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servation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s has been enabled by the human memory, and this memory is both a ‘collective’ and a ‘cultural’ memory which relies on its media such as letters, images, bodies and places. The mural paintings are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70789
노시훈 (전남대학교)
2017
Korean
리옹 ; 문화적 기억 ; 벽화 ; 토니 가르니에 ; 시테 크레아시옹 ; Lyon ; Cultural Memory ; Mural Paintings ; Tony Garnier ; Cité Créatio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21-250(3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servation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s has been enabled by the human memory, and this memory is both a ‘collective’ and a ‘cultural’ memory which relies on its media such as letters, images, bodies and places. The mural paintings are ...
The conservation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s has been enabled by the human memory, and this memory is both a ‘collective’ and a ‘cultural’ memory which relies on its media such as letters, images, bodies and places. The mural paintings are very effective in the preservation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s and in the strengthening or the recovery of cultural identities, because they are not only direct but also popular memory media. The public mural paintings of Lyon are exemplary cases. The works of the cooperative ‘Cité Création’ like the ‘Fresque des Lyonnais’ are filled with cultural heritages of the city, and this leads us to know that their purpose is to conserve cultural identities. The works are also ecological both in natural and in cultural environments. The case of the ‘Musée urbain Tony Garnier’ shows may implications in the aspect of the cultural memories of the city: constant and repetitive recordings are necessary for the conservation and the stabilization of memories;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s crucially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memory keeping; continuous cares, additional works and adaptations are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mural paintings; they can contribute greatly to the regional revitalization.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 문화유산의 보존이 가능한 것은 인류가 가진 기억 능력 덕분인데, 이러한 기억은 집단적 기억임과 동시에 문자, 그림, 몸, 장소 등의 기억 매체에 크게 의존하는 문화적 기억이다. 벽화...
지역 문화유산의 보존이 가능한 것은 인류가 가진 기억 능력 덕분인데, 이러한 기억은 집단적 기억임과 동시에 문자, 그림, 몸, 장소 등의 기억 매체에 크게 의존하는 문화적 기억이다. 벽화는 직접적이고 대중성이 높은기억 매체여서 지역 문화유산의 보존과 이를 통한 문화적 정체성 강화나회복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리옹(Lyon)의 공공 벽화들은 그 모범적 사례라 할 수 있다. ‘리옹인들의 프레스코’(Fresque des Lyonnais) 등 협동조합 시테 크레아시옹(Cité Création)의 작품들을분석해보면 리옹 공공 벽화의 내용이 온통 지역 문화유산들로 가득 차 있어서 그 목적이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보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작품들이 자연적 환경뿐만이 아니라 문화적 환경에까지 친화적이어서 리옹 공공 벽화의 기억 보존 방식은 한마디로 ‘생태적’이라고 할 수 있다. 토니 가르니에 도시박물관(Musée urbain Tony Garnier)의 사례는 도시의문화적 기억이라는 측면에서 여러 시사점을 보여준다. 그것은 기억의 보존과 안정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기록 작업이 필요하고, 성공적 기억 보존에 있어 주민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고, 벽화가 계속 유지되기위해서는 지속적 관리, 추가 작업, 개작이 필요하며, 벽화가 지역 활성화에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시훈, "프랑스의 문화예술협동조합 연구" 프랑스학회 (72) : 349-369, 2015
2 전형연, "프랑스의 도시문화마케팅 전략 사례 연구-리용(Lyon)市와 아를르(Arles)市의 사례를 중심으로" 프랑스학회 (38) : 301-336, 2006
3 송대호, "토니 가르니에 공업도시에 나타난 도시 설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6 (16): 79-86, 2014
4 심상용, "지역과 연대에 기반하는 조형예술의 가능성에 관한 모색 -시테 크레아시옹(Cité Création) 그룹을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42 : 31-64, 2014
5 김남연, "유럽 문화의 교차로 리옹" 국제언어인문학회 15 (15): 185-202, 2013
6 송대호, "서구 이상도시의 시대별 유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6 (16): 103-110, 2014
7 양초롱, "도시 미학과 현대예술 - 리옹 시의 도시 계획 속 문화예술정책 -" 인문학연구원 (53) : 313-347, 2017
