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오픈소스 라이선스 분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pen source license dispu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93895

      • 저자
      • 발행사항

        진주 : 慶尙大學校,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慶尙大學校 大學院 , 法學科 ,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60 판사항(6)

      • DDC

        34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형태사항

        vii, 251 p.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申宰昊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pen source (FOSS) has many advantages, but if you do not comply with the open source license, you are liable for breach of contract or copyright infringement. To use open source securely, it is necessary to properly understand and comply with open source licenses. Furthermore, in order to maximize corporate competitiveness by strategically using open source licenses that conform to corporate strategies, a deep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licenses is required.
      In the mid-1980s, when the Unix operating system, which had been freely accessible and available before, was commercialized, a group of hackers opposed it advocated software freedom, and the free software movement began. Most hackers at the time were mostly programmers at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ir inclination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oppression of freedom under the influence of academia sharing academic research results. Their goal was to create an operating system that replaced Unix with their backs on them, but over the years many application programs were created, but the core (kernel) of the operating system was not developed. Meanwhile, many hackers have left the commercial software industry. When Richard Stallman advocated the free software movement, Bill Gates, two years old, was already preparing to become a leader in the commercial software industry.
      GPL 2.0 was released in June 1991, and until then, no operating system to replace Unix has been created. Soon after, Linus Torvalds, a 21-year-old Finnish university student, developed and released Linux and applied GPL 2.0 to Linux, which he thought was the most effective in preventing the monopoly of Linux. Wouldn't it be a little bit of pride to have a kernel that Stallman had tried for years, but couldn't create, was created by a 21-year-old university student in Finland, not a center for software development? Stallman did not admit Linux for a while, but after several years eventually admitted to Linux and named it GNU/LINUX. It was Stallman and Torvalds who had a strong refusal to monopolize the software, but their relationship was not always good. Then a group of dissidents emerged from Stallman, who was stubbornly insisting on copyleft, and they accepted a permissive license that allowed monopoly, unlike Stallman.
      As the use of open source increased, disputes related to open source licenses began to arise in the early 2000s. The initial disputes were often raised by the open source community to protect the open source ecosystem. Since then, there have been many disputes by those who prioritize profits. Recently, even the so-called copyright troll using open source has appeared.
      As you can see from the Hancom case, our companies can become parties to a license dispute anytime if they are vigilant. But you can't just stay on the license. In order to become a competitive and innovative compan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open source licenses beyond compliance. The premise is a deep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licenses. By looking at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open source licenses,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licenses, related disputes and major legal issues, I would like to help develop a licensing strategy that minimizes licensing risks while actively utilizing open source.
      번역하기

      Open source (FOSS) has many advantages, but if you do not comply with the open source license, you are liable for breach of contract or copyright infringement. To use open source securely, it is necessary to properly understand and comply with open so...

