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의 西磵祠는 淸陰 金尙憲(1570~1652)을 제향한 祠宇이다. 서인-노론은 정권을 장악한 이후 영남지역에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편의 하나로 서원을 활용했다. 영남의 기존 서원을 서인-노론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안동의 西磵祠는 淸陰 金尙憲(1570~1652)을 제향한 祠宇이다. 서인-노론은 정권을 장악한 이후 영남지역에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편의 하나로 서원을 활용했다. 영남의 기존 서원을 서인-노론계...
안동의 西磵祠는 淸陰 金尙憲(1570~1652)을 제향한 祠宇이다. 서인-노론은 정권을 장악한 이후 영남지역에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편의 하나로 서원을 활용했다. 영남의 기존 서원을 서인-노론계 서원으로 전향시키는 한편, 서인-노론의 주요 인물을 제향하는 서원과 사우를 건립하였다. 하지만 안동은 영남 남인의 주요한 지역으로 다른 곳에 비해 완고한 곳이었다. 이때 김상헌이 소환되었다.
김상헌은 본관이 안동이고, 생전 두 차례 안동에 우거한 이력이 있었다. 또한 지역 명사들과 교류를 통해 다수의 묘도문자를 찬술하였으며, 문중 사업의 정비에 힘쓰기도 했다. 이런 김상헌의 안동에서의 활동은 그 후손들 역시 종종 안동에 머무르며 김상헌의 행적을 회고하는 시를 짓고 학습의 장소로 삼기도 하는 등 안동과 유대를 지속해 나갔다. 이는 안동의 서인-노론계 사족들이 활동 공간으로 서원을 마련하는데 제향 인물로 김상헌을 주목했던 배경이었다.
1738년(영조 14) 안동 법상동에 김상헌을 제향하는 鶴東書院을 마련하려 했지만 안동 남인계 사림에 의해 폭력적인 방법으로 파괴되는 일이 발생했다. 안동의서인-노론계 사족들은 이후 다시 김상헌을 제향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西磵書堂을 건립하고 사액서원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했다. 결국 1786년(정조 10) 사액 사우로 전환에 성공하게 된다. 비록 서원으로 사액을 받지는 못했지만 당시 서원과 사우의 구분이 강고하지 않았던 점을 상기해 볼 때 이는 영남의 주요 지역에 노론의 영향력 확대 노력이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位于庆尚北道安东市丰山邑的西磵祠是祭祀清阴金尚宪(1570~1652)的祠宇. 对于金尚宪来说, 安东不仅是他的贯乡, 也是其经济基础得以确立的地方. 金尚宪的先代在首尔建立了根据地, 在中央活...
位于庆尚北道安东市丰山邑的西磵祠是祭祀清阴金尚宪(1570~1652)的祠宇. 对于金尚宪来说, 安东不仅是他的贯乡, 也是其经济基础得以确立的地方. 金尚宪的先代在首尔建立了根据地, 在中央活动的同时, 与安东保持联系, 这种家风也遗传给了金尚宪及其后代. 金尚宪除了使用“清阴”作为号外, 还借用他生活过的地名, 使用了“石室山人”·“西磵老人”等号. 其中“西磵老人”是他晚年在安东生活时使用的.
金尚宪曾两次在安东隐居. 1618年, 宣祖的继妃仁穆王后被幽闭于西宫[德寿宫], 当时围绕废妃问题展开论议, 金尚宪因此迁居安东. 1637年, 由于丙子胡乱(1636)的余波, 朝鲜向清投降, 主战论者金尚宪从南汉山城出来, 直接前往安东. 因此, 安东是金尚宪在经历政治浮沉时隐居的地方, 至今仍留有西磵祠・木石居等相关遗迹.
安东是岭南南人的主要根据地. 在西人系掌握政权后, 西人尝试进入岭南各地, 并取得了一定成果. 岭南的南人结集于退溪学派, 通过与近畿南人的结盟来应对老论的影响力扩张. 然而, 由于仕途受阻・老论的怀柔与包摄・戊申乱的影响等多种原因, 许多人及家族在英祖时期前后从南人转向老论. 岭南各地建立祭祀西人系人士的书院的事实反证了这一点. 然而, 被称为南人本山的安东地区, 南人的抵抗比其他地区更为激烈. 在此期间为了向安东扩张势力, 老论召唤了金尚宪.
西人-老论掌握政权后, 岭南南人难以进入中央. 岭南南人探索了多种保持士族地位的方法. 其中之一是通过书院掌握乡论. 岭南的士族和有力家门确保祭祀先祖中以学德闻名或在中央有活动履历的人物的祠宇或书院, 并通过这些祠宇或书院主导乡论. 如果难以单独设立祭享祠宇或书院, 则通过学脉配享于现有书院. 这种岭南地区的倾向也被西人-老论用作扩大其在岭南地区影响力的方法. 安东地区的西人-老论系士族需要一个能让安东地区士林接受的人物, 以建立他们可以活动的书院. 李滉曾提出应在有书院配享人物遗迹或缘故的地方建立书院. 在安东的西人-老论系士族看来, 金尚宪正是符合这些要求的人物.
1738年(英祖14年), 几乎建成祭祀金尚宪的鹤东书院, 但被安东儒生动用武力强行破坏. 此后, 主导鹤东书院建立的安东西人-老论系士族持续努力, 试图建立祭祀金尚宪的书院. 他们通过建立西磵书堂, 确保讲学空间, 努力收敛地区社会舆论. 这也是参考当时现有书院从书堂或精舍起步升格为书院的事例的结果. 在此过程中, 通过与在中央活动的安东金氏壮洞派的联系, 以及中央派遣的老论出身地方官的支持, 成功获得了西磵祠的赐额. 西磵祠未能获得书院的名义, 但考虑到当时书院的讲学功能已弱化, 与祠宇的区分变得模糊, 这一意义仍然重大. 正祖虽未允许西磵书堂升格为书院, 却给予了祠堂的名称. 然而, 这仅是安抚岭南士族的修辞而已. 安东西磵祠的建立和赐额是老论在岭南核心地区渗透成功的象征性事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