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표준성, 규범성의 개념과 한국어 문법 기술 = The Concept of Standard and Normativity and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 Gramm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712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have made three major points in this paper. Firstly, it is difficult conceptually to discuss normativity in grammar based on the content of grammatical description. Among the various grammatical descriptions, the relatively general and average grammatical descriptions belong to the domain of standard grammar, but it is difficult to objectively define the limits of that area. Therefore, a standard grammar should be understood as one of many possible reference grammars. Secondl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normative grammar, school grammar, academic grammar and standard grammar,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a view based on the content of grammar and a view based on the object of grammar. Thirdly, there are places where normative grammar is partially applied clearly. It is in the realm of grammatical description based on the object of grammatical description. Based on the content of grammatical description, normative grammar may be applied in school grammar or standard grammar, but we have pointed out that its doctrinaire character is problematic.
      번역하기

      I have made three major points in this paper. Firstly, it is difficult conceptually to discuss normativity in grammar based on the content of grammatical description. Among the various grammatical descriptions, the relatively general and average gramm...

      I have made three major points in this paper. Firstly, it is difficult conceptually to discuss normativity in grammar based on the content of grammatical description. Among the various grammatical descriptions, the relatively general and average grammatical descriptions belong to the domain of standard grammar, but it is difficult to objectively define the limits of that area. Therefore, a standard grammar should be understood as one of many possible reference grammars. Secondl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normative grammar, school grammar, academic grammar and standard grammar,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a view based on the content of grammar and a view based on the object of grammar. Thirdly, there are places where normative grammar is partially applied clearly. It is in the realm of grammatical description based on the object of grammatical description. Based on the content of grammatical description, normative grammar may be applied in school grammar or standard grammar, but we have pointed out that its doctrinaire character is problemat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 우리는 크게 세 가지 주장을 역설하였다. 첫째, 기술 내용을 기준으로 한 문법에서 표준성을 논한다는 것은 개념적으로 성립하기 어렵다. 여러 문법 기술 중에서 상대적으로 일반적이고 평균적인 여러 문법 기술들이 표준문법의 영역에 속한다고 할 수는 있어도 그 영역의 한계를 객관적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표준문법은 여러 가능한 참조문법 중 하나라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둘째, 규범문법, 학교문법, 학문문법(이론문법, 기술문법), 표준문법 개념들 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데에는 문법 기술 내용을 기준으로 하는 관점과 문법 기술 대상을 기준으로 하는 관점을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규범문법이 부분적으로 적용되는 곳은 분명히 있다. 그것은 기술 대상을 기준으로 한 문법 기술의 영역에서이다. 기술 내용을 기준으로 보면, 규범문법은 학교문법이나 표준문법에서 적용할 수 있겠으나 우리는 그것의 교조주의적 성격이 문제임을 지적하였다.
      번역하기

      본고에서 우리는 크게 세 가지 주장을 역설하였다. 첫째, 기술 내용을 기준으로 한 문법에서 표준성을 논한다는 것은 개념적으로 성립하기 어렵다. 여러 문법 기술 중에서 상대적으로 일반...

      본고에서 우리는 크게 세 가지 주장을 역설하였다. 첫째, 기술 내용을 기준으로 한 문법에서 표준성을 논한다는 것은 개념적으로 성립하기 어렵다. 여러 문법 기술 중에서 상대적으로 일반적이고 평균적인 여러 문법 기술들이 표준문법의 영역에 속한다고 할 수는 있어도 그 영역의 한계를 객관적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표준문법은 여러 가능한 참조문법 중 하나라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둘째, 규범문법, 학교문법, 학문문법(이론문법, 기술문법), 표준문법 개념들 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데에는 문법 기술 내용을 기준으로 하는 관점과 문법 기술 대상을 기준으로 하는 관점을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규범문법이 부분적으로 적용되는 곳은 분명히 있다. 그것은 기술 대상을 기준으로 한 문법 기술의 영역에서이다. 기술 내용을 기준으로 보면, 규범문법은 학교문법이나 표준문법에서 적용할 수 있겠으나 우리는 그것의 교조주의적 성격이 문제임을 지적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현경, "한국어 표준 문법" 집문당 2018

      2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 연구" 월인 2012

      3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Ⅱ" 집문당 2016

      4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5 유현경, "학교문법 정립에 있어서 표준문법의 역할" 우리말학회 (43) : 65-91, 2015

      6 이관규,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성격과 내용 체계" 한국문법교육학회 13 : 29-56, 2010

      7 유현경, "표준 문법의 개념과 필요성" 한국문법교육학회 19 : 235-267, 2013

      8 유현경, "표준 국어문법론 전면개정판" 한국문화사 2019

      9 유현경, "표준 국어 문법의 구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 (12): 1-26, 2016

      10 이선웅, "이론문법의 관점에서 본 학교문법" 국어국문학회 (163) : 249-277, 2013

      1 유현경, "한국어 표준 문법" 집문당 2018

      2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 연구" 월인 2012

      3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Ⅱ" 집문당 2016

      4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5 유현경, "학교문법 정립에 있어서 표준문법의 역할" 우리말학회 (43) : 65-91, 2015

      6 이관규,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성격과 내용 체계" 한국문법교육학회 13 : 29-56, 2010

      7 유현경, "표준 문법의 개념과 필요성" 한국문법교육학회 19 : 235-267, 2013

      8 유현경, "표준 국어문법론 전면개정판" 한국문화사 2019

      9 유현경, "표준 국어 문법의 구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 (12): 1-26, 2016

      10 이선웅, "이론문법의 관점에서 본 학교문법" 국어국문학회 (163) : 249-277, 2013

      11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18

      12 한송화,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357-379, 2006

      13 정희창, "문법의 규범적 관점과 해석" 한말연구학회 (40) : 225-250, 2016

      14 이선웅, "기술문법과 학교문법: 총론" 국어학회 (69) : 167-205, 2014

      15 정희창, "국어 문법론에서의 기술 문법과 학교 문법" 국어학회 (69) : 233-254, 2014

      16 서정수, "국어 문법" 한양대학교출판원 1995

      17 이선웅, "국어 교육의 학교문법과 한국어 교육의 표준문법" 중앙어문학회 43 : 75-96, 2010

      18 이관규, "교사를 위한 문법 이야기" 사회평론 2015

      19 이선웅, "第7次 敎育課程의 文法 敎科書와 敎師用 指導書 검토-‘單語’와 ‘文章’ 單元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447-472, 2006

      20 정희창, "‘규범, 사전, 문법’의 관계와 내용 구성" 한국어학회 47 : 235-260, 2010

      21 Huddleston, R.,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2 Li, C., "Subject and Topic" John Benjamins 457-489, 1976

      23 Quirk, R.,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Longman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5 1.64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