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성의 시설배치특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sposit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Elements in Traditional Korean Vill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42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elements disposition in traditional villages by space syntax.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compar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Integration and Connectiv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elements disposition in traditional villages by space syntax.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compar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Integration and Connectivity coefficient, it shows that the whole villages almost indicated the lower Intelligibility when strangers visited these places and those villages were formed as the structure for protecting inhabitants.The facility pattern shows that the residence used by socially higher class and the public facility were distributed in the higher Integration and Connectivity, and those facilities were formed in the places where access and passage were rather easier in terms of the whole space of a village. For that reason, the inhabitants could easily identify strangers and naturally made contact with them, keeping watch on them. This means that the social significance as a facility could be reflected on the spatial hierarchy. Today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ancient residence used by higher class are replaced in its function with a social gathering place as a modern public facility. And also its meaning is preserved in its role as an important social facility. However the Confucian facility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integrated space in the village, or is placed in the segregated space, which means the Confucian facility is distributed widely and that doesn't indicate a special pattern on the grap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민속종합 조사보고서 주생활편" 문화재관리국 1985.

      2 "하회마을 조사보고서" 경상북도 1979.

      3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내재적 질서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1992.

      4 "전통취락 공간구성의 공간통사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 41-49, 2005.10.

      5 "전통주거의 계획계념 및 설계요소에 관한 연구Ⅱ 사례연구" 대한주택공사 1997.12

      6 "전통마을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505-509, 2002.10.

      7 "전통마을과 아파트단지의 공간구조 비교연구" 281-289, 2005.11.

      8 "양동마을 조사보고서" 경상북도 1979.

      9 "아산외암마을 보존방안 학술조사 연구보고서" 아산군 1990.

      10 "봉화군 해저마을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17-20, 1996.10.

      1 "한국민속종합 조사보고서 주생활편" 문화재관리국 1985.

      2 "하회마을 조사보고서" 경상북도 1979.

      3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내재적 질서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1992.

      4 "전통취락 공간구성의 공간통사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 41-49, 2005.10.

      5 "전통주거의 계획계념 및 설계요소에 관한 연구Ⅱ 사례연구" 대한주택공사 1997.12

      6 "전통마을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505-509, 2002.10.

      7 "전통마을과 아파트단지의 공간구조 비교연구" 281-289, 2005.11.

      8 "양동마을 조사보고서" 경상북도 1979.

      9 "아산외암마을 보존방안 학술조사 연구보고서" 아산군 1990.

      10 "봉화군 해저마을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17-20, 1996.10.

      11 "묘동 전통취락 실측조사연구" 울산공대 1987.

      12 "농촌주거환경 조사 연구보고서" 1989.

      13 "농촌동족마을 공간구조의 특성과 변화연구" 1991.

      14 "남사 전통취락 실측조사연구" 울산공대 1983.

      15 "길의 구조로 본 한국전통마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39-48, 2005.7.

      16 "공간구문모델에 의한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조분석" 33-43, 2000.1.

      17 "고성왕곡마을 보존방안 학술조사 연구보고서" 1991.

      18 "경북금릉 농촌주거 실측조사보고서" 무애건축연구실 1988.

      19 "The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0 "The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1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22 "7개 키워드로 읽는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