      Open source (FOSS) has many advantages, but if you do not comply with the open source license, you are liable for breach of contract or copyright infringement. To use open source securely, it is necessary to properly understand and comply with open source licenses. Furthermore, in order to maximize corporate competitiveness by strategically using open source licenses that conform to corporate strategies, a deep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licenses is required.
      In the mid-1980s, when the Unix operating system, which had been freely accessible and available before, was commercialized, a group of hackers opposed it advocated software freedom, and the free software movement began. Most hackers at the time were mostly programmers at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ir inclination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oppression of freedom under the influence of academia sharing academic research results. Their goal was to create an operating system that replaced Unix with their backs on them, but over the years many application programs were created, but the core (kernel) of the operating system was not developed. Meanwhile, many hackers have left the commercial software industry. When Richard Stallman advocated the free software movement, Bill Gates, two years old, was already preparing to become a leader in the commercial software industry.
      GPL 2.0 was released in June 1991, and until then, no operating system to replace Unix has been created. Soon after, Linus Torvalds, a 21-year-old Finnish university student, developed and released Linux and applied GPL 2.0 to Linux, which he thought was the most effective in preventing the monopoly of Linux. Wouldn't it be a little bit of pride to have a kernel that Stallman had tried for years, but couldn't create, was created by a 21-year-old university student in Finland, not a center for software development? Stallman did not admit Linux for a while, but after several years eventually admitted to Linux and named it GNU/LINUX. It was Stallman and Torvalds who had a strong refusal to monopolize the software, but their relationship was not always good. Then a group of dissidents emerged from Stallman, who was stubbornly insisting on copyleft, and they accepted a permissive license that allowed monopoly, unlike Stallman.
      As the use of open source increased, disputes related to open source licenses began to arise in the early 2000s. The initial disputes were often raised by the open source community to protect the open source ecosystem. Since then, there have been many disputes by those who prioritize profits. Recently, even the so-called copyright troll using open source has appeared.
      As you can see from the Hancom case, our companies can become parties to a license dispute anytime if they are vigilant. But you can't just stay on the license. In order to become a competitive and innovative compan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open source licenses beyond compliance. The premise is a deep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licenses. By looking at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open source licenses,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licenses, related disputes and major legal issues, I would like to help develop a licensing strategy that minimizes licensing risks while actively utilizing open sour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픈소스(FOSS)는 많은 장점이 있지만,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준수하지 않으면 계약위반 또는 저작권침해 등의 법적 책임을 지게 된다. 오픈소스를 안전하게 이용하려면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기업전략에 부합하는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기업경쟁력을 극대화하려면 오픈소스 라이선스에 대한 깊은 이해가 더욱 필요하다.
      1980년대 중반, 그전까지는 자유롭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었던 유닉스(Unix) 운영체제가 상용화되자 이에 반대하는 일단의 해커들이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주창하면서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은 시작되었다. 당시의 해커들은 대부분 대학이나 연구소의 프로그래머들인 경우가 많았다. 이들의 성향은 학술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학계의 영향을 받아 자유를 억압하는 것에 대한 저항성이 강했다. 이들의 목표는 그들에게 등 돌린 유닉스를 대체하는 운영체제를 만드는 것이었으나 수년이 지나도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은 다수 만들었으나 운영체제의 핵심(커널)은 만들지 못하였다. 그 와중에 해커들 중에는 상용소프트웨어 업계로 떠나는 이들도 많아졌다. 리처드 스톨먼이 한창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을 주창할 때 2살 차이의 빌게이츠는 이미 상용소프트웨어 업계의 대표주자가 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었다.
      1991년 6월 GPL 2.0이 발표되었고 그때까지도 유닉스를 대체할 만한 운영체제는 만들어지지 않았다. 얼마 후 핀란드의 21살 젊은 대학생이던 리누스 토발즈는 리눅스를 개발하여 공개했고 좌파적 성향의 가족 분위기에 아직 순수했던 그는 리눅스의 독점화를 막는데 가장 효율적이라 생각했던 GPL 2.0을 리눅스에 적용하였다. 스톨먼이 수년 동안 노력했지만 만들지 못했던 커널을 미국도 아닌 핀란드의 21살 대학 초년생이 만들었으니 조금은 자존심이 상하지 않았을까? 스톨먼은 한동안 리눅스를 인정하지 않다가 몇 해가 지나서야 결국 리눅스를 인정하면서 GNU/LINUX라고 이름 붙였다. 소프트웨어의 독점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가진 스톨먼과 토발즈였지만 이들의 관계가 항상 좋았던 것은 아니었다. 그 후 완고하게 카피레프트를 고집하는 스톨먼과 견해를 달리하는 그룹이 나타났고 그들은 스톨먼과 달리 독점을 허용하는 관대한 라이선스를 수용했다.
      오픈소스의 활용이 많아지자, 2000년대 초반부터 오픈소스 라이선스 관련 분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초기의 분쟁은 오픈소스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오픈소스 진영에서 제기한 경우가 많았다. 그 후 이익을 우선하는 자들에 의한 분쟁도 많아졌다. 최근에는 오픈소스를 이용한 소위 합의금 장사까지 등장했다.
      한컴 사례에서 보듯 우리 기업들도 방심하면 언제든 라이선스 분쟁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라이선스 준수에만 머물 수는 없다. 경쟁력 있는 강한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컴플라이언스를 넘어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 전제는 오픈소스 라이선스에 대한 깊은 이해다.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제정 배경, 라이선스의 분화와 발전, 관련 분쟁 및 주요 법적 쟁점 등을 살펴봄으로써 라이선스 위험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오픈소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번역하기

