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0년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과 일제 강제동원의 불법성 = A Study on the Illegality of Forced Mobilization by Japan and Forced Labour Convention in 193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4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were analyzed the problems of Japan’s forced mobilization policy by analyzing the Forced Labour Convention in 1930 and the cases of illegal forced mobilization in Japan, The Forced Labour Convention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abolition of forced labour, and ILO member states that ratify the Convention promise to abolish all forms of forced labor as soon as possible.
      This Convention promises to apply not only to the member states that ratify it, but also to the jurisdictions under its control, so this legal effect also extends to Korea. In the Japanese Constitution, treaties concluded by Japan and established international laws stipulate that they must be faithfully complied with, which has superior effect over domestic laws.
      It violates this Convention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 managed the Korean labor force at the national level by enacting the National Mobilization Act and the mobilization management regulations for Koreans attached to it.
      For exampl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rcibly mobilized to the Organize Labor Service Corps., and workers were not compensated for overtime hours.
      It is also in violation of this Convention to demand compulsory savings from Koreans and to raise funds for the purpose of war by the state, even though wages must be paid individually to each worker.
      Although there is an agreement on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and medical treatment, the Japanese government and companies did not take any measure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medical treatment for Korean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was poor. It was enacted that it should not be used for underground work in mines, so it can be seen that forced mobilization and forced labor in coal mines are illegal.
      In the case analysis of the illegality of Japanese forced mobilization, it can be seen that Koreans were subjected to racial discrimination while being subjected to forced labor in coal mines in Japan and major coal mines in Hokkaido.
      The Japanese government, in solidarity with Japanese companies, widely and systematically discriminated against Korean forced laborers and violated human rights is a violation of international norms related to crimes against humanity or the prohibition of slavery.
      Currently, the Japanese government denies responsibility for the private sector’s employment of workers on the grounds that it has no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the state. However, when you look at the National Assembly Act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you can prove that it was a wartime labor management system that forcibly mobilized Koreans using the state power.
      번역하기

      We were analyzed the problems of Japan’s forced mobilization policy by analyzing the Forced Labour Convention in 1930 and the cases of illegal forced mobilization in Japan, The Forced Labour Convention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abolition of for...

      We were analyzed the problems of Japan’s forced mobilization policy by analyzing the Forced Labour Convention in 1930 and the cases of illegal forced mobilization in Japan, The Forced Labour Convention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abolition of forced labour, and ILO member states that ratify the Convention promise to abolish all forms of forced labor as soon as possible.
      This Convention promises to apply not only to the member states that ratify it, but also to the jurisdictions under its control, so this legal effect also extends to Korea. In the Japanese Constitution, treaties concluded by Japan and established international laws stipulate that they must be faithfully complied with, which has superior effect over domestic laws.
      It violates this Convention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 managed the Korean labor force at the national level by enacting the National Mobilization Act and the mobilization management regulations for Koreans attached to it.
      For exampl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rcibly mobilized to the Organize Labor Service Corps., and workers were not compensated for overtime hours.
      It is also in violation of this Convention to demand compulsory savings from Koreans and to raise funds for the purpose of war by the state, even though wages must be paid individually to each worker.
      Although there is an agreement on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and medical treatment, the Japanese government and companies did not take any measure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medical treatment for Korean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was poor. It was enacted that it should not be used for underground work in mines, so it can be seen that forced mobilization and forced labor in coal mines are illegal.
      In the case analysis of the illegality of Japanese forced mobilization, it can be seen that Koreans were subjected to racial discrimination while being subjected to forced labor in coal mines in Japan and major coal mines in Hokkaido.
      The Japanese government, in solidarity with Japanese companies, widely and systematically discriminated against Korean forced laborers and violated human rights is a violation of international norms related to crimes against humanity or the prohibition of slavery.
      Currently, the Japanese government denies responsibility for the private sector’s employment of workers on the grounds that it has no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the state. However, when you look at the National Assembly Act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you can prove that it was a wartime labor management system that forcibly mobilized Koreans using the state pow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30년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과 일본의 강제동원 불법 사례를 분석하여 일제 강제동원정책의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은 강제근로의 폐지를 목적으로 제정되었고 이 협약을 비준하는 국제노동기구 회원국은 가능한 조기에 모든 형태의 강제근로를 폐지할 것을 약속하고 있다.
      이 협약은 비준하는 회원국은 물론, 지배하에 놓여 있는 관할지역에 대하여 이를 적용하기로 약속하고 있어 이런 법적 효력도 조선에도 미친다. 일본 헌법에서 일본이 체결한 조약 및 확립된 국제법규를 성실하게 준수하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 일본 국내 법률보다 우위의 효력을 지니고 있다.
      일본 정부는 「국가총동원법」 등 부속 조선인 동원 및 관리 규정을 제정하여 조선의 노동력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였기 때문에 이 협약에 위반이 된다. 예를 들면, 초중학생들을 근로보국대에 강제 동원하고 근로자의 초과근로시간에 대한 보수를 지급하지 않았고, 조선인은 일본인보다 임금이 적었고 힘들고 위험한 탄광갱부의 노동에 처해졌다. 임금 지불에 대해서 각 근로자에게 개별적으로 지급하여야 하는데도 조선인에게 강제저축을 요구하고 자금을 국가에서 전쟁 목적으로 조달한 것도 이 협약에 저촉된다. 근로환경 개선 및 의료조치에 대한 협약이 있지만, 일본 정부와 기업들은 조선인에 대한 근로환경 개선 및 의료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근로 환경은 열약했다. 광산에서의 갱내근로를 위하여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제정되어 있어 탄광 내에서의 강제동원 및 강제근로는 불법임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제동원의 불법성에 대한 사례 분석에서는 일본 내 탄광지역, 홋카이도지역 주요 탄광 내에서 조선인은 강제노역을 당하면서 민족적 차별을 받았던 것을 알 수 있다. 일본 정부는 일본 기업과 연대하여 광범위하고 체계적으로 조선인 강제 노동자들을 차별하고 인권을 유린한 것은 모두 반인도 범죄 또는 노예 금지와 관련한 국제적 강행규범 위반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일본 정부는 민간이 노동자 고용은 국가와 고용관계가 없었다는 이유로 국가 책임을 부정하고 있지만, 「국가총동법」과 그와 관련된 부속 법령들을 보면 국가 공권력을 사용해 조선인을 강제 동원했고 전시노무관리 체제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번역하기

