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살가도 사진의 도상성과 다큐멘터리 휴머니즘 = Sebastiao Salgado`s Iconography and Documentary Photography Human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66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마크 로스코가 비극의 경험이 예술의 원천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사진작가 세바스치앙 살가도(Sebastiao Salgado, 1944∼)의 작업도 아프리카와 중남미 그리고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인류의 비극...

      마크 로스코가 비극의 경험이 예술의 원천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사진작가 세바스치앙 살가도(Sebastiao Salgado, 1944∼)의 작업도 아프리카와 중남미 그리고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인류의 비극적 서사장면을 포착하고 있다. 살가도는 1944년 브라질에서 태어나 경제학 수학 후 국제커피기구 출장 중 일하는 노동자들을 찍은 사진들로 사진의 길은 시작되었다. 이후 일련의 긴 시간을 요하는 장기 프로젝트로 이어졌으며 곳곳에서 포착한 사진들은 인류의 고통을 보여준다. 세계화의 이면에 있는 소외되고 보이지 않는 인류의 가난과 고통에서 삶을 지탱하는 사람들의 멜랑콜리를 통하여 휴머니즘 사진을 이끌어낸다. 인류의 비참함안에서 삶의 근원인 생명력을 끌어가는 개인과 사회의 처절한 현실을 기독교적도상성을 이용한 아름다움으로 승화시켜 사진으로 말한다. 언어로서의 사진이고 드라마로서의 사진 작업은 전율과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이미지의 창출이며 비극적 상황을 예술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순화시켜 인류에게 고하고 생각하게 하는 메시지이다. 그의 사진은 하나의 행위가 아니라 삶이며 생각을 나타낸다. 지구와 인간과의 관계,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를 통하여 현실의 어두움을 살아있기에 움직이고 움직이는 것이기에 살아있는 것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며 인류에게 보내는 각성의 소리침이고 휴머니즘의 표현이다. 노동으로 살아가는 인간의 처절함에 대한 그의 경의는 산업사회 속에 감춰진 어두운 현실 속에서 아름다움과 생명력으로 승화된다. 개인과 사회가 갖고 있는 멜랑콜리의 정서로 절망을 이겨내고 부정의 정서안에서 빛을 발하는 명랑성으로 치환되어 전진하는 전사의 힘으로 버티고 살아내는 개인들의 모습에서 희망을 전한다. 인류전체가 나아갈 방향을 예술사진 방식으로 멜랑콜리 정서는 다큐멘터리사진을 매개체로 하여 휴머니즘에 이르는 사유와 개인의 사상을 대중에게 설파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Mark Rothko said tragic experience is a basic source of art, Sebastiao Salgado represented tragic narrative scene of Africa, Latin America and other abandoned region with christian iconography mood. Salgado trained as an economist, later he changed...

      As Mark Rothko said tragic experience is a basic source of art, Sebastiao Salgado represented tragic narrative scene of Africa, Latin America and other abandoned region with christian iconography mood. Salgado trained as an economist, later he changed his career as a photographer after seeing the tragic painful labor worker. While he took a coffee plant workers photo as an economist, his passion for photographs became obsession. He represent that the highly industrialized world is approaching to the people over the earth, many people remained as not becoming consumer, only labor worker. The destiny of men and women expect dreams, adapt new world, resist reality and survive through the melancholic pathos. His work is conceived as a path to humanism through the realistic documentary with christian iconography mood. It shows humanity``s rediscovery of itself in nature and changed pain into sublime with his angle. 『Genesis』is back-to-nature project, combining elements of the literary pastoral sublime based on melancholy. Negative melancholic pathos changed despair into optimistic energy of individual life and Society. Salgado``s documentary photography based on Melancholic pathos lead us to the humanism level with christianity. Even though many art critic condemned that glorified aesthetic photo used for personal advantage and fame. But glorified aesthetic picture lead us to the humanism level, that is the photograph``s language way and justice of photo. The individual and society``s negative melancholic pathos make new energy to have a human being``s dign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에른스트 블로흐, "희망의 원리1-5권" 열린책들 2004