      오픈소스(FOSS)는 많은 장점이 있지만,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준수하지 않으면 계약위반 또는 저작권침해 등의 법적 책임을 지게 된다. 오픈소스를 안전하게 이용하려면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

      오픈소스(FOSS)는 많은 장점이 있지만,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준수하지 않으면 계약위반 또는 저작권침해 등의 법적 책임을 지게 된다. 오픈소스를 안전하게 이용하려면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기업전략에 부합하는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기업경쟁력을 극대화하려면 오픈소스 라이선스에 대한 깊은 이해가 더욱 필요하다.
      1980년대 중반, 그전까지는 자유롭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었던 유닉스(Unix) 운영체제가 상용화되자 이에 반대하는 일단의 해커들이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주창하면서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은 시작되었다. 당시의 해커들은 대부분 대학이나 연구소의 프로그래머들인 경우가 많았다. 이들의 성향은 학술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학계의 영향을 받아 자유를 억압하는 것에 대한 저항성이 강했다. 이들의 목표는 그들에게 등 돌린 유닉스를 대체하는 운영체제를 만드는 것이었으나 수년이 지나도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은 다수 만들었으나 운영체제의 핵심(커널)은 만들지 못하였다. 그 와중에 해커들 중에는 상용소프트웨어 업계로 떠나는 이들도 많아졌다. 리처드 스톨먼이 한창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을 주창할 때 2살 차이의 빌게이츠는 이미 상용소프트웨어 업계의 대표주자가 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었다.
      1991년 6월 GPL 2.0이 발표되었고 그때까지도 유닉스를 대체할 만한 운영체제는 만들어지지 않았다. 얼마 후 핀란드의 21살 젊은 대학생이던 리누스 토발즈는 리눅스를 개발하여 공개했고 좌파적 성향의 가족 분위기에 아직 순수했던 그는 리눅스의 독점화를 막는데 가장 효율적이라 생각했던 GPL 2.0을 리눅스에 적용하였다. 스톨먼이 수년 동안 노력했지만 만들지 못했던 커널을 미국도 아닌 핀란드의 21살 대학 초년생이 만들었으니 조금은 자존심이 상하지 않았을까? 스톨먼은 한동안 리눅스를 인정하지 않다가 몇 해가 지나서야 결국 리눅스를 인정하면서 GNU/LINUX라고 이름 붙였다. 소프트웨어의 독점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가진 스톨먼과 토발즈였지만 이들의 관계가 항상 좋았던 것은 아니었다. 그 후 완고하게 카피레프트를 고집하는 스톨먼과 견해를 달리하는 그룹이 나타났고 그들은 스톨먼과 달리 독점을 허용하는 관대한 라이선스를 수용했다.
      오픈소스의 활용이 많아지자, 2000년대 초반부터 오픈소스 라이선스 관련 분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초기의 분쟁은 오픈소스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오픈소스 진영에서 제기한 경우가 많았다. 그 후 이익을 우선하는 자들에 의한 분쟁도 많아졌다. 최근에는 오픈소스를 이용한 소위 합의금 장사까지 등장했다.
      한컴 사례에서 보듯 우리 기업들도 방심하면 언제든 라이선스 분쟁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라이선스 준수에만 머물 수는 없다. 경쟁력 있는 강한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컴플라이언스를 넘어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 전제는 오픈소스 라이선스에 대한 깊은 이해다.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제정 배경, 라이선스의 분화와 발전, 관련 분쟁 및 주요 법적 쟁점 등을 살펴봄으로써 라이선스 위험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오픈소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제2장 오픈소스의 연혁 5
      • 제1절 서설 5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제2장 오픈소스의 연혁 5
      • 제1절 서설 5
      • Ⅰ. 오픈소스와 라이선스 5
      • 1. 오픈소스의 개념 5
      • 2. 오픈소스 라이선스 8
      • Ⅱ. 소프트웨어 시장의 형성 9
