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선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83-310, 2016
2 Schwab, K.,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산업혁명" 메가스터디 2016
3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 4.0: 4차산업혁명과 콘텐츠의 미래"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4 김평수,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5 지은림,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69-94, 2012
6 강정찬,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276-305, 2015
7 차두원, "잡 킬러 : 4차 산업혁명, 로봇과 인공지능이 바꾸는 일자리의 미래" 한스미디어 2016
8 변양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산업 빅뱅 방안: 정책연구보고서" 한국경제연구원 2013
9 장미영, "인공지능시대의 창의적 사고와 소통" 글누림 2020
10 고찬수, "인공지능 콘텐츠 혁명" 한빛미디어 2018
1 정선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83-310, 2016
2 Schwab, K.,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산업혁명" 메가스터디 2016
3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 4.0: 4차산업혁명과 콘텐츠의 미래"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4 김평수,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5 지은림,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69-94, 2012
6 강정찬,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276-305, 2015
7 차두원, "잡 킬러 : 4차 산업혁명, 로봇과 인공지능이 바꾸는 일자리의 미래" 한스미디어 2016
8 변양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산업 빅뱅 방안: 정책연구보고서" 한국경제연구원 2013
9 장미영, "인공지능시대의 창의적 사고와 소통" 글누림 2020
10 고찬수, "인공지능 콘텐츠 혁명" 한빛미디어 2018
11 비피기술거래, "인공지능 기술과 콘텐츠 전쟁의 현주소" 비피기술거래 2018
12 김혜영,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38, 2013
13 손동현,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2009
14 박선영, "예술전공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인식 및 전공별 차이" 숭실대학교 2017
15 홍종선, "영재통합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7 (7): 39-73, 2008
16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전략보고서: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미래창조과학부 2017
17 최연구,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출판사 2006
18 김정연, "대학생 창의융합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숭실대학교 2016
19 이애화, "국내 대학생 핵심역량과 그 진단도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0 (30): 561-588, 2014
20 박병기, "교양강좌를 이용한 대학생 창의성교육의 효과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69-81, 2004
21 Guilford, J. P., "Some misconceptions regarding measurement of creative talents" 5 (5): 1971
22 조헌국,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53-89,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