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옛길 복원의 의의와 활용 가능성: 전라북도의 교류길을 중심으로 = The Significance and Expected Effects of Digitally Restoring Old Roads: A Study of the Jeollabuk- do Interchange Roa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70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역사와 문화를 함께 느낄 수 있는 ‘옛길’ 복원의 의의와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것이다. 특히 교류사적인 관점에서, 전라북도 옛길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고, 문화...

      이 연구는 역사와 문화를 함께 느낄 수 있는 ‘옛길’ 복원의 의의와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것이다. 특히 교류사적인 관점에서, 전라북도 옛길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고, 문화관광자원으로써 디지털 옛길 복원에 따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려고 한다. 디지털 옛길은 기존 문물교류길과 같은 역사기록에 근거한 길 찾기를 넘어 지역사람들이 지닌오랫동안 이용될만한 지리학적 이동 경로의 네트워크 복원과 교류의 의미를 지닌다. 이에 일본의고지도를 활용한 옛길 복원의 사례를 소개하고 전라북도의 현황을 제시하여, 현재 진행 중인 디지털 방식으로 옛길 복원의 가능성을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옛길 복원’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와 지역교육 등 교육적인 측면에서 이론과 실제가 상호 접목된 교육 자료로 활용할수 있다. 둘째, ‘디지털 옛길’을 현장의 역사 및 유물유적과 연결한 역사 테마가 있는 도보 관광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비대면 시대에 지역의 과거 변화를 알 수 있는 역사여행관광 상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명의 고속도로의 중간경유지로서 가치가 있는 전라북도 지역의 이미지 제고 및 위상을 높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utilization effect behind the restoration of the ‘old road,’ where people can experience both the history and culture . In particular, and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 history, this study aims t...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utilization effect behind the restoration of the ‘old road,’ where people can experience both the history and culture . In particular, and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 histo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meaning and values of the old roads in Jeollabuk-do, and to present the usability of digital old roads as resources for cultural tourism. The expected effects of the “Digital Old Road Program,” as identified via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resource in which theory and practice are grafted together in terms of local history and understanding. Second, the “Digital Old Road” can be used as a walking tour program with a historical theme that connects with the site’s history and relics. Third, it can be used as a historical tourism product in the non-face-to-face era, representing the changes in the region. Lastly, it can enhance the image and status of the Jeollabuk-do, which is valuable as an intermediate transit point of a civilization The digital ‘old road’ concerns the restoration of a network of geographic travel routes in context of the local community; routes which can and have be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routes beyond those based on historical records - such as the past inter-civilization roads. In addition, a Japanese case regarding the restoration of old roads via the use of old maps was introduced as a leading example of exploring ways to utilize the old roads discovered in Jeollabuk-d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옛길 복원과 선행연구 검토 3. 전라북도의 교류길 4. 전라북도 옛길 복원과 디지털 활용 가능성 5. 결론
      • 1. 서론 2. 옛길 복원과 선행연구 검토 3. 전라북도의 교류길 4. 전라북도 옛길 복원과 디지털 활용 가능성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병로, "한국교통사 연구 동향과 역사교육의 방향 - 선사·고대~조선시대를 중심으로 -" 역사와교육학회 (21) : 187-260, 2015

      2 문화체육관광부, "코리아둘레길, 더 큰 비전을 담는다" 관광정책국 국내관광진흥과

      3 심우진, "카테나 개념을 이용한 사면유형화 방법의 개발과 평가" 대한지리학회 55 (55): 231-251, 2020

      4 최진성, "주류성의 장소성과 백강의 지리적 인접성" 기전문화연구소 38 (38): 45-68, 2017

      5 김상원, "조선통신사의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관광루트 연구" 경기대학교 2018

      6 "전라북도 토탈관광, 전북천리길 투어 홈페이지"

      7 불교타임즈, "전라북도 아름다운 순례길 세계적 순례길로"

      8 "전라북도 보도자료"