      • 제2절 유닉스(Unix) 운영체제 10
      • Ⅰ. 유닉스의 기원 11
      • Ⅱ. 유닉스의 성장 13
      • Ⅲ. 유닉스의 상용/독점화 15
      • Ⅳ. 유닉스의 독점 반대와 오픈소스의 태동 16
      • Ⅴ. 오픈소스 진영과 학계의 관계 19
      • 제3절 GNU 프로젝트와 자유소프트웨어재단 22
      • Ⅰ. 소프트웨어 공유문화의 위기 22
      • Ⅱ. 상용 유닉스에 대한 해커들의 대응 24
      • Ⅲ. 리처드 스톨먼과 GNU 프로젝트 27
      • Ⅳ. 자유소프트웨어재단의 설립과 GNU의 성장 30
      • Ⅴ. GNU 라이선스의 등장 35
      • Ⅵ. 자유소프트웨어에 대한 법적 위협 39
      • Ⅶ. GNU의 한계와 역사적 의미 43
      • 제4절 리눅스(Linux) 운영체제 47
      • Ⅰ. 리눅스의 등장 47
      • 1. 리눅스의 등장 배경 47
      • 2. 리눅스의 개발자 49
      • 3. 리눅스의 개발 51
      • Ⅱ. 리눅스의 라이선스 53
      • 1. 리눅스와 GPL 53
      • 2. 리눅스와 라이선스 54
      • Ⅲ. GNU와 리눅스의 결합 56
      • Ⅳ. 리눅스의 성공 60
      • 1. 유닉스의 여러 대안 60
      • 2. 리눅스의 성공 요인 61
      • 제5절 오픈소스 진영의 성장과 분화 64
      • Ⅰ. 오픈소스이니셔티브와 라이선스 정의 64
      • Ⅱ. 오픈소스 진영의 분화 66
      • 1. 오픈소스 라이선스 이념의 차이 66
      • 2. 오픈소스 진영과 독점 소프트웨어 진영의 갈등 66
      • Ⅲ. 오픈소스 관련 주요인물 70
      • 제3장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유형과 특징 73
      • 제1절 서설 73
      • Ⅰ. 오픈소스 라이선스와 저작권 73
      • Ⅱ.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유형 74
      • Ⅲ.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주요 내용 77
      • 제2절 강한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79
      • Ⅰ. GNU GPL 2.0 79
      • Ⅱ. GNU GPL 3.0 80
      • Ⅲ. GNU Affero GPL 81
      • 제3절 약한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82
      • Ⅰ. GNU Lesser GPL 82
      • 1. GNU LGPL 2.1 82
      • 2. GNU LGPL 3.0 82
      • Ⅱ. Mozilla Public License(MPL) 2.0 83
      • Ⅲ. Eclipse Public License(EPL) 2.0 84
      • 제4절 관대한(permissive) 라이선스 84
      • Ⅰ. BSD 라이선스 84
      • Ⅱ. MIT 라이선스 86
      • Ⅲ. Apache 라이선스 86
      • 제5절 듀얼라이선스 87
      • Ⅰ. 듀얼라이선스의 의미 87
      • Ⅱ. 듀얼라이선스의 특징 89
      • 1. 듀얼라이선스의 위험성 89
      • 2. 듀얼라이선스 위반 사례 89
      • 제4장 오픈소스 라이선스 분쟁 91
      • 제1절 서설 91
      • 제2절 초기 오픈소스 라이선스 분쟁 92
      • Ⅰ. 독일의 초기 라이선스 분쟁 92
      • 1. 개요 92
      • 2. 해럴드 벨테의 GPL 분쟁 사례 93
      • Ⅱ. 미국의 라이선스 분쟁 96
      • 1. Progress v. MySQL 사례 96
      • 2. Drew Technologies v. SAE 사례 97
      • 3. Planetary Motion v. Techplosion 사례 100
      • 4. Computer Association International v. Quest Software 사례 104
      • Ⅲ. 기타 지역의 라이선스 분쟁 107
      • 1. Jin v. IChessU 사례 107
      • 2. AFPA v. Edu4 사례 110
      • 3. Free/Iliad 사례 112
      • 제3절 라이선스 소송의 발전 112
      • Ⅰ. BusyBox 사례 112
      • Ⅱ. Jacobsen v. Katzer 사례 114
      • 1. 개요 114
      • 2. 쟁점 및 법원의 판단 115
      • 3. 검토 123
      • 제4절 최근의 라이선스 분쟁 125
      • Ⅰ. McHardy v. Geniatech 사례 125
      • 1. 개요 125
      • 2. 쟁점 및 법원의 판단 125
      • 3. 검토 128
      • Ⅱ. Hellwig v. VMware 사례 130
      • 1. 개요 130
      • 2. 쟁점 및 법원의 판단 131
      • 3. 검토 132
      • 제5절 우리 기업관련 라이선스 분쟁 133
