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선우, "현대국어의 /의/는 이중모음인가? -/의/의 음향적·지각적 특성에 대한 검토-" 우리말학회 (23) : 59-86, 2008
2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 ㈜휴먼컬처아리랑 2018
3 유현경, "한국어 표준 문법" 집문당 2018
4 박용찬, "학교 문법 용어의 문제점 검토 -『문법』(2002) 이후의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우리말글학회 75 : 109-159, 2017
5 "표준국어대사전"
6 유현경, "표준 국어문법론 전면개정판" 한국문화사 2019
7 구본관, "표준 국어 문법 형태론 분야의 특징과 활용" 언어정보연구소 34 : 397-425, 2018
8 이선웅, "통사 단위 ‘절’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56) : 77-104, 2015
9 이선웅, "이론문법의 관점에서 본 학교문법" 국어국문학회 (163) : 249-277, 2013
10 방인호, "언어와 매체" ㈜미래엔 2019
1 박선우, "현대국어의 /의/는 이중모음인가? -/의/의 음향적·지각적 특성에 대한 검토-" 우리말학회 (23) : 59-86, 2008
2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 ㈜휴먼컬처아리랑 2018
3 유현경, "한국어 표준 문법" 집문당 2018
4 박용찬, "학교 문법 용어의 문제점 검토 -『문법』(2002) 이후의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우리말글학회 75 : 109-159, 2017
5 "표준국어대사전"
6 유현경, "표준 국어문법론 전면개정판" 한국문화사 2019
7 구본관, "표준 국어 문법 형태론 분야의 특징과 활용" 언어정보연구소 34 : 397-425, 2018
8 이선웅, "통사 단위 ‘절’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56) : 77-104, 2015
9 이선웅, "이론문법의 관점에서 본 학교문법" 국어국문학회 (163) : 249-277, 2013
10 방인호, "언어와 매체" ㈜미래엔 2019
11 최형용, "언어와 매체" 창비 2019
12 이삼형, "언어와 매체" 지학사 2019
13 이관규, "언어와 매체" 비상교육 2019
14 민현식, "언어와 매체" 천재교육 2019
15 이관규, "문법 용어 ‘절’과 ‘구’의 논리적 정합성—학교 문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3 (53): 49-70, 2018
16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5])"
17 정희창, "국어 문법론에서의 기술 문법과 학교 문법" 국어학회 (69) : 233-254, 2014
18 서울 대학교 국어 교육 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두산 2002
19 정희창, "‘규범, 사전, 문법’의 관계와 내용 구성" 한국어학회 47 : 235-260, 2010
20 한재영, ""표준 국어 문법" 용어의 현황과 문제점" 언어정보연구소 33 : 435-469,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