      「1930년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과 일본의 강제동원 불법 사례를 분석하여 일제 강제동원정책의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은 강제근로의 폐지를 목적으로 제정되었...

      「1930년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과 일본의 강제동원 불법 사례를 분석하여 일제 강제동원정책의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은 강제근로의 폐지를 목적으로 제정되었고 이 협약을 비준하는 국제노동기구 회원국은 가능한 조기에 모든 형태의 강제근로를 폐지할 것을 약속하고 있다.
      이 협약은 비준하는 회원국은 물론, 지배하에 놓여 있는 관할지역에 대하여 이를 적용하기로 약속하고 있어 이런 법적 효력도 조선에도 미친다. 일본 헌법에서 일본이 체결한 조약 및 확립된 국제법규를 성실하게 준수하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 일본 국내 법률보다 우위의 효력을 지니고 있다.
      일본 정부는 「국가총동원법」 등 부속 조선인 동원 및 관리 규정을 제정하여 조선의 노동력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였기 때문에 이 협약에 위반이 된다. 예를 들면, 초중학생들을 근로보국대에 강제 동원하고 근로자의 초과근로시간에 대한 보수를 지급하지 않았고, 조선인은 일본인보다 임금이 적었고 힘들고 위험한 탄광갱부의 노동에 처해졌다. 임금 지불에 대해서 각 근로자에게 개별적으로 지급하여야 하는데도 조선인에게 강제저축을 요구하고 자금을 국가에서 전쟁 목적으로 조달한 것도 이 협약에 저촉된다. 근로환경 개선 및 의료조치에 대한 협약이 있지만, 일본 정부와 기업들은 조선인에 대한 근로환경 개선 및 의료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근로 환경은 열약했다. 광산에서의 갱내근로를 위하여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제정되어 있어 탄광 내에서의 강제동원 및 강제근로는 불법임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제동원의 불법성에 대한 사례 분석에서는 일본 내 탄광지역, 홋카이도지역 주요 탄광 내에서 조선인은 강제노역을 당하면서 민족적 차별을 받았던 것을 알 수 있다. 일본 정부는 일본 기업과 연대하여 광범위하고 체계적으로 조선인 강제 노동자들을 차별하고 인권을 유린한 것은 모두 반인도 범죄 또는 노예 금지와 관련한 국제적 강행규범 위반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일본 정부는 민간이 노동자 고용은 국가와 고용관계가 없었다는 이유로 국가 책임을 부정하고 있지만, 「국가총동법」과 그와 관련된 부속 법령들을 보면 국가 공권력을 사용해 조선인을 강제 동원했고 전시노무관리 체제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남현, "태평양전쟁 당시의 강제징용과 무연고 유골 위령에 관한 자료집, 강제징용우리는 왜 잊으려고만 하는가" 한문화원 1989

      2 남효순,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사건 판결의 종합적 연구" 박영사

      3 김경남, "일본의 식민지배와 역사적 책임—중층적 결재 구조로 본 식민지배" 경북대출판사 2020

      4 김관원, "일본 전후보상소송에서의 청구권 포기에 관한 연구 -샌프란시스코조약과 한일청구권협정을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학회 33 : 31-66, 2021

      5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및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 "위원회활동결과보고서" 디자인SJ 2016

      6 "바이마르 헌법"

      7 "국제인권규범"

      8 서인원, "국제법으로 본 일제 강제동원 및 피해 보상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일본학회 (121) : 181-207, 2019

      9 김대순, "국제법론" 삼영사 2010

      10 鉄鋼統制会, "鉄鋼統制 第3巻 第5号"