8 아스만, 알라이다, "기억의 공간: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변천" 그린비 2011
9 이소리, "국내·외 도시벽화의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벽화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
10 박문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통한지역 공동체 이미지 개선을 위한 연구-대전 대동마을과 프랑스 리옹(Lyon) 벽화 마을 사례"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3) : 43-62, 2013
1 노시훈, "프랑스의 문화예술협동조합 연구" 프랑스학회 (72) : 349-369, 2015
2 전형연, "프랑스의 도시문화마케팅 전략 사례 연구-리용(Lyon)市와 아를르(Arles)市의 사례를 중심으로" 프랑스학회 (38) : 301-336, 2006
3 송대호, "토니 가르니에 공업도시에 나타난 도시 설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6 (16): 79-86, 2014
4 심상용, "지역과 연대에 기반하는 조형예술의 가능성에 관한 모색 -시테 크레아시옹(Cité Création) 그룹을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42 : 31-64, 2014
5 김남연, "유럽 문화의 교차로 리옹" 국제언어인문학회 15 (15): 185-202, 2013
6 송대호, "서구 이상도시의 시대별 유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6 (16): 103-110, 2014
7 양초롱, "도시 미학과 현대예술 - 리옹 시의 도시 계획 속 문화예술정책 -" 인문학연구원 (53) : 313-347, 2017
8 아스만, 알라이다, "기억의 공간: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변천" 그린비 2011
9 이소리, "국내·외 도시벽화의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벽화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
10 박문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통한지역 공동체 이미지 개선을 위한 연구-대전 대동마을과 프랑스 리옹(Lyon) 벽화 마을 사례"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3) : 43-62, 2013
11 이창현, "강릉시 도시벽화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Conseil d’Architecture, "d’Urbanisme et de l’Environnement du Rhône"
13 Wiebenson, Dora, "Utopian Aspects of Tony Garnier's Cité Industrielle" 19 (19): 16-24, 1960
14 Garnier, Tony, "Une cité industrielle: étude pour la construction des villes"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89
15 Mariani, Riccardo, "Tony Garnier une cité industrielle" Rizzoli 1990
16 "Tony Garnier 1869-1948 Architecte et urbaniste"
17 Authier, Jean-Yves, "Sociologie de Lyon" La Découverte 2010
18 Foret, Catherine, "Quand l'art urbain vient aux HLM. La cité Tony Garnier à Lyon" 42 : 51-56, 1989
19 Musée urbain Tony Garnier, "Musée urbain Tony Garnier. Musée urbain Tony Garnier"
20 Legué-Dupont, Pascale, "Les États-Unis: un site exemplaire" 70 : 38-48, 1996
21 Ville de Lyon, "Les murs peints"
22 Nora, Pierre, "Les lieux de mémoire . 3 vol" Gallimard 1997
23 Halbwachs, Maurice, "La Topographie légendaire des Évangiles en Terre Sainte: étude de mémoire collectiv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008
24 Pelletier, André, "Histoire de Lyon: des origines à nos jours" Éditions lyonnaises d’art et d’histoire 2007
25 Poirieux, Corinne, "Guide de Lyon et ses murs peints réalisés par CitéCréation: découvrir la ville autrement" Éditions lyonnaises d’art et d’histoire 2013
26 Chenevez, Alain, "From Tony Garnier to the Urban Museum: the birth of a cultural housing project" 56 (56): 77-83, 2004
27 Piot, Cyrille, "4 villes idéales Lyon, Le Havre, Washington et Essaouira: 4architectes Tony Garnier, Perret, L’Enfant et Cornut" L’Harmattan 2015
지방행정서비스와 개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커뮤니티웰빙의 6개 자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도시성장을 위한 촉매제로서의 프로스포츠 활성화: 인천 원도심 경기장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의 광역시·도별 효율성 분석: 인천지역 문화콘텐츠산업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6-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IDI 도시연구 -> 도시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Urban Studies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5-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천발전연구원 -> 인천연구원영문명 : 미등록 -> The Incheon Institute | ![]() |
2018-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Incheon Institute | ![]() |
2018-05-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천발전연구원 -> 인천연구원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