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주 교방 ‘신라십무(新羅十舞)’의 성격과 형태연구 - 『동경유록(東京遊錄)』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Gyeongjugyobang 'Shilla Shipmu' : Focused on ‘Donggyeongyur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05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경유록』(東京遊錄)에 기록된 ‘신라십무’(新羅十舞)를 살핀 후, 이의 형태와 성격 규명을 집중하여 논의했다. 본 연구자는 이 기록이 협소한 관계로 궁중 홀기, 의궤류와 지...

      본 연구는 『동경유록』(東京遊錄)에 기록된 ‘신라십무’(新羅十舞)를 살핀 후, 이의 형태와 성격 규명을 집중하여 논의했다. 본 연구자는 이 기록이 협소한 관계로 궁중 홀기, 의궤류와 지방 읍지류, 관찬 사료 등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경주 교방에서 추어진 ‘신라십무’의 연행양상을 분석하였으며 변별적 특징을 밝혔다. 그 결과 첫째, 경주 교방은 당악과 향악 정재가 고루 섞여 다양한 종목으로 추어졌다. 둘째, 궁중과 지방 춤들간에 수용과 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서로 다른 양상으로 추어졌다. 즉 <초무>, <아박>, <향발>, <포구락>은 춤의 내용과 형태, 의물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무동>은 춤의 명칭으로서 남성적 이미지로 추어졌다. 셋째, <정자>, <반도>, <주무>는 경주에서 불리는 지역적 명칭이었다. 이들은 각각 궁중의 <무고>, <헌선도>, <선유락>이라 볼 수 있다. 넷째, <처용>과 <황창무>는 신라의 전형이 담긴 춤이었다. 다섯째, <학무>는 경주 교방에서 새롭게 생겼으며 유일하게 남자가 추는 춤이다. 이처럼 ‘신라십무’는 각기 다른 면모를 보였으며 끊임없이 변용의 과정을 겪었다. 『동경유록』에서 박종은 조선 후기 경주 관아의 춤 공연 양상을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이 자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신라십무’의 성격과 형태를 밝히는 것 역시 민속학적 연구로써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또한 신라 춤을 복원 및 재현함에 있어 18세기 공연문화에 대한 귀한 자료로 쓰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Shilla shipmu’ recorded in Donggyeongyurok, and additionally, examine such historical materials as Court Holgi, Uigwe, Local Eupji. Based on this, the performance patterns of‘Silla Shipmu’were analyzed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Shilla shipmu’ recorded in Donggyeongyurok, and additionally, examine such historical materials as Court Holgi, Uigwe, Local Eupji. Based on this, the performance patterns of‘Silla Shipmu’were analyzed and their distinctive features were revealed. As a result, First Dang-ak and Hyang-ak Jeongjae were mixed and danced. Second, It was performed in different ways as i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change. In other words, < Chomu >, < Abak >, < Hyangbal >, and < Pogurak > had differences in the content, form, and dancing tools of the dance. And < Mudong > was performed with a masculine image as the name of the dance. Third, < Jeongja >, < Bando > and < Jumu > were the names of the regions in Gyeongju, corresponding each to < Mugo >, < Heonseondo >, < Seonyurak > at court. Fourth, < Cheoyong > and < Hwangchangmu > were typical dances of Silla. Fifth, < Hakmu > is a new dance in Gyeongju, and is the only dance performed by men. ‘Donggyeongyurok' is an important historical document that can reveal the aspects of the dance performance of Gyeong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also very meaningful as a folklore study to elucidate the nature and form of ‘Silla Shipmu’.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