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배움의 발견 - 형식교육 경험이 없는 노인(J)의 생애사 연구 - = A Journey to The Erudition - A Life History Approach to An Elderly Woman J Who Has No Formal Education Experienc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7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J는 그에게 주어진 시대를 어떻게 살아왔을까? 그 삶의 무엇이 지금의 J를 있게 하였을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J의 실제로 산 삶, 경험된 ...

      이 연구에서는 ‘J는 그에게 주어진 시대를 어떻게 살아왔을까? 그 삶의 무엇이 지금의 J를 있게 하였을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J의 실제로 산 삶, 경험된 삶, 이야기된 삶’으로 전개하면서 생애사적으로 접근하여 진행하였다. J는 여성이며 시골에서 일제강점기와 전쟁을 경험하며 자랐고, 어릴 적 아버지를 여의고 큰아버지 댁과 새아버지 댁에서 생활하면서, 정규교육과정을 경험하지 못하였다. J는 학교에 가기를 소망했고(배움에 대한 갈망), 시골을 떠나 새로운 삶을 열망했으며, 주체적 삶을 살아가기를 원했다. J는 이러한 상반된 상황들 속에서, 구조적 제약과 자발적 선택 사이에서 끊임없이 경합하는 삶을 살아왔다. ‘남편과의 사별’이라는 전환기점에서, J는 결국 과거 끊임없이 경합하는 삶의 경험을 통합하여 새로운 결심을 하게 되고, 전환학습 과정을 개입시켜 자아를 실현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이끌어 간다. 이러한 결과로 J는, 시골을 떠나 도회지에서의 새로운 삶을 살아가며 배움을 발견하여 행복하고 평안한 삶을 살아간다. 이처럼, J의 삶에서 정체감을 형성하고 개발하고 통합해가는 정체성프로세스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남편의 죽음이라는 혼란스런 딜레마를 겪는 과정에서 과거의 경험들에 대한 반성 및 성찰, 담론을 통한 공유와 탐색, 계획과 준비, 시도를 하면서 자기혁신을 통하여 자신의 발전을 꾀하고, 새롭게 형성된 관점으로 재통합하는 전환학습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환학습 과정은 결국 정체성에 커다란 전환을 가져오며, 그 전환은 삶에 스며들어 정체성의 발전을 꾀하게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w has J lived in the time given to her? What caused J to exist as she is today?” Starting with this questio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answers was carried out via a life-history approach, developing the process of “J s life as lived, ...

      “How has J lived in the time given to her? What caused J to exist as she is today?” Starting with this questio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answers was carried out via a life-history approach, developing the process of “J s life as lived, as experienced, and as told.” J grew up in the countryside and lived with her uncle and stepfather after losing her father. She experienced a war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had never experienced any formal education. J wanted to go to school (a thirst for learning). She also wanted to leave the countryside, start a new life, and be independent. J has lived a life of constant contention between structural constraints and voluntary choice amid these conflicting circumstances. At the turning point of “her husbands death”, J eventually made new resolutions by integrating the experience of life in the past, which led to the process of realizing and integrating herself through th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As a result, J left the countryside and now leads a happy and peaceful life while discovering learning. J’s sense of identity was discovered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developing, and integrating her past experiences while facing her husband s death, and it leads to accomplishing self-reinvention from newly formed perspectives while reflecting on past experiences, sharing and exploring through discour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이야기를 시작하며 Ⅱ. 3차원 세계에서 J 찾기 Ⅲ. J의 삶, 말뚝에 묶인 코끼리 Ⅳ. 결론 및 논의
      • Ⅰ. 이야기를 시작하며 Ⅱ. 3차원 세계에서 J 찾기 Ⅲ. J의 삶, 말뚝에 묶인 코끼리 Ⅳ. 결론 및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희, "평생교육으로서의 연구방법론: 생애사 분석법" 한국성인교육학회 6 (6): 29-57, 2003

      2 김영숙, "탈성매매여성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 - 근거이론 방법 접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429-455, 2008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 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4 장휘숙, "전생애 발달심리학" 박영사 2018

      5 Merriam, S. B, "성인학습 이론과 실천" 아카데미프레스 2016

      6 한준상, "생의 가" 학지사 2009

      7 이동성, "생애사 연구" 아카데미프레스 2015

      8 이지은, "비서의 경력전환 경험을 통한 전환학습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비서학회 29 (29): 61-101, 2020

      9 염지숙,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2

      10 김진한, "「학습학」과 「生의 痂」에 나타난 학습과 배움의 비교 탐색" 한국성인교육학회 15 (15): 171-190, 2012

      1 박성희, "평생교육으로서의 연구방법론: 생애사 분석법" 한국성인교육학회 6 (6): 29-57, 2003

      2 김영숙, "탈성매매여성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 - 근거이론 방법 접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429-455, 2008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 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4 장휘숙, "전생애 발달심리학" 박영사 2018

      5 Merriam, S. B, "성인학습 이론과 실천" 아카데미프레스 2016

      6 한준상, "생의 가" 학지사 2009

      7 이동성, "생애사 연구" 아카데미프레스 2015

      8 이지은, "비서의 경력전환 경험을 통한 전환학습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비서학회 29 (29): 61-101, 2020

      9 염지숙,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2

      10 김진한, "「학습학」과 「生의 痂」에 나타난 학습과 배움의 비교 탐색" 한국성인교육학회 15 (15): 171-190, 2012

      11 Alheit, P, "lifelong learning and its impact on social and Resional Development" Donat Verlag 31-41, 1998

      12 Meziro, J, "Transformative dimensions of adult learning" Jossey-Bass 1991

      13 Bridges, W, "The way of trans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14 Kroger, J, "The Oxford Handbook of Reciprocal Adult Development and Learning" 173-185, 2011

      15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aserch" Jossey-Bass publishers 2000

      16 Rossiter, M, "Narrative and the practice of adult education" Krieger

      17 김동기, "Marcia의 청소년 자아정체성 발달 모형에 따른 가톨릭 청년의 종교적 자아정체성과 종교성 관계 연구" 한국종교교육학회 37 : 89-109, 2011

      18 Cole, A. L, "Lives in context : The art of life history research" AltaMira Press 2001

      19 Bruner, J, "Life as Narrative"

      20 Mezirow, J, "Learning as Transformation. Critical perspectives ona theory in progress" Jossey-Bass 3-33, 2000

      21 Erikson, E. H, "Identity : Youth and crisis" Norton 1968

      22 Merriam, S. B, "How adult life transitions foster learning and development" 108 : 3-13, 2005

      23 Guba, E. G,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Jossey-Bass 1981

      24 Marcia, J. 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identity status" 3 : 551-558, 1966

      25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26 Newman, M, "Calling transformative learning into question: Some mutinous thoughts" 62 (62): 36-55, 2012

      27 Whitbourne, S. K, "Adult development and aging: Biopsychosocial perspectives" John Wiley & Sons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6 1.5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4 1.97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