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성곽마을만들기 연구 : 서울 행촌동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58779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11.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인천

      • 기타서명

        A Study on Community Planning Strategies of Seoul City-Wall Village Using Cultural Assets : A case of HaengChon-Dong , Seoul City

      • 형태사항

        vi, 90 p.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김경배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86-90

      • 소장기관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2년 4월 서울성곽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장점목록으로 결정되었다. 이를 등재하기 위해서는 문화재 자체뿐만 아니라 그 주변지역과의 깊은 이해와 관리를 요구하고 있어, 성곽과 더불어 주변지역에 조성된 성곽마을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성곽마을은 성곽과 더불어 지역문화자산이 풍부하다. 따라서 성곽마을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지기전 지역문화자산의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성곽마을만들기를 위한 계획요소와 원칙의 제시하였다. 이 후 대표적인 성곽마을 중 하나로 뽑히고 있는 서울시 행촌동 성곽마을을 대상으로 지역문화자산의 현황 및 실태분석을 실시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연구의 진행과정은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마을만들기와 서울시 성곽마을만들기의 개념, 요소, 유형을 정리하였다. 둘째, 선진사례의 분석을 통해 각 계획요소별 시사점을 도출하고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성곽마을만들기 계획원칙을 도출하였다. 셋째, 서울시 행촌동 성곽마을을 사례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문헌조사, 관찰, 인터뷰의 방법론을 통해 지역문화자산의 현황 및 실태분석을 실시하고, 발전방향을 디자인 실험과 함께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성곽마을만들기 계획요소로는 건축물, 외부공간, 사람의 3가지가 도출되었다. 건축물은 보존을 전제가 된 활용이 이루어져야하며, 외부공간은 주민 커뮤니티형성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마을길을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되어진다. 이때, 사람은 주민주도를 바탕으로 전문가, 공무원의 역할분담을 통한 네트워크가 함께 진행되어야 지속가능하고 균형있는 마을만들기가 이루어진다. 행촌동 성곽마을은 이 모든 부분에서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어졌으며, 이를 계획 원칙에 기반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함에 따라 향후 성곽마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2012년 4월 서울성곽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장점목록으로 결정되었다. 이를 등재하기 위해서는 문화재 자체뿐만 아니라 그 주변지역과의 깊은 이해와 관리를 요구하고 있어, 성곽과 더...

      2012년 4월 서울성곽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장점목록으로 결정되었다. 이를 등재하기 위해서는 문화재 자체뿐만 아니라 그 주변지역과의 깊은 이해와 관리를 요구하고 있어, 성곽과 더불어 주변지역에 조성된 성곽마을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성곽마을은 성곽과 더불어 지역문화자산이 풍부하다. 따라서 성곽마을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지기전 지역문화자산의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성곽마을만들기를 위한 계획요소와 원칙의 제시하였다. 이 후 대표적인 성곽마을 중 하나로 뽑히고 있는 서울시 행촌동 성곽마을을 대상으로 지역문화자산의 현황 및 실태분석을 실시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연구의 진행과정은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마을만들기와 서울시 성곽마을만들기의 개념, 요소, 유형을 정리하였다. 둘째, 선진사례의 분석을 통해 각 계획요소별 시사점을 도출하고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성곽마을만들기 계획원칙을 도출하였다. 셋째, 서울시 행촌동 성곽마을을 사례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문헌조사, 관찰, 인터뷰의 방법론을 통해 지역문화자산의 현황 및 실태분석을 실시하고, 발전방향을 디자인 실험과 함께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성곽마을만들기 계획요소로는 건축물, 외부공간, 사람의 3가지가 도출되었다. 건축물은 보존을 전제가 된 활용이 이루어져야하며, 외부공간은 주민 커뮤니티형성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마을길을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되어진다. 이때, 사람은 주민주도를 바탕으로 전문가, 공무원의 역할분담을 통한 네트워크가 함께 진행되어야 지속가능하고 균형있는 마을만들기가 이루어진다. 행촌동 성곽마을은 이 모든 부분에서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어졌으며, 이를 계획 원칙에 기반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함에 따라 향후 성곽마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 1.3 연구의 흐름도 3
      • 제2장 이론적 고찰 4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 1.3 연구의 흐름도 3
      • 제2장 이론적 고찰 4
      • 2.1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4
      • 2.1.1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개념정의 4
      • 2.1.2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유형 및 최근동향 12
      • 2.2 서울시 성곽마을만들기 22
      • 2.2.1 서울시 성곽마을만들기 개념정의 22
      • 2.2.2 서울시 성곽마을만들기 유형 및 최근동향 24
      • 2.3 선행연구 고찰 29
      • 제3장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성곽마을만들기 계획요소 및 원칙 고찰 34
      • 3.1. 개요 34
      • 3.2. 건축물 36
      • 3.3. 외부공간 40
      • 3.4. 사람 45
      • 3.5.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성곽마을 만들기 계획요소 및 원칙 50
      • 제4장 사례연구 : 서울시 행촌동 성곽마을 52
      • 4.1. 대상지 개요 52
      • 4.2. 서울시 행촌동 성곽마을만들기 실태분석 55
      • 4.3. 서울시 행촌동 성곽마을만들기 발전방향 68
      • 4.4. 서울시 행촌동 성곽마을만들기 마스터플랜 83
      • 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84
      • 참고문헌 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