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특성과 정신건강수준이 구강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9기(2022 - 2024) 1차년도 원시자료를 활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07194
2024
Korean
mastication ; phonation ; tooth pain ; mental health ; 저작불편 ; 말하기불편 ; 치아통증 ; 정신건강
KCI등재
학술저널
212-224(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특성과 정신건강수준이 구강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9기(2022 - 2024) 1차년도 원시자료를 활용...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특성과 정신건강수준이 구강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9기(2022 - 2024) 1차년도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20세 - 80세 3,51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신건강 수준에 따른 구강기능 문제의 차이는 Chi-squared test를 시행하여 평가하였다. 정신건강 수준이 구강기능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은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구강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요인에 대해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저작불편과 말하기불편, 치아통증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인 특성을 보정하였을 때 우울과 불안 수준이 심할수록 저작불편, 말하기불편, 치아통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구강기능과 정신건강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고, 구강기능의 문제를 겪는 사람들에게 정기적인 구강검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을 체계적이고 주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oral fun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level. Materials and Methods: Raw data from the 1st year of the 9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oral fun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level. Materials and Methods: Raw data from the 1st year of the 9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22 - 2024) were used to analyze 3,518 individuals aged 20 to 80 years. The difference in oral function problems according to mental health level was assessed using the Chi-squared test.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level and oral function problems. Results: Chewing difficulty, phonation difficulty, and tooth pain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high stress group than in the low stress group,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adjusting for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more severe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hewing difficulty, phonation difficulty, and tooth pain. Conclusion: Recogniz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oral function and mental health, it is important to develop integrated programs that not only provide regular oral checkups for individuals suffering from oral function problems but also manage mental health systematically and periodically.
치조골 흡수가 심한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하악 총의치 인상채득 방식에 따른 지지영역 차이 및 유지력 비교 증례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buccally unilateral maxillary impacted canines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