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상확대와 Fluoro Pulse Rate 조절을 통한 공간선량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60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BR/>일반적으로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선원 및 피사체와의 거리, 피폭 시간, 차폐체 활용 및 collimation 등이 있다. 위 방법뿐만 아니라, 시술 시 시술자가 활용하는 기능인 Fluoro Pulse Rate (p/s) 조절과 확대를 통한 Field of View (FOV) 적용을 통해 시술실 내 공간선량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BR/>대상 및 방법:<BR/>선량 측정 조건은 0 step 방식으로 자동노출제어기 (AEC)를 적용하여 복부팬텀 Axis Center 기준으로 조사하였으며, SID 120㎝, SOD 20㎝, X선 tube를 중심으로 50㎝, 100㎝, 150㎝, 200㎝에 공간 선량계를 위치시키고 180초를 기준으로 Pulse Rate는 15p/s, 10p/s, 7.5p/s, 4p/s 별, 확대율(FOV)는 48㎝, 42㎝, 32㎝, 22㎝ 별 각 5번씩 공간선량을 측정하였다.<BR/>결 과:<BR/>X선 tube를 중심으로 50㎝ 거리, 15p/s FOV 48㎝ 기준으로 확대율에 따른 공간선량 변화는 42㎝에서는 20%감소, 32㎝에서는 30%감소, 22㎝에서는 44%감소하는 것으로 확대가 들어갈수록 시술자 위치 기준에서 공간선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확대 48㎝ 기준으로 Pulse Rate에 따른 공간선량 변화는 15p/s 기준으로 10p/s는 26%, 7.5p/s는 40%, 4p/s는 60% 감소하였다.<BR/>결 론:<BR/>확대, Fluoro Pulse Rate 조절을 통해 공간선량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공간선량이 정비례하게 감소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적절한 Fluoro Pulse Rate와 확대를 활용하여 시술을 진행한다면 영상 화질 저하 없이 시술실 내 피폭선량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목 적:<BR/>일반적으로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선원 및 피사체와의 거리, 피폭 시간, 차폐체 활용 및 collimation 등이 있다. 위 방법뿐만 아니라, 시술 시 시술자가 활용하는 기...

      목 적:<BR/>일반적으로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선원 및 피사체와의 거리, 피폭 시간, 차폐체 활용 및 collimation 등이 있다. 위 방법뿐만 아니라, 시술 시 시술자가 활용하는 기능인 Fluoro Pulse Rate (p/s) 조절과 확대를 통한 Field of View (FOV) 적용을 통해 시술실 내 공간선량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BR/>대상 및 방법:<BR/>선량 측정 조건은 0 step 방식으로 자동노출제어기 (AEC)를 적용하여 복부팬텀 Axis Center 기준으로 조사하였으며, SID 120㎝, SOD 20㎝, X선 tube를 중심으로 50㎝, 100㎝, 150㎝, 200㎝에 공간 선량계를 위치시키고 180초를 기준으로 Pulse Rate는 15p/s, 10p/s, 7.5p/s, 4p/s 별, 확대율(FOV)는 48㎝, 42㎝, 32㎝, 22㎝ 별 각 5번씩 공간선량을 측정하였다.<BR/>결 과:<BR/>X선 tube를 중심으로 50㎝ 거리, 15p/s FOV 48㎝ 기준으로 확대율에 따른 공간선량 변화는 42㎝에서는 20%감소, 32㎝에서는 30%감소, 22㎝에서는 44%감소하는 것으로 확대가 들어갈수록 시술자 위치 기준에서 공간선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확대 48㎝ 기준으로 Pulse Rate에 따른 공간선량 변화는 15p/s 기준으로 10p/s는 26%, 7.5p/s는 40%, 4p/s는 60% 감소하였다.<BR/>결 론:<BR/>확대, Fluoro Pulse Rate 조절을 통해 공간선량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공간선량이 정비례하게 감소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적절한 Fluoro Pulse Rate와 확대를 활용하여 시술을 진행한다면 영상 화질 저하 없이 시술실 내 피폭선량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ditional methods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in interventional procedures include increasing the distance from the radiation source, reducing exposure time, using shielding, and colli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Fluoro Pulse Rate (p/s) adjustments and Field of View (FOV) enlargement on spatial dose in the procedure room. Radiation doses were measured using a 0 step 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with an abdominal phantom at the axis center. Space dosimeters were placed at 50㎝, 100㎝, 150㎝, and 200㎝ from the X-ray tube center, with pulse rates set at 15p/s, 10p/s, 7.5p/s, and 4p/s, and FOVs at 48㎝, 42㎝, 32㎝, and 22㎝. Results showed that at 50㎝ and 15p/s, reducing the FOV from 48㎝ to 42㎝, 32㎝, and 22㎝ decreased spatial dose by 20%, 30%, and 44%, respectively. Similarly, lowering the pulse rate from 15p/s to 10p/s, 7.5p/s, and 4p/s reduced doses by 26%, 40%, and 60%, respectively. The study found that dose reduction was slightly greater than proportional with FOV and pulse rate adjustments, indicating that optimal settings can significantly reduce operator exposure without strictly proportional effects.
      번역하기

      Traditional methods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in interventional procedures include increasing the distance from the radiation source, reducing exposure time, using shielding, and colli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Fluoro Pulse Rate ...

      Traditional methods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in interventional procedures include increasing the distance from the radiation source, reducing exposure time, using shielding, and colli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Fluoro Pulse Rate (p/s) adjustments and Field of View (FOV) enlargement on spatial dose in the procedure room. Radiation doses were measured using a 0 step 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with an abdominal phantom at the axis center. Space dosimeters were placed at 50㎝, 100㎝, 150㎝, and 200㎝ from the X-ray tube center, with pulse rates set at 15p/s, 10p/s, 7.5p/s, and 4p/s, and FOVs at 48㎝, 42㎝, 32㎝, and 22㎝. Results showed that at 50㎝ and 15p/s, reducing the FOV from 48㎝ to 42㎝, 32㎝, and 22㎝ decreased spatial dose by 20%, 30%, and 44%, respectively. Similarly, lowering the pulse rate from 15p/s to 10p/s, 7.5p/s, and 4p/s reduced doses by 26%, 40%, and 60%, respectively. The study found that dose reduction was slightly greater than proportional with FOV and pulse rate adjustments, indicating that optimal settings can significantly reduce operator exposure without strictly proportional eff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Ⅰ. 서론
      • Ⅱ. 대상 및 방법
      • Ⅲ. 결과 (Results)
      • 초록
      • Abstract
      • Ⅰ. 서론
      • Ⅱ. 대상 및 방법
      • Ⅲ. 결과 (Results)
      • Ⅳ. 고찰 (Discussion)
      • Ⅴ. 결론 (Conclusion)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