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丁若鏞, "論語古今註 1-5" 사암출판사 2010
2 이장희, "향원(鄕原)은 왜 덕(德)의 적(賊)인가?"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4) : 79-102, 2012
3 Matteo Ricci, "천주실의" 서울대출판부 1999
4 김호, "조선후기 ‘위핍률(威逼律)’의 적용과 다산 정약용의 대민관(對民觀)" 한국역사연구회 (87) : 541-575, 2013
5 심희기, "조선시대 지배층의 재판규범과 관습 - 흠흠신서와 목민심서를 소재로 한 검증 -" 법조협회 61 (61): 5-36, 2012
6 김호, "조선 후기 강상綱常의 강조와 다산 정약용의 정情•리理•법法 『흠흠신서欽欽新書』에 나타난 법과 도덕의 긴장"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 : 7-39, 2012
7 김호, "정약용, 조선의 정의를 말하다" 책문 2014
8 이봉규, "인륜 : 쟁탈성 해소를 위한 유교적 구성" 태동고전연구소 31 : 109-153, 2013
9 데이비드 S. 니비슨, "유학의 갈림길" 철학과 현실사 2006
10 필립 J. 아이반호우, "유학, 우리 삶의 철학" 동아시아 2008
1 丁若鏞, "論語古今註 1-5" 사암출판사 2010
2 이장희, "향원(鄕原)은 왜 덕(德)의 적(賊)인가?"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4) : 79-102, 2012
3 Matteo Ricci, "천주실의" 서울대출판부 1999
4 김호, "조선후기 ‘위핍률(威逼律)’의 적용과 다산 정약용의 대민관(對民觀)" 한국역사연구회 (87) : 541-575, 2013
5 심희기, "조선시대 지배층의 재판규범과 관습 - 흠흠신서와 목민심서를 소재로 한 검증 -" 법조협회 61 (61): 5-36, 2012
6 김호, "조선 후기 강상綱常의 강조와 다산 정약용의 정情•리理•법法 『흠흠신서欽欽新書』에 나타난 법과 도덕의 긴장"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 : 7-39, 2012
7 김호, "정약용, 조선의 정의를 말하다" 책문 2014
8 이봉규, "인륜 : 쟁탈성 해소를 위한 유교적 구성" 태동고전연구소 31 : 109-153, 2013
9 데이비드 S. 니비슨, "유학의 갈림길" 철학과 현실사 2006
10 필립 J. 아이반호우, "유학, 우리 삶의 철학" 동아시아 2008
11 필립 J. 아이반호우, "유교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12 丁若鏞, "역주 詩經講義, 1-5" 사암출판사 2008
13 丁若鏞, "역주 茶山孟子要義" 현대실학사 1994
14 丁若鏞, "역주 牧民心書 1-6" 창작과비평사 1981
15 丁若鏞, "역주 欽欽新書 1-3" 현대실학사 1999
16 丁若鏞, "역주 梅氏書平" 문학과지성사 2002
17 이장희, "선진유가와 덕 윤리" 퇴계학연구원 (136) : 207-243, 2014
18 도성달, "서양 윤리학에서 본 유학"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19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 "덕의 상실" 문예출판사 1997
20 마이클 슬롯, "덕의 부활" 철학과현실사 2002
21 황경식, "덕윤리의 현대적 의의" 아카넷 2013
22 노영란, "덕윤리의 비판적 조명" 철학과현실사 2009
23 장동익, "덕 윤리적 관점과 유교 윤리 -『논어』와『맹자』를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6) : 171-189, 2012
24 丁若鏞, "다산 정약용의 四禮家式" 사람의무늬 2015
25 유권종, "다산 정약용의 『祭禮考定』 연구" 공자학회 8 : 2001
26 이봉규, "다산 정약용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사람의무늬 2012
27 박종천, "다산 예론(禮論)의 실천적 함의" 한국실학학회 (13) : 39-76, 2007
28 Aristototeles, "니코마코스 윤리학" 도서출판 길 2014
29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다산시문집" 솔 출판사 1996
30 장동우, "고례(古禮) 중심의 예교(禮敎) 사상과 그 경학적 토대에 대한 고찰 -다산의 상의절요(喪儀節要)와 주자가례(朱子家禮)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13) : 77-131, 2007
31 장동우, "茶山 禮學의 性格과 哲學的 含意: 禮訟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11 : 1998
32 장동우, "茶山 禮學에서 ‘親’과 ‘尊’의 問題- 議親과 王位繼承에 관련된 두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 퇴계학연구원 112 : 163-194, 2002
33 劉權鐘, "茶山 禮學 硏究 : 喪儀說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1
34 정일균, "茶山 丁若鏞의 經學과 ‘荀子’의 思想 간의 관계에 대한 一考" 퇴계학연구원 (137) : 231-288, 2015
35 丁若鏞, "經世遺表 1-4" 1989
36 朱熹, "朱子語類 전8권" 中華書局 1983
37 "定本與猶堂全書(新朝鮮社本)" 다산학술문화재단, 사암출판사 2013
38 朱熹, "四書章句集註" 中華書局 1983
39 이봉규, "喪禮 爭點을 통해 본 『國朝喪禮補編』의 志向」 - 「古今喪禮異同議」와 『國朝喪禮補編』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동양철학회 (36) : 87-114, 2011
40 "『論語』, 『孟子』, 『荀子』, 『荀子集解』" 富山房 1972
41 김호, "『欽欽新書』의 一考察 - 茶山의 過誤殺 해석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54) : 233-267, 2010
42 박종천, "『國朝典禮考』에 나타난 茶山 丁若鏞의 禮論" 한국사상사학회 16 : 117-158, 2001
43 전성건, "[사례가식四禮家式]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9) : 55-84, 2011
44 Roger Crisp, "Virtue Ethics, Readings in Philosophy Series" Oxford Univ. Press 2013
45 Bryan W. Van Norden, "Virtue Ethics and Consequentialism in Early Chinese Philosophy, Introduction" Cambridge Univ. Press 2007
46 Stephen C. Angle, "Virtue Ethics and Confucianism" Routledge Press 2013
47 Danial Stateman, "Virtue Ethics" Georgetown Univ. Press 1997
48 David S. Nivison, "The Ways of Confucianism:Investigations in Chinese Philosophy" Open Court 1996
49 Jiyuan Yu, "The Ethics of Confucius and Aristotle: Mirrors of Virtue" Routledge 2007
50 May Sim, "Remastering Morals with Aristotle and Confucius" Cambridge Univ. Press 2007
51 Antonio S. Cua, "Moral vision and Tradition, Essays in Chinese Ethics" The Catholic univ. of America Press 1988
52 W. D. Ross, "Ethica Nichomachea" Clarendon Aristotle Series 1984
53 심희기, "18세기 형사사법제도 개혁" 서울대 규장각한국문화연구소 20 : 1997
54 이봉규, "17세기 禮訟에 대한 丁若鏞의 哲學的 分析: 『正體傳重辨』을 중심으로" 2 : 1996
55 김형중, "'덕', 함양과 행위 지침 : 공·맹·순의 윤리 이론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