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오수유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의 효능 연구 =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nti-Diabetes Using Water Extract of Evodiae Fruct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269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오수유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의 효능 연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약용작물산업학전공 홍이환


      약용작물의 산업화는 경제 성장과 더불어 부가가치 또한 필요하다. 현대인에게 많은 대사성 질환의 효과를 위한 연구를 함으로써 그에 따른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α-glucosidase, RIN-m5f β-세포와 L6 근세포 및 streptozotocin (STZ) 유도 당뇨병 마우스에서 오수유(吳茱萸; 학명: Evodia rutaecarpa Benth., 약용명: Evodiae fructus) 수용성 추출물(WEEF)의 항당뇨 효과를 조사하고 가능한 항당뇨 기전을 제시하였다.
      α-Glucosidase의 억제 활성을 조사하는 효소 모델에서, WEEF는 효소 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임상에서 항당뇨 약으로 사용되는 acarbose는 α-glucosidase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EEF는 마우스 구강 자당 내성 검사 및 구강 포도당 내성 검사에서 혈당의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WEEF가 α-glucosidase와 관련이 없는 다른 항당뇨 경로에 의해 혈당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RIN-m5f β-세포의 인슐린 분비와 L6 근세포의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실험에서, WEEF는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RIN-m5f β-세포의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고, L6 근세포의 포도당 흡수를 또한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WEEF는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고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항당뇨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STZ을 사용하여 당뇨병을 유발한 마우스에서, 4주간 1일 1회 WEEF를 경구 투여할 경우,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혈청 인슐린, 체중 감소 및 혈압이 개선되었다. 이러한 항당뇨 효과와 일치하여, WEEF 경구 투여는 신장 기능 장애 및 간 기능 장애와 같은 당뇨병 합병증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WEEF가 인슐린 분비와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켜 마우스의 당뇨병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오수유 수용성 추출물은 인슐린 분비와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항당뇨 효과를 통해 당뇨병 합병증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오수유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의 효능 연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약용작물산업학전공 홍이환 약용작물의 산업화는 경제 성장과 더불어 부가가치 또한 필요하다....

      국문초록

      오수유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의 효능 연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약용작물산업학전공 홍이환