      2 박호성, "휴머니즘론-새로운 시대정신을 위하여" 나남출판사 2007

      3 칸 그나나칸, "환경신학" 기독교연합신문사 2005

      4 진동선, "현대사진가론" 태학원 1998

      5 이경률, "현대 사진미학의 이해" 사진마실 2006

      6 수잔 손탁, "해석에 반대하다" 도서출판 이후 2002

      7 신준형, "파노프스키와 뒤러" 사회평론 2013

      8 타타르키비츠, "타타르키비츠 미학사3" 미술문화 2014

      9 수잔 손탁, "타인의 고통" 도서출판 이후 2005

      10 김종두,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사상과 현대인의 자아이해" 새물결플러스 2014

      1 에른스트 블로흐, "희망의 원리1-5권" 열린책들 2004

      2 박호성, "휴머니즘론-새로운 시대정신을 위하여" 나남출판사 2007

      3 칸 그나나칸, "환경신학" 기독교연합신문사 2005

      4 진동선, "현대사진가론" 태학원 1998

      5 이경률, "현대 사진미학의 이해" 사진마실 2006

      6 수잔 손탁, "해석에 반대하다" 도서출판 이후 2002

      7 신준형, "파노프스키와 뒤러" 사회평론 2013

      8 타타르키비츠, "타타르키비츠 미학사3" 미술문화 2014

      9 수잔 손탁, "타인의 고통" 도서출판 이후 2005

      10 김종두,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사상과 현대인의 자아이해" 새물결플러스 2014

      11 이경률, "철학으로 읽어보는 사진예술" 사진마실 2005

      12 존 몰리뉴,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책갈피 2013

      13 쇠렌 키르케고르, "주체적으로 되는 것"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8

      14 에리히 프롬, "인간에 대한 믿음" 자작나무 1994

      15 수잔 손탁, "우울한 열정" 도서출판 이후 2005

      16 안톤 에렌츠바이크, "예술창조의 심리학" 창지사 2002

      17 안진태, "엘리아데 신화 종교"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18 장 폴 사르트르,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문예출판사 1981

      19 토마스 베리, "신생대를 넘어 생태대로" 에코조익 2006

      20 여문주, "살가도 사진에 대한 프랑스 저널리즘의 비판적 수용과 포토저널리즘의 키치화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프랑스학회 84 : 363-388, 2013

      21 "사진출처"

      22 이경률, "사진적 행위" 사진마실 2005

      23 수잔 손탁, "사진에 관하여" 도서출판 이후 2005

      24 백승균, "사진 철학을 만나다" 북길드 2014

      25 진동선, "사진 기호학" 푸른세상 2015

      26 김동규, "미학적 힘: 미학적 인간학의 근본개념" 그린비 2013

      27 미학대계간행회, "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7

      28 김동규, "멜랑콜리아-서양문화의 근원적 파토스" 문학동네 2014

      29 Jacob Baal-Teschuva, "마크 로스코" 미로니에북스 2006

      30 John Bellamy Foster, "마르크스의 생태학" 인간사랑 2010

      31 게오르크루카치, "루카치미학 3권" 미술문화 2002

      32 게오르크루카치, "루카치미학 2권" 미술문화 2000

      33 게오르크루카치, "루카치미학 1권" 미술문화 2000

      34 에케하르트 캐멀링,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사계절 1997

      35 Erwin Panofsky, "도상 해석학 연구" 시공사 2002

      36 요세프 슈페크, "근대 독일철학" 서광사 1986

      37 김경식, "게오르크 루카치" 한울아카데미 2000

      38 "https://www.david-campbell.org/wp-content/documents/Salgado_and_Sahel.pdf"

      39 "http://www.ted.com/talks/sebastiao_salgado_the_silent_drama_of_photography"

      40 "http://www.rsc.ox.ac.uk/files/publications/working-paper-series/wp5-refugees-on-screen-2000.pdf"

      41 "http://www.institutoterra.org/eng/"

      42 "http://www.amazonasimages.com/doc/contenu/GENESIS/article/Parker_Salgado.pdf"

      43 "http://www.amazonasimages.co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예술과 미디어학회 -> 예술과미디어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 예술과 미디어학회
      영문명 : Council for Advanced Media & Moving pictures ->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31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