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장년층의 모바일 뱅킹 지속적 이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Continuous Use of Mobile Banking in Middle Aged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6102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특성화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특성화대학원 , 소프트웨어 , 2018. 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43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용태

      • UCI식별코드

        I804:11044-200000103406

      • 소장기관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프라인 은행 업무를 대체하고 예·적금이나 송금 등의 기본 업무 뿐 아니라 금융 관리 및 투자, 가계부 및 환전 업무 등을 손쉽게 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와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의 사용에 비례하여 모바일 뱅킹 시스템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중·장년층에서는 다운로드 수에 비하여 실제 사용도가 낮고 여전히 오프라인 은행 지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사용자들의 모바일 뱅킹 선택요인과 지속적인 사용에 관한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었던 모형들을 기준으로 검증된 변인들로 이루어진 연구 모형을 제시하고, 40대 이상의 중장년층만을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 그 결과가 보편적으로 20~30대를 중심으로 조사한 선행 연구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기존의 모델들을 마찬가지로 중장년층에게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했다.
      본 논문은 모바일 뱅킹을 이용함에 있어서 기술의 수용 후 재사용 의도가 중요하다고 보고 이를 파악하기 위한 보안적인 후기수용모델(PAM)을 중심으로 시스템적 요인과 시스템 외적 요인으로 그룹을 나누어 다섯 가지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시스템적 요인으로 보안성, 편의성, 품질, 시스템 외적 요인으로 기대일치, 금전적 가치를 독립변수로 가정하고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PAM 이론을 바탕으로 각각의 요인이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종적으로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기존 연구들과의 차이점은 20~30대 대상의 선행 연구들과 다르게 표본을 모바일 뱅킹 사용자인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정한 것이다. 또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모바일 뱅킹 서비스가 맞춤형 개발과 발전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이론적인 기준 제공과 원인 파악의 가치에 기여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오프라인 은행 업무를 대체하고 예·적금이나 송금 등의 기본 업무 뿐 아니라 금융 관리 및 투자, 가계부 및 환전 업무 등을 손쉽게 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와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

      오프라인 은행 업무를 대체하고 예·적금이나 송금 등의 기본 업무 뿐 아니라 금융 관리 및 투자, 가계부 및 환전 업무 등을 손쉽게 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와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의 사용에 비례하여 모바일 뱅킹 시스템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중·장년층에서는 다운로드 수에 비하여 실제 사용도가 낮고 여전히 오프라인 은행 지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사용자들의 모바일 뱅킹 선택요인과 지속적인 사용에 관한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었던 모형들을 기준으로 검증된 변인들로 이루어진 연구 모형을 제시하고, 40대 이상의 중장년층만을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 그 결과가 보편적으로 20~30대를 중심으로 조사한 선행 연구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기존의 모델들을 마찬가지로 중장년층에게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했다.
      본 논문은 모바일 뱅킹을 이용함에 있어서 기술의 수용 후 재사용 의도가 중요하다고 보고 이를 파악하기 위한 보안적인 후기수용모델(PAM)을 중심으로 시스템적 요인과 시스템 외적 요인으로 그룹을 나누어 다섯 가지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시스템적 요인으로 보안성, 편의성, 품질, 시스템 외적 요인으로 기대일치, 금전적 가치를 독립변수로 가정하고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PAM 이론을 바탕으로 각각의 요인이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종적으로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기존 연구들과의 차이점은 20~30대 대상의 선행 연구들과 다르게 표본을 모바일 뱅킹 사용자인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정한 것이다. 또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모바일 뱅킹 서비스가 맞춤형 개발과 발전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이론적인 기준 제공과 원인 파악의 가치에 기여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ypes and usage of financial applications are increasing. It replaces off-line banking and facilitates basic tasks such as deposits, savings and remittances, as well as financial management and investment, housekeeping management, and currency exchange. While mobile banking systems are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use of smart phones, in middle and senior people, actual usage is lower than the number of applications downloads and they still tend to prefer offline bank branch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actors of mobile banking choice and the continuous use of these users.
      After comprehensive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es,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with validated variables based on the models showing positive effect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sults a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20s and 30s, and whether the existing models are equally applicable to the elderly as well.
      This research consider the importance of reuse after acceptance of technology in mobile banking. In order to grasp this, I divide the group into systematic factors and systematic external factors, and design a research model based on Post Acceptance Model(PAM) to verify the factor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ssuming that security, convenience, quality as the system factors; and financial value, expectation confirmation as systematic external factors. They are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based on the PAM theory, I examined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nd finally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of the existing 20 ~ 30 year-old's subjects by setting the sample for middle aged people over 40 who are mobile banking users. Also,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value of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and understanding the causes of the mobile banking service to be applied to the customized development for the middle-aged.
      번역하기

      The types and usage of financial applications are increasing. It replaces off-line banking and facilitates basic tasks such as deposits, savings and remittances, as well as financial management and investment, housekeeping management, and currency exc...

      The types and usage of financial applications are increasing. It replaces off-line banking and facilitates basic tasks such as deposits, savings and remittances, as well as financial management and investment, housekeeping management, and currency exchange. While mobile banking systems are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use of smart phones, in middle and senior people, actual usage is lower than the number of applications downloads and they still tend to prefer offline bank branch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actors of mobile banking choice and the continuous use of these users.
      After comprehensive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es,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with validated variables based on the models showing positive effect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sults a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20s and 30s, and whether the existing models are equally applicable to the elderly as well.
      This research consider the importance of reuse after acceptance of technology in mobile banking. In order to grasp this, I divide the group into systematic factors and systematic external factors, and design a research model based on Post Acceptance Model(PAM) to verify the factor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ssuming that security, convenience, quality as the system factors; and financial value, expectation confirmation as systematic external factors. They are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based on the PAM theory, I examined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nd finally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of the existing 20 ~ 30 year-old's subjects by setting the sample for middle aged people over 40 who are mobile banking users. Also,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value of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and understanding the causes of the mobile banking service to be applied to the customized development for the middle-ag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v
      • 영문초록 vii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 배경과 목적 1
      • 국문초록 v
      • 영문초록 vii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 방법 2
      • 1.3 연구의 구성 2
      • 제 2 장 관련 연구와 이론 3
      • 2.1 모바일 뱅킹의 이용현황 3
      • 2.2 모바일 뱅킹 선행연구 5
      • 2.3 후기수용모델(PAM)이론 8
      • 2.4 후기수용모델의 확장 10
      • 제 3 장 연구방법 11
      • 3.1 연구모형과 변수 11
      • 3.2 연구가설 수립 12
      • 3.3 조작적 정의 및 연구방법 18
      • 제 4 장 가설검증 및 분석결과 20
      • 4.1 표본의 특성 및 조사 20
      • 4.2 신뢰성 분석 21
      • 4.3 타당성 분석 22
      • 4.4 상관관계 분석 23
      • 4.5 구조방정식 모형 평가 24
      • 4.6 가설검증 26
      • 제 5 장 결론 30
      • 참고문헌 32
      • 부 록 3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