      약용작물의 산업화는 경제 성장과 더불어 부가가치 또한 필요하다. 현대인에게 많은 대사성 질환의 효과를 위한 연구를 함으로써 그에 따른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α-glucosidase, RIN-m5f β-세포와 L6 근세포 및 streptozotocin (STZ) 유도 당뇨병 마우스에서 오수유(吳茱萸; 학명: Evodia rutaecarpa Benth., 약용명: Evodiae fructus) 수용성 추출물(WEEF)의 항당뇨 효과를 조사하고 가능한 항당뇨 기전을 제시하였다.
      α-Glucosidase의 억제 활성을 조사하는 효소 모델에서, WEEF는 효소 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임상에서 항당뇨 약으로 사용되는 acarbose는 α-glucosidase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EEF는 마우스 구강 자당 내성 검사 및 구강 포도당 내성 검사에서 혈당의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WEEF가 α-glucosidase와 관련이 없는 다른 항당뇨 경로에 의해 혈당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RIN-m5f β-세포의 인슐린 분비와 L6 근세포의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실험에서, WEEF는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RIN-m5f β-세포의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고, L6 근세포의 포도당 흡수를 또한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WEEF는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고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항당뇨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STZ을 사용하여 당뇨병을 유발한 마우스에서, 4주간 1일 1회 WEEF를 경구 투여할 경우,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혈청 인슐린, 체중 감소 및 혈압이 개선되었다. 이러한 항당뇨 효과와 일치하여, WEEF 경구 투여는 신장 기능 장애 및 간 기능 장애와 같은 당뇨병 합병증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WEEF가 인슐린 분비와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켜 마우스의 당뇨병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오수유 수용성 추출물은 인슐린 분비와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항당뇨 효과를 통해 당뇨병 합병증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표 목 차 viii
      • 그림목차 ix
      • 목 차
      • 표 목 차 viii
      • 그림목차 ix
      • 사진목차 xi
      • 국문초록 xii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5
      • 제 3 절 연구의 구성 및 절차 5
      • 1. 연구의 구성 5
      • 2. 연구의 절차 7
      • 3. 연구의 모형 8
      • 제 4 절 용어의 정의 9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2
      • 제 1 절 국내 천연물에 대한 분류와 산업 현황 12
      • 제 2 절 항당뇨의 국내의 연구 동향 및 고찰 16
      • 제 3 절 오수유 활용 19
      • 1. 한방에서 오수유의 효능 20
      • 2. 오수유의 주요성분 21
      • 3. 오수유의 약리 활성 22
      • 제 4 절 오수유의 국내・외 선행연구 22
      • 제 3 장 재료 및 방법 26
      • 제 1 절 재료 및 시약 26
      • 제 2 절 연구방법 26
      • 1. 추출 및 시료 제조 26
      • 2. α-Glucosidae 활성 측정 28
      • 3. 세포 및 세포배양 29
      • 4. 세포독성 30
      • 5. 인슐린 측정 31
      • 6. 포도당 흡수 32
      • 7. 실험동물 35
      • 8. 당뇨병 유발 35
      • 9. 경구 자당 및 포도당 내성 검사 37
      • 10. 혈청 분리 38
      • 11. 간 및 신장 적출 38
      • 12. GOT 및 GPT 38
      • 13. 당화혈색소 39
      • 14. BUN 및 creatinine 42
      • 15. 체중 및 혈압 42
      • 제 3 절 통계처리 및 분석 43
      • 제 4 장 연구 결과 46
      • 1. α-Glucosidase 활성 46
      • 2. 정상 실험동물에서 OSTT 및 OGTT 48
      • 3. β-세포에서 인슐린 분비 51
      • 4. 근세포에서 포도당 흡수 54
      • 5. 당뇨병 실험동물에서 공복 혈당 57
      • 6. 당뇨병 실험동물에서 당화혈색소 59
      • 7. 당뇨병 실험동물에서 인슐린 61
      • 8. 당뇨병 실험동물에서 체중 및 혈압 63
      • 9. 당뇨병 실험동물에서 당뇨합병증 66
      • 10. 당뇨병 실험동물에서 BUN 및 creatinine 69
      • 11. 당뇨병 실험동물에서 GOT 및 GPT 71
      • 제 5 장 고찰, 결론 및 제언 73
      • 제 1 절 고찰 73
      • 제 2 절 결론 77
      • 제 3 절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78
      • 참고문헌 81
      • ABSTRACT 9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범문에듀케이션 편집부, "병리학", 서울범문에듀케이션, pp.927-8, 1118-33, 2011

      2 김용진, 허갑범, 최영길, 이태희, 신순현, 민헌기, "당뇨병학", 당뇨 병학회지, 제4권, pp. 585-603, 2011

      3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본초학』", 「영림사」, pp.337-338, 2007

      4 대한신장학회, "임상신장학", 서울광문출판사, pp. 330-43, 594-7, 2005

      5 정담편집부, "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2006

      6 김동일, 허준, 조헌영, "『동의보감』", 「여강출판 사」, pp. 1998-2003, 2005

      7 (재)민족의학연구원, 이시진, "『본초강목』", 「문사철출판」, 2019

      8 성낙전, 하헌용, 자오중전,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한국학 술정보출판, 2019

      9 조선영, "消渴에 관한 醫史學的硏究",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9, 2009

      10 구본홍감수, "『국역한글초판 동의보감』,", 「도서출판 민중서각」.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 1993

      1 범문에듀케이션 편집부, "병리학", 서울범문에듀케이션, pp.927-8, 1118-33, 2011

      2 김용진, 허갑범, 최영길, 이태희, 신순현, 민헌기, "당뇨병학", 당뇨 병학회지, 제4권, pp. 585-603, 2011

      3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본초학』", 「영림사」, pp.337-338, 2007

      4 대한신장학회, "임상신장학", 서울광문출판사, pp. 330-43, 594-7, 2005

      5 정담편집부, "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2006

      6 김동일, 허준, 조헌영, "『동의보감』", 「여강출판 사」, pp. 1998-2003, 2005

      7 (재)민족의학연구원, 이시진, "『본초강목』", 「문사철출판」, 2019

      8 성낙전, 하헌용, 자오중전,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한국학 술정보출판, 2019