      1 서남현, "태평양전쟁 당시의 강제징용과 무연고 유골 위령에 관한 자료집, 강제징용우리는 왜 잊으려고만 하는가" 한문화원 1989

      2 남효순,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사건 판결의 종합적 연구" 박영사

      3 김경남, "일본의 식민지배와 역사적 책임—중층적 결재 구조로 본 식민지배" 경북대출판사 2020

      4 김관원, "일본 전후보상소송에서의 청구권 포기에 관한 연구 -샌프란시스코조약과 한일청구권협정을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학회 33 : 31-66, 2021

      5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및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 "위원회활동결과보고서" 디자인SJ 2016

      6 "바이마르 헌법"

      7 "국제인권규범"

      8 서인원, "국제법으로 본 일제 강제동원 및 피해 보상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일본학회 (121) : 181-207, 2019

      9 김대순, "국제법론" 삼영사 2010

      10 鉄鋼統制会, "鉄鋼統制 第3巻 第5号"

      11 金英達, "金英達著作集Ⅱ 朝鮮人強制連行の研究" 明石書店 2003

      12 山崎隆三, "近代日本経済史の基本問題" ミネルヴァ書房 1989

      13 最高法規としての憲法のあり方に関する調査小委員会, "衆憲資第50号" 衆議院憲法調査会事務局 2004

      14 内務省警保局保安課, "特高月報 昭和17年6月分"

      15 前田一, "特殊労務者の労務管理" 山海堂 1943

      16 林えいだい, "消された朝鮮人強制連行の記録関釜連絡船と火床の坑夫たち" 明石書店 1989

      17 ブランド·パーマー, "検証日本統治下朝鮮の戦時動員" 三陽社 2014

      18 宮田節子, "朝鮮軍槪要史" 不二出版社 1989

      19 朝鮮殖産銀行, "朝鮮經濟統計要覽" 驪江出版社 1949

      20 高等法院検事局, "朝鮮検察要報" 高等法院 1944

      21 鎌田沢一郎, "朝鮮新話" 創元社 1950

      22 朴慶植, "朝鮮問題資料叢書 第一巻 戦時強制連行·労務管理政策" 三一書房 1982

      23 山田昭次, "朝鮮人戦時労働動員" 岩波書店 2005

      24 青柳敦子, "朝鮮人徴兵徴用に対する日本の戦後責任" 風謀社 2005

      25 朴慶植, "朝鮮人強制連行論文集成" 明石書店 1993

      26 朴慶植, "朝鮮人強制連行の記録" 未来社 2005

      27 外村大, "朝鮮人強制連行" 岩波新書 2012

      28 大阪市社会部調査課, "朝鮮人労働問題" 弘文堂書房 1924

      29 朝鮮總督府, "朝鮮事情(1941∼1943)"

      30 日産懇話会本部, "時局下に於ける労務問題座談会"

      31 安藤良雄, "昭和経済史" 日本経済新聞社 1976

      32 宮澤俊義, "日本國憲法" 日本評論社 1978

      33 "日本国憲法(昭和二十一年憲法)"

      34 松本正徳, "日本労務管理史" 中央大学出版部 1999

      35 戸塚秀夫, "日本労使関係史論" 東京大学出版社 1977

      36 古庄正, "日本企業の戦争犯罪-強制連行の企業責任3" 八月書館 2000

      37 大蔵省管理局, "日本人の海外活動に関する歴史的調査 通巻 第10冊 朝鮮編 第9分冊" ゆまに書房 1950

      38 北野重雄, "改訂版軍需省及軍需会社法" 商工府政社 1944

      39 長澤秀, "戦時下朝鮮人中国人連合軍俘虜強制連行資料Ⅰ" 緑蔭書房 1992

      40 芦部信喜, "憲法學 I 憲法總論" 有斐閣 1992

      41 古庄正, "強制連行の企業責任-徴用された朝鮮人は訴える" 創史社 1993

      42 岡田 憲一, "帰国を待つ人々" 新日本文学会 1959

      43 近藤釰一, "太平洋戰下の朝鮮(5)" 友邦協會 1964

      44 大原社会問題研究所, "太平洋戦争下の労働者状態" 東洋経済新報社 1964

      45 朴慶植, "在日朝鮮人関係資料集成 第5巻" 三一書房 1976

      46 森田芳夫, "在日朝鮮人処遇の推移と現状" 法務研修所 43 (43): 1955

      47 石川準吉, "国家総動員史 資料編 第一" 国家総動員史刊行会 1975

      48 通商産業省, "商工政策史 第11巻 産業統制" 商工政策史刊行会 1964

      49 労働科学研究所, "半島労務者勤労状況に関する調査報告" 労働科学研究所 1943

      50 児玉政介, "勤労動員と援護" 労働省職業安定局 1964

      51 労働省, "労働行政史 第1巻" 労働法令協会 1961

      52 "労働基準法(昭和二十二年法律第四十九号)"

      53 佐藤幸治, "ファンダメンタル憲法" 有斐閣 1994

      54 "Report of the Committee of Experts on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1996)Report III (Part 4 A)"

      55 Forced Labour, "Report and Draft Questionnai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9 0.5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