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문법에서의 「한국어 표준 문법」 수용 방향 =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Korean Standard Grammar in Korean School Gramm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71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to reflect Korean Standard Grammar, which is the result of research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Korean school grammar. This discussion focuses on the content of Korean Standard Grammar in terms of its relationship with Korean school grammar and its influence as a reference grammar. First, while confirming the education contents in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art, which related Korean Standard Grammar, the scope of discussion was limited by contents related to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Next, we discussed grammar terms and contents that need to be changed or added in Korean school grammar, focusing on Korean Standard Grammar. In addition to these, I think it is important to make prepare an institutional and procedural process that can accommodate descriptive grammar which related content in school gramma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to reflect Korean Standard Grammar, which is the result of research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Korean school grammar. This discussion focuses on the content of Korean Standard Grammar 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to reflect Korean Standard Grammar, which is the result of research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Korean school grammar. This discussion focuses on the content of Korean Standard Grammar in terms of its relationship with Korean school grammar and its influence as a reference grammar. First, while confirming the education contents in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art, which related Korean Standard Grammar, the scope of discussion was limited by contents related to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Next, we discussed grammar terms and contents that need to be changed or added in Korean school grammar, focusing on Korean Standard Grammar. In addition to these, I think it is important to make prepare an institutional and procedural process that can accommodate descriptive grammar which related content in school gramm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국립국어원 연구 과제 결과물인 「한국어 표준 문법」을 중심으로 학교 문법과의 관계, 참조 문법으로서의 영향력 등을 고려하여 「한국어 표준 문법」의 내용을 학교 문법에서 수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우선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표준 문법」의 내용을 비교하여 공통으로 논의할 내용을 정리하였고, 음운론․형태론․통사론과 관련된 내용으로 논의 범위를 한정했다. 그리고 학교 문법에서 새롭게 수정하거나 추가해야 할 내용을 「한국어 표준 문법」의 기술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술 문법 관련 내용을 학교 문법에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 절차적 과정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국립국어원 연구 과제 결과물인 「한국어 표준 문법」을 중심으로 학교 문법과의 관계, 참조 문법으로서의 영향력 등을 고려하여 「한국어 표준 문법」의 내용을 학교 문법에서...

      본고에서는 국립국어원 연구 과제 결과물인 「한국어 표준 문법」을 중심으로 학교 문법과의 관계, 참조 문법으로서의 영향력 등을 고려하여 「한국어 표준 문법」의 내용을 학교 문법에서 수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우선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표준 문법」의 내용을 비교하여 공통으로 논의할 내용을 정리하였고, 음운론․형태론․통사론과 관련된 내용으로 논의 범위를 한정했다. 그리고 학교 문법에서 새롭게 수정하거나 추가해야 할 내용을 「한국어 표준 문법」의 기술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술 문법 관련 내용을 학교 문법에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 절차적 과정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우, "현대국어의 /의/는 이중모음인가? -/의/의 음향적·지각적 특성에 대한 검토-" 우리말학회 (23) : 59-86, 2008

      2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 ㈜휴먼컬처아리랑 2018

      3 유현경, "한국어 표준 문법" 집문당 2018

      4 박용찬, "학교 문법 용어의 문제점 검토 -『문법』(2002) 이후의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우리말글학회 75 : 109-159, 2017

      5 "표준국어대사전"

      6 유현경, "표준 국어문법론 전면개정판" 한국문화사 2019

      7 구본관, "표준 국어 문법 형태론 분야의 특징과 활용" 언어정보연구소 34 : 397-425, 2018

      8 이선웅, "통사 단위 ‘절’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56) : 77-104, 2015

      9 이선웅, "이론문법의 관점에서 본 학교문법" 국어국문학회 (163) : 249-277, 2013

      10 방인호, "언어와 매체" ㈜미래엔 2019

      1 박선우, "현대국어의 /의/는 이중모음인가? -/의/의 음향적·지각적 특성에 대한 검토-" 우리말학회 (23) : 59-86, 2008

      2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 ㈜휴먼컬처아리랑 2018

      3 유현경, "한국어 표준 문법" 집문당 2018

      4 박용찬, "학교 문법 용어의 문제점 검토 -『문법』(2002) 이후의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우리말글학회 75 : 109-159, 2017

      5 "표준국어대사전"

      6 유현경, "표준 국어문법론 전면개정판" 한국문화사 2019

      7 구본관, "표준 국어 문법 형태론 분야의 특징과 활용" 언어정보연구소 34 : 397-425, 2018

      8 이선웅, "통사 단위 ‘절’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56) : 77-104, 2015

      9 이선웅, "이론문법의 관점에서 본 학교문법" 국어국문학회 (163) : 249-277, 2013

      10 방인호, "언어와 매체" ㈜미래엔 2019

      11 최형용, "언어와 매체" 창비 2019

      12 이삼형, "언어와 매체" 지학사 2019

      13 이관규, "언어와 매체" 비상교육 2019

      14 민현식, "언어와 매체" 천재교육 2019

      15 이관규, "문법 용어 ‘절’과 ‘구’의 논리적 정합성—학교 문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3 (53): 49-70, 2018

      16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5])"

      17 정희창, "국어 문법론에서의 기술 문법과 학교 문법" 국어학회 (69) : 233-254, 2014

      18 서울 대학교 국어 교육 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두산 2002

      19 정희창, "‘규범, 사전, 문법’의 관계와 내용 구성" 한국어학회 47 : 235-260, 2010

      20 한재영, ""표준 국어 문법" 용어의 현황과 문제점" 언어정보연구소 33 : 435-469,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5 1.64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