      9 하태규, "웅치·이치전적지의 범위와 관리 현황" 전북사학회 (51) : 365-408, 2017

      10 정대훈, "옛길의 문화재적 가치와 활용 - 경기옛길의 사례를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5) : 21-39, 2014

      1 조병로, "한국교통사 연구 동향과 역사교육의 방향 - 선사·고대~조선시대를 중심으로 -" 역사와교육학회 (21) : 187-260, 2015

      2 문화체육관광부, "코리아둘레길, 더 큰 비전을 담는다" 관광정책국 국내관광진흥과

      3 심우진, "카테나 개념을 이용한 사면유형화 방법의 개발과 평가" 대한지리학회 55 (55): 231-251, 2020

      4 최진성, "주류성의 장소성과 백강의 지리적 인접성" 기전문화연구소 38 (38): 45-68, 2017

      5 김상원, "조선통신사의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관광루트 연구" 경기대학교 2018

      6 "전라북도 토탈관광, 전북천리길 투어 홈페이지"

      7 불교타임즈, "전라북도 아름다운 순례길 세계적 순례길로"

      8 "전라북도 보도자료"

      9 하태규, "웅치·이치전적지의 범위와 관리 현황" 전북사학회 (51) : 365-408, 2017

      10 정대훈, "옛길의 문화재적 가치와 활용 - 경기옛길의 사례를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5) : 21-39, 2014

      11 신상구,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신문왕로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32) : 69-99, 2010

      12 김종혁, "옛길로 여행을 떠나기 전에-길과 문화, 그리고 ‘산경표’" 내일을 여는역사 1 : 152-158, 2000

      13 최인호, "옛길 관광자원의 관리체계 - 일본 쿠마노코도(熊野古道)를 중심으로 -" 동북아관광학회 7 (7): 217-232, 2011

      14 이동근, "역사와 해양의식-해양의식의 체계적 함양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15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실크로드의 재조명-문명의 통로로서 전라북도의 재발견, 산학협력R&D사업 정책보고서" 2019

      16 임송학, "서울신문, 4종교 화합의 순례길 열린다"

      17 심승구, "부안 죽막동 해양제사유적의 세계유산 가치와 등재 방향" 한국학연구소 44 : 455-478, 2015

      18 김규정, "마한의 성장과 익산"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8 : 59-104, 2016

      19 윤재운, "동아시아 교통로 연구현황과 과제-고대 한중관계를 중심으로-" 전북사학회 (53) : 41-70, 2018

      20 "다음 백과사전"

      21 정수진, "농촌관광과 민속학 연구 재고-이천 자채방아 마을 사례로부터-" 실천민속학회 13 : 95-122, 2009

      22 유영초, "길 문화콘텐츠의 생태학적 해석 - 경기옛길을 중심으로 -"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15) : 7-39, 2019

      23 김성완, "근대 자산으로서 길에서 보는 경관의 유형적 특성과경관 보전 방안에 관한 연구- 영도구를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46 (46): 97-110, 2018

      24 김낙중, "고대 고창 지역 정치체의 성장과 변동" 호남고고학회 56 : 150-181, 2017

      25 변지선, "경기옛길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경기옛길 홈페이지의 의주길 옛길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657-670, 2021

      26 경기문화재단, "경기옛길 삼남길‧ 의주길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경기도 2014

      27 권오석, "경기도-경기문화재단 2016 경기옛길 학술대회 ‘역사문화탐방로의 현재와 미래적 가치’ 개최"

      28 "世界遺産座喜味城跡ユンタンザミュ〡ジアム"

      29 조대연, "‘실크로드피아(Silkroadpia)’의 활용과 문화유산의 창출 – 백제부흥운동의 경로복원을 중심으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343-350, 2020

      30 "Appliv アプリ"

      31 이정석, "A Study on the Pla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rail Network Utilizing Old Roads of Hwaseong Fortress, Suwon City" 한국전통조경학회 9 : 97-11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