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악치료 윤리 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 = Scoping Review of Music Therapy Ethics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465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외 음악치료 윤리 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 연구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 향후 후속 연구의 방향성과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문헌에서 음악치료, 음악중재, 윤리 등을 핵심어로 9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검색하였고 최종 25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치료사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윤리적 경험을 다룬 연구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국외에서는 질적 연구의 비중이 높은 반면, 국내에서는 조사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주제분석에서 개인, 교육, 역량, 연구의 4개 변인으로 분석한 결과, 중재를 제공하는 치료사에 초점을 맞추어 윤리적 상황을 설명하고 있었으며, 연구 윤리를 주제로 한 문헌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 분야에서 윤리적 문제를 다룬 기존 문헌들을 분류하고, 주요 윤리적 쟁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외 음악치료 윤리 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 연구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 향후 후속 연구의 방향성과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0년부터 ...

      본 연구는 국내·외 음악치료 윤리 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 연구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 향후 후속 연구의 방향성과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문헌에서 음악치료, 음악중재, 윤리 등을 핵심어로 9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검색하였고 최종 25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치료사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윤리적 경험을 다룬 연구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국외에서는 질적 연구의 비중이 높은 반면, 국내에서는 조사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주제분석에서 개인, 교육, 역량, 연구의 4개 변인으로 분석한 결과, 중재를 제공하는 치료사에 초점을 맞추어 윤리적 상황을 설명하고 있었으며, 연구 윤리를 주제로 한 문헌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 분야에서 윤리적 문제를 다룬 기존 문헌들을 분류하고, 주요 윤리적 쟁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scope of music therapy ethics research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with the goal of deriv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the field.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4 was searched using keywords such as music therapy, music intervention, and ethics across 9 databases, resulting in the final selection of 25 stud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 substantial proportion of research focused on music therapists and their ethical experiences. In terms of methodology, qualitative research predominated in international studies, while survey research was more common in domestic studies. A thematic analysis categorized the literature into 4 variables: individual, education, competency, and research, which showed that most studies concentrated on ethical situations faced by therapists providing interventions, with relatively few addressing research ethics. This study could be considered meaningful as it classified existing literature on ethical issues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and presented key ethical concerns along wit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scope of music therapy ethics research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with the goal of deriv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the field. Literatu...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scope of music therapy ethics research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with the goal of deriv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the field.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4 was searched using keywords such as music therapy, music intervention, and ethics across 9 databases, resulting in the final selection of 25 stud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 substantial proportion of research focused on music therapists and their ethical experiences. In terms of methodology, qualitative research predominated in international studies, while survey research was more common in domestic studies. A thematic analysis categorized the literature into 4 variables: individual, education, competency, and research, which showed that most studies concentrated on ethical situations faced by therapists providing interventions, with relatively few addressing research ethics. This study could be considered meaningful as it classified existing literature on ethical issues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and presented key ethical concerns along wit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