      9 조선영, "消渴에 관한 醫史學的硏究",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9, 2009

      10 구본홍감수, "『국역한글초판 동의보감』,", 「도서출판 민중서각」.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 1993

      11 김영섭, 최춘환, 차미란, 이지영, 이봉호, 유시용, "오수유 Cholinesterase 저해 활성 성분", 「생약학회지」, 43(2), 122-126, 2012

      12 구본정, 홍우정, 최대은, 조영석, 정진옥, 이효진, 송민호, 노흥규, 나소영, 김영건, 김도 희, 김군순,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임상적 관찰”", 「대한임상당뇨병학회지」, 3(3), 244-252, 2002

      13 김연수, 최정숙, 정춘희, 장수미, 송자경, "중년기 여성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 「대한당뇨병학회임상당뇨병지」, 3(1), 56-66. 식품의약품안전처생약정보(https://nifds.go.kr/nhmi/search/totalSearch.do), 2002

      14 노재섭, 황방연, 이상선, 이명구, "Evodiamine의 Monoamine Oxidase 활성 저해작용", 「생약학회지」, 37(4), 320-323, 2006

      15 김동훈, "三七根이 당뇨병성 신병증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16 박준한, "1형 및 2형 당뇨병에서 골 취약성 비교 검토",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8

      17 대한의학회, "일차 의료용 근거기반 당뇨병 임상 진료지침", 「대한의학회 임상 진료지침 연구사업단」p. 17, 2014

      18 서동구, "한국 성인에서 구강 건강상태와 당뇨병의 관련성", 연세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19 배윤주, "당뇨병 및 당뇨병성 신경증이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6

      20 김혜영, "당뇨와 치주질환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대한민국약전외 한약(생약)규격집 국가법령 정보센터(www.law.go.kr), 2010

      21 임찬한, "“자외선 유도 피부 노화에 대한 오수유 추출물의 방어 효과",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22 김주혜, "당뇨병 환자의 마음 챙김과 자가관리 활동 및 삶의 질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23 임성호, "오수유 추출물이 파골세포 및 LPS 유발 골 손실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0

      24 조수경,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국 약선음식 인지도 및 교육 활성화”",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25 박선영,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저혈당 발생의 경제적 부담 및 위험 요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26 이소라, "오수유(Evodiae fructus) 추출물의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27 이영태, "혈관 조직 세포에서 오수유 (Evodiae Fructus)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28 김상태, 안승희, 김정도, 김영균, "오수유 MeOH 추출물이 Cyanide에 의한 신경세포의 보호 효과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34(4), 282-287, 2003

      29 고운실, "“소비자의 소비성향에 따른 코스메슈티컬 구매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30 오재선, "木香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인슐린 저항성 mouse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

      31 정진희, "전화 추후관리가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기 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32 김남규, "桃仁이 일측신절제와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병성 신증 rat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33 신지민, "당뇨 유병자의 생애 의료비 산출 : 한국 의료패널(2008-2015)을 이용한 패널 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9

      34 이성란, "당뇨와 감각 이상이 있는 환자의 균형감각 운동이 활동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35 김윤숙, "당뇨병 환자들의 심혈관 질환 합병증과 관련된 위험인자 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4

      36 김종배, 이평재, 양지영, "오수유 메탄올 추출물이 Helicobacter pylori 병원성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임상검사 과학회지(KJCLS)」, 51(3), 316-322, 2019

      37 박선영, "인체 자궁경부암 세포에서 오수유(吳茱萸) 추출물에 의한 세포 자멸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38 김경자, "약선요리 전문점의 메뉴선택 속성이 고객 만족 및 장기 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

      39 설미현, "吳茱萸약침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동물모델의 지방조직 변화 및 지방세포 분해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40 박선동, 허숙경, 이영태, 윤현정, 박원환, "마우스 대식세포 및 사람 혈관 내피세포에서 오수유(Evodia officinalis Dode)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3(1), 29-38,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