is a very famous tourist destination for its birch colony, but it was not highly regarded as an ecologically simple forest and did not have enoug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ultural value by securing biodiversity using flowers and developing various progra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evaluate various sites, and the accumulation of databases is necessary to accurately evaluate forest gardens of different types.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that can make an appropriate assessment of the forest gardens currently being attempted. To accurately evaluate forest gardens, various research results were carried out with reference,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that can make an appropriate assessment of the forest gardens currently being attempted. To accurately evaluate forest gardens, various research results were carried out with reference, and various evaluation indexes conducted in existing studies were objectively evaluated by expert groups and their importance was assessed through AHP to improve their accuracy. In particular, the system of assessment indicators could be further strengthened by conducting evaluations in two stages by dividing them into higher and detailed categories. It was judged that the assessment index for forest gardens was sufficient to assess the basic items that forests should have, and to summarize the definition of existing forests. The evaluation index of the landscape value of forest gardens was developed so that various elements of the site could be evaluated by dividing the forest into natural, artificial and landscape elements. In addition, the evaluation index of the ecological value of forest gardens allowed the assessment of the site by dividing it into the health, species diversity, and maintenance of the habitat, and the assessment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of garden. The evaluation indexes of forest gardens developed in this way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forest gardens that were actually created. Hwadam Forest and Cheonripo Arboretum were found to be sufficiently valuable as forest gardens, but Lee Hyo-seok's forest of literature was found to have low ecological and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complementary work on this value could be recognised as a forest garden. And Wondae-ri birch forest is a very famous tourist destination for its birch colony, but it was not highly regarded as an ecologically simple forest and did not have enoug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ultural value by securing biodiversity using flowers and developing various progra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evaluate various sites, and the accumulation of databases is necessary to accurately evaluate forest gardens of different typ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숲 정원에 대하여 적절한 평가를 내릴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숲 정원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의 결과를 참고로 진행하였으며, 기존 연구들에서 진행된 다양한 평가지표들을 전문가 집단에 의해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그 중요성을 AHP를 통하여 평가한 결과를 토대로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정확도를 높혔다. 특히, 평가지표를 상위항목과 세부 항목으로 구분하여 2단계에 의한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평가지표의 체계가 더욱 확고해질 수 있었다. 숲 정원의 성상적 가치평가지표는 숲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항목을 평가하는 것으로, 기존의 숲에 대한 정의에 대하여 정리하는 것으로 평가지표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숲 정원의 경관적 가치의 평가지표는 숲이 가지는 자연적 요소, 인공적 요소, 경관적 요소로 구분하여 평가하도록 하여,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요소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그리고 숲 정원의 생태적 가치의 평가지표에서는 서식지의 건강성, 종다양성, 유지관리로 구분하여 대상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정원이라는 요소를 감안하여 유지관리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숲 정원의 평가지표는 실제로 조성되는 숲 정원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여 그 정확성을 파악하였다. 4곳을 대상으로 숲 정원 평가지표를 적용해 본 결과, 화담숲과 천리포 수목원은 숲 정원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효석 문학의 숲은 생태적 가치와 역사/문화적 가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가치에 대한 보완작업을 실시한다면, 숲 정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원대리 자작나무숲은 자작나무 군락으로 아주 유명한 관광지이지만, 생태적으로는 단순림에 속해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으며, 역사문화적 가치도 충분치 않았으므로, 초화류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확보와,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문화적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는 대상지의 수가 적어, 여러 대상지를 선정하여 평가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유형을 가지는 숲 정원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의 누적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숲 정원에 대하여 적절한 평가를 내릴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숲 정원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의 ...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숲 정원에 대하여 적절한 평가를 내릴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숲 정원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의 결과를 참고로 진행하였으며, 기존 연구들에서 진행된 다양한 평가지표들을 전문가 집단에 의해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그 중요성을 AHP를 통하여 평가한 결과를 토대로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정확도를 높혔다. 특히, 평가지표를 상위항목과 세부 항목으로 구분하여 2단계에 의한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평가지표의 체계가 더욱 확고해질 수 있었다. 숲 정원의 성상적 가치평가지표는 숲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항목을 평가하는 것으로, 기존의 숲에 대한 정의에 대하여 정리하는 것으로 평가지표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숲 정원의 경관적 가치의 평가지표는 숲이 가지는 자연적 요소, 인공적 요소, 경관적 요소로 구분하여 평가하도록 하여,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요소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그리고 숲 정원의 생태적 가치의 평가지표에서는 서식지의 건강성, 종다양성, 유지관리로 구분하여 대상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정원이라는 요소를 감안하여 유지관리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숲 정원의 평가지표는 실제로 조성되는 숲 정원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여 그 정확성을 파악하였다. 4곳을 대상으로 숲 정원 평가지표를 적용해 본 결과, 화담숲과 천리포 수목원은 숲 정원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효석 문학의 숲은 생태적 가치와 역사/문화적 가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가치에 대한 보완작업을 실시한다면, 숲 정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원대리 자작나무숲은 자작나무 군락으로 아주 유명한 관광지이지만, 생태적으로는 단순림에 속해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으며, 역사문화적 가치도 충분치 않았으므로, 초화류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확보와,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문화적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는 대상지의 수가 적어, 여러 대상지를 선정하여 평가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유형을 가지는 숲 정원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의 누적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산림청, "지역경관림 선정 지표" 2004