      • Ⅰ. 삼성전자 사례 133
      • 1. 개요 133
      • 2. 주요 쟁점 134
      • 3. 검토 134
      • Ⅱ. 엘림넷 v. 하이온넷 사례 135
      • 1. 개요 135
      • 2. 쟁점 및 법원의 판단 136
      • 3. 검토 139
      • Ⅲ. Artifex v. Hancom 사례 142
      • 1. 개요 142
      • 2. 쟁점 및 법원의 판단 144
      • 3. 검토 147
      • 제5장 오픈소스 라이선스 관련 법적 쟁점 150
      • 제1절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법적 성격 150
      • Ⅰ. 개요 150
      • Ⅱ. 미국의 판례와 학설 153
      • 1. 미국의 판례 153
      • 2. 미국 학계의 입장 155
      • Ⅲ. 우리나라의 판례와 학설 158
      • 1. 판례의 입장 161
      • 2. 학설의 입장 163
      • Ⅳ. 소결 164
      • 제2절 오픈소스와 경계문제 166
      • Ⅰ. 카피레프트와 경계문제 166
      • Ⅱ. 경계문제의 핵심과 현황 168
      • 1. 오픈소스의 수정과 경계문제 168
      • 2. 미국의 판례와 학설 170
      • 3. 우리나라의 판례와 학설 173
      • Ⅲ. 자유소프트웨어재단의 의견 175
      • Ⅳ. 소결 176
      • 제3절 오픈소스와 지식재산권 177
      • Ⅰ. 개요 177
      • Ⅱ. 오픈소스와 특허권 178
      • 1. 소프트웨어 특허의 연혁 178
      • 2. 오픈소스 진영의 특허 대응 180
      • 3. 그랜트백(Grantback)과 오픈소스 라이선스 183
      • 4. 소결 187
      • Ⅲ. 오픈소스와 영업비밀 188
      • 1. 오픈소스 라이선스 위반과 영업비밀 보호 188
      • 2. GPL 계열 오픈소스 저작물의 성격 189
      • 3. GPL 위반 2차적저작물의 평가 190
      • 4. 소결 194
      • Ⅳ. 오픈소스와 상표권 195
      • 1. 오픈소스와 상표권과의 관계 195
      • 2. 리눅스 상표권 분쟁 195
      • 3. 주요 오픈소스 상표권 정책 197
      • 제4절 기타 쟁점 198
      • Ⅰ.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양립성 198
      • 1. 양립성의 개념 198
      • 2. 양립성 문제의 유형 199
      • 3. 양립성 문제의 한계와 대응 방안 203
      • Ⅱ. 오픈소스와 합의금 장사 204
      • 1. 오픈소스 합의금 장사의 등장 204
      • 2. 오픈소스 진영의 대응 207
      • 3. 오픈소스 합의금 장사에 대한 법적 검토 210
      • 4. 소결 213
      • Ⅲ. 오픈소스와 공정이용 214
      • 1. 개요 214
      • 2. 구글의 행위가 공정이용에 해당하는지 여부 216
      • 3. 소결 219
      • Ⅳ. 해외판결의 국내 집행력 220
      • Ⅴ. 이너소스(InnerSource) 223
      • 제6장 오픈소스 라이선스 대응전략 226
      • 제1절 서설 226
      • 제2절 컴플라이언스를 위한 요소들 227
      • Ⅰ. 교육 및 인식제고 227
      • Ⅱ. 인력 및 조직의 배치 229
      • Ⅲ. 현황 진단과 전략 수립 229
      • Ⅳ. 정책과 절차 수립 230
      • Ⅴ. 컴플라이언스 지원 도구 232
      • Ⅵ. 조회관리와 외부지원 233
      • 제3절 기업의 컴플라이언스 방안 234
      • Ⅰ. 컴플라이언스 일반 234
      • Ⅱ. 중소기업의 컴플라이언스 234
      • 1. 중소기업 컴플라이언스의 필요성 234
      • 2. 중소기업 컴플라이언스 방안 235
      • 제4절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적극적 활용 방안 236
      • Ⅰ. 정부의 오픈소스 라이선스 정책 236
      • 1. 정부 정책 강화의 필요성 236
      • 2. 정부의 오픈소스 라이선스 정책 237
      • Ⅱ. 기업의 오픈소스 라이선스 전략 240
      • 1. 기업의 오픈소스 활용현황 240
      • 2. 우리 기업의 오픈소스 라이선스 활용 전략 242
      • 제7장 결론 244
      • 참고문헌 246
      • <표목차>
      • <표 2-1> 오픈소스에 영향을 끼친 주요 인물들 70
      • <표 3-1> 활용도 및 법적 위험에 따른 오픈소스 라이선스 분류 75
      • <표 3-2> 주요 오픈소스 라이선스 내용 비교 78
      • <표 3-3> BSD 라이선스의 버전별 내용 85
      • <표 5-1> 파생저작물에 대응하는 GPL 규정 16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형배, "민법학강의", 신조사, 2011

