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림청, "지역경관림 선정 지표" 2004
2 유주한,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평가지표 체계구축"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287-298, 2005
3 이주희, "조경설계공모의 문제점 및 요소별 중요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41 (41): 62-71, 2013
4 반영운, "전문가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4 (14): 53-61, 2008
5 산림청, "자연휴양림등 타당성평가의 세부기준"
6 산림청, "자연휴양림 등 타당성 평가의 세부기준(시행(2018. 8. 9, 산림청고시 제2018-71호, 2018. 8. 9. 일부개정)"
7 윤형두, "우리나라 도시 특성을 고려한 도시생물다양성지수 적용성 검토 및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 개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5 (25): 442-456, 2016
8 이승훈, "심리적 지표 평가에 의한 도시와 옥상정원, 숲의 경관 비교" 서울연구원 12 (12): 53-65, 2011
9 홍광표, "숲과 정원의 가치파악을 통한 숲 정원 개념의 정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171-178, 2020
10 수원시정연구원, "수원시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2016
1 산림청, "지역경관림 선정 지표" 2004
2 유주한,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평가지표 체계구축"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287-298, 2005
3 이주희, "조경설계공모의 문제점 및 요소별 중요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41 (41): 62-71, 2013
4 반영운, "전문가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4 (14): 53-61, 2008
5 산림청, "자연휴양림등 타당성평가의 세부기준"
6 산림청, "자연휴양림 등 타당성 평가의 세부기준(시행(2018. 8. 9, 산림청고시 제2018-71호, 2018. 8. 9. 일부개정)"
7 윤형두, "우리나라 도시 특성을 고려한 도시생물다양성지수 적용성 검토 및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 개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5 (25): 442-456, 2016
8 이승훈, "심리적 지표 평가에 의한 도시와 옥상정원, 숲의 경관 비교" 서울연구원 12 (12): 53-65, 2011
9 홍광표, "숲과 정원의 가치파악을 통한 숲 정원 개념의 정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171-178, 2020
10 수원시정연구원, "수원시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2016
11 김지윤, "수생태계 종적 연결성 평가를 위한 국내외 연구 현황 및 어류기반 종적 연속성 평가모델 적용성 분석" 한국환경생물학회 38 (38): 634-649, 2020
12 송인주, "서울시 공원녹지 생물다양성 지표 개발과 적용방안" 1-21, 2019
13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관자원 평가지표" 2004
14 산림청, "산림경관관리지역 선정지표" 2008
15 강미희,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산림과학회 99 (99): 777-784, 2010
16 정대영,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을 위한 가용공간의 중요도 분석 -AHP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조경학회 47 (47): 103-114, 2019
17 산림청, "도시림 지속성 지수 개발 연구" 2011
18 산림청, "녹색건전성 평가 지표 개발 및 모니터링" 2007
19 시아티엔티엔, "노거수의 건강 위험도 평가 요소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한국조경학회 45 (45): 149-159, 2017
20 오장근,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 49 (49): 147-152, 2016
21 임진강, "계층적 분석기법(AHP)에 의한 제주 돌문화경관자원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5 (45): 16-27, 2017
22 "U.S. Bureau of Landscape Management"
23 SEBI, "Streamlining European Biodiversity Indicators"
24 "Marrakech Accords Decision 11/CP.7, Annex 1(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