      2 유주한,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평가지표 체계구축"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287-298, 2005

      3 이주희, "조경설계공모의 문제점 및 요소별 중요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41 (41): 62-71, 2013

      4 반영운, "전문가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4 (14): 53-61, 2008

      5 산림청, "자연휴양림등 타당성평가의 세부기준"

      6 산림청, "자연휴양림 등 타당성 평가의 세부기준(시행(2018. 8. 9, 산림청고시 제2018-71호, 2018. 8. 9. 일부개정)"

      7 윤형두, "우리나라 도시 특성을 고려한 도시생물다양성지수 적용성 검토 및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 개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5 (25): 442-456, 2016

      8 이승훈, "심리적 지표 평가에 의한 도시와 옥상정원, 숲의 경관 비교" 서울연구원 12 (12): 53-65, 2011

      9 홍광표, "숲과 정원의 가치파악을 통한 숲 정원 개념의 정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171-178, 2020

      10 수원시정연구원, "수원시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2016

      1 산림청, "지역경관림 선정 지표" 2004

      2 유주한,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평가지표 체계구축"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287-298, 2005

      3 이주희, "조경설계공모의 문제점 및 요소별 중요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41 (41): 62-71, 2013

      4 반영운, "전문가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4 (14): 53-61, 2008

      5 산림청, "자연휴양림등 타당성평가의 세부기준"

      6 산림청, "자연휴양림 등 타당성 평가의 세부기준(시행(2018. 8. 9, 산림청고시 제2018-71호, 2018. 8. 9. 일부개정)"

      7 윤형두, "우리나라 도시 특성을 고려한 도시생물다양성지수 적용성 검토 및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 개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5 (25): 442-456, 2016

      8 이승훈, "심리적 지표 평가에 의한 도시와 옥상정원, 숲의 경관 비교" 서울연구원 12 (12): 53-65, 2011

      9 홍광표, "숲과 정원의 가치파악을 통한 숲 정원 개념의 정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171-178, 2020

      10 수원시정연구원, "수원시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2016

      11 김지윤, "수생태계 종적 연결성 평가를 위한 국내외 연구 현황 및 어류기반 종적 연속성 평가모델 적용성 분석" 한국환경생물학회 38 (38): 634-649, 2020

      12 송인주, "서울시 공원녹지 생물다양성 지표 개발과 적용방안" 1-21, 2019

      13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관자원 평가지표" 2004

      14 산림청, "산림경관관리지역 선정지표" 2008

      15 강미희,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산림과학회 99 (99): 777-784, 2010

      16 정대영,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을 위한 가용공간의 중요도 분석 -AHP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조경학회 47 (47): 103-114, 2019

      17 산림청, "도시림 지속성 지수 개발 연구" 2011

      18 산림청, "녹색건전성 평가 지표 개발 및 모니터링" 2007

      19 시아티엔티엔, "노거수의 건강 위험도 평가 요소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한국조경학회 45 (45): 149-159, 2017

      20 오장근,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 49 (49): 147-152, 2016

      21 임진강, "계층적 분석기법(AHP)에 의한 제주 돌문화경관자원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5 (45): 16-27, 2017

      22 "U.S. Bureau of Landscape Management"

      23 SEBI, "Streamlining European Biodiversity Indicators"

      24 "Marrakech Accords Decision 11/CP.7, Annex 1(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