      2 백욱인, "컴퓨터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 박성호, "저작권법 제2판", 박영사, 2017

      4 이해완, "저작권법 제3판", 박영사, 2015

      5 오승종, "저작권법 제4판", 박영사, 2016

      6 최경수, "「저작권법개론」", 도서출판 한울, 2010

      7 박종백,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8 신재호, "?김형렬, 저작권의 이해", 한국저작권위원회, 2016

      9 신동희, "인간과 컴퓨터의 어울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 이광근, "컴퓨터과학이 여는 세계", 인사이트, 2015

      1 김형배, "민법학강의", 신조사, 2011

      2 백욱인, "컴퓨터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 박성호, "저작권법 제2판", 박영사, 2017

      4 이해완, "저작권법 제3판", 박영사, 2015

      5 오승종, "저작권법 제4판", 박영사, 2016

      6 최경수, "「저작권법개론」", 도서출판 한울, 2010

      7 박종백,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8 신재호, "?김형렬, 저작권의 이해", 한국저작권위원회, 2016

      9 신동희, "인간과 컴퓨터의 어울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 이광근, "컴퓨터과학이 여는 세계", 인사이트, 2015

      11 전응준, "“오픈소스SW 분쟁사례”", 년 오픈소스SW 라이선스 전문가 커뮤니티 연구과제, 한국저작권위원회, 2017, 2017

      12 백욱인, "디지털 데이터?정보?지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3 김인철, "미국저작권청 Fair Use Index", 한국저작권위원회, 2019

      14 김수철, "특허 라이선스 계약 실무", 세창출판사, 2017

      15 김정욱, "“미국의 특허개혁 동향”", 산업기술정책 브리프 -18,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2, 2012

