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현경, "한국어 표준 문법" 집문당 2018
2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 연구" 월인 2012
3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Ⅱ" 집문당 2016
4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5 유현경, "학교문법 정립에 있어서 표준문법의 역할" 우리말학회 (43) : 65-91, 2015
6 이관규,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성격과 내용 체계" 한국문법교육학회 13 : 29-56, 2010
7 유현경, "표준 문법의 개념과 필요성" 한국문법교육학회 19 : 235-267, 2013
8 유현경, "표준 국어문법론 전면개정판" 한국문화사 2019
9 유현경, "표준 국어 문법의 구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 (12): 1-26, 2016
10 이선웅, "이론문법의 관점에서 본 학교문법" 국어국문학회 (163) : 249-277, 2013
1 유현경, "한국어 표준 문법" 집문당 2018
2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 연구" 월인 2012
3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Ⅱ" 집문당 2016
4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5 유현경, "학교문법 정립에 있어서 표준문법의 역할" 우리말학회 (43) : 65-91, 2015
6 이관규,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성격과 내용 체계" 한국문법교육학회 13 : 29-56, 2010
7 유현경, "표준 문법의 개념과 필요성" 한국문법교육학회 19 : 235-267, 2013
8 유현경, "표준 국어문법론 전면개정판" 한국문화사 2019
9 유현경, "표준 국어 문법의 구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 (12): 1-26, 2016
10 이선웅, "이론문법의 관점에서 본 학교문법" 국어국문학회 (163) : 249-277, 2013
11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18
12 한송화,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357-379, 2006
13 정희창, "문법의 규범적 관점과 해석" 한말연구학회 (40) : 225-250, 2016
14 이선웅, "기술문법과 학교문법: 총론" 국어학회 (69) : 167-205, 2014
15 정희창, "국어 문법론에서의 기술 문법과 학교 문법" 국어학회 (69) : 233-254, 2014
16 서정수, "국어 문법" 한양대학교출판원 1995
17 이선웅, "국어 교육의 학교문법과 한국어 교육의 표준문법" 중앙어문학회 43 : 75-96, 2010
18 이관규, "교사를 위한 문법 이야기" 사회평론 2015
19 이선웅, "第7次 敎育課程의 文法 敎科書와 敎師用 指導書 검토-‘單語’와 ‘文章’ 單元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447-472, 2006
20 정희창, "‘규범, 사전, 문법’의 관계와 내용 구성" 한국어학회 47 : 235-260, 2010
21 Huddleston, R.,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2 Li, C., "Subject and Topic" John Benjamins 457-489, 1976
23 Quirk, R.,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Longman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