      16 김종배, "?김두연?류성열, 오픈소스 2.0", 한티미디어, 2010

      17 신재호, "“저작자 개념에 관한 소고”", 산업재산권 제61호, 한국지식재산학회, 2019

      18 박준석, 오픈캡쳐, "판결 비판”, 계간저작권 제120호", 한국저작권위원회, 2017

      19 송재섭, "“오픈캡쳐의 저작권 침해 여부”", 저작권문화 제282호, 2018

      20 H.M, "Deitel (조유근 고건 공역), 운영체제론", 홍릉과학출판사, 1994

      21 남희섭,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체계 방안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2017

      22 Harald Welte, "“Latest legal cases of Open Source License Enforcement”", 공유저작물 및 오픈소스 콘퍼런스 발표자료, 한국저작권위원회, 2019, 2019

      23 김효정, "?장지용, 외국재판의 승인과 집행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16), 2020, 2019

      24 이미영, "“공개소프트웨어의 법적 문제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5 김경애, "기업실무자를 위한 오픈소스 거버넌스 가이드", 한국저작권위원회, 2017

      26 김윤명, "?이민영, 소프트웨어와 리걸 프레임 10가지 이슈",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27 정현순, "“저작권의 부당한 행사와 독점규제법의 적용”",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8 양빛나,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법적 문제에 관한 고찰”",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9 현대호, "영업비밀의 보호에 관한 법제연구(연구보고 04-06)", 한국법제연구원, 2004

      30 김경애, "?이철남,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가이드 3.0", 한국저작권위원회, 2016

      31 김종철, "“저작재산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2 김병일, 오픈소스, "라이선스 위반과 저작권 침해”, 계간저작권 제86호", 한국저작권위원회, 2009

      33 이철남, "“자유/오픈소스소프트웨어의 지적재산권과 경쟁”", 창작과 권리, 세창출판사, 2011

      34 정유진, "?박세진?권헌영,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공정이용”", 홍익법학 제17권 제4호, 2016

      35 손호진,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관한 법적 규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6 이해영, "“컴퓨터소프트웨어 발명의 특허적격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7 임준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의 조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8 권영환, 오픈소스, 상업적, "활용년 오픈소스SW 라이선스 전문가 커뮤니티 연구과제)", 한국저작권위원회, 2018, 2018

      39 이철남,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양립성(Compatibility)에 관한 연구”", 계간저작권 제117호, 2017

      40 이철남, "“소프트웨어 저작권과 오픈소스 라이선스, 그리고 특허”", 정보와 통신 Vol.35 No.5, 한국통신학회, 2018

      41 김현숙, "”기업사용자의 소프트웨어 이용과 라이선스 계약의 해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2 강기봉,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에서의 저작권 등 지적재산권 관계 분석", 한국저작권위원회, 2014

      43 박형옥, "“컴퓨터프로그램 저작물의 저작물성과 공정이용 법리 판단”", 저작권 동향 (제5호), 한국저작권위원회, 2018, 2018

      44 Eric S., "Raymond (정직한?최준호?송창훈?이기동?윤종민 옮김), 성당과 시장", 한빛미디어, 2013

      45 문장원,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SW지재권 전략에 관한 연구(정책연구 08-15",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2008

      46 권문주, "“공개소프트웨어 도입 실태 및 활성화 장애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47 김성일, "“소프트웨어 특허 보호 강화가 오픈소스 진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48 박형옥, "“구글, 미연방대법원에 오라클 자바 API 저작권침해소송판결에 대한 상고 허가신청”", 저작권 동향 (제2호), 한국저작권위원회, 2019, 2019

      49 한지영, "“저작권 라이선스 계약에서 라이선시의 법적 보호(독일과 우리나라의 비교법적 고찰)”", 계간저작권 제103호, 2013

      50 이주현, "“공개소프트웨어의 법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개선 연구”", 고려대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51 이진환,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에서 오픈소스 라이선스(GPLv2) 준수를 위한 소켓 통신 인터페이스 리팩토링 기법",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2 박준석,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충돌의 구조적 해결을 위한 관리 프레임워크의 개발 및 적용 전략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