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아프리카 경제성장률은 2006년 5.5%, 2007년 6.2%를 기록했 으며, 국제통화 기금(IMF)에 따르면 2008년에도 6% 이상의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인 다. 2007년도 아 프리카 지역 외국인직접투자(FD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49469
2009
Korean
326.2
KCI등재
학술저널
109-126(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의 아프리카 경제성장률은 2006년 5.5%, 2007년 6.2%를 기록했 으며, 국제통화 기금(IMF)에 따르면 2008년에도 6% 이상의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인 다. 2007년도 아 프리카 지역 외국인직접투자(FDI...
최근의 아프리카 경제성장률은 2006년 5.5%, 2007년 6.2%를 기록했 으며, 국제통화 기금(IMF)에 따르면 2008년에도 6% 이상의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인 다. 2007년도 아 프리카 지역 외국인직접투자(FDI) 순유입액은 2년 전의 2배에 달하는 530억 달러로 역 대 최고를 기록하였다. 특히 FDI 투자 지역이 과거에는 전통적 산유국 인 북아프리카 지역 일변도였다면 지금은 흑아프리카 제국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 다. 치열한 글로벌 자 원전쟁이 진행되고 있는 아프리카에서 중국, 인도, 러시아 등을 비롯 한 신흥국가들과 미 국, 일본 등 선진국들이 자원을 놓고 19세기 유럽 식민주의자들처럼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다. 이중에서 특히 중국은 아프리카에서 석유 등 원자재를 약탈 하 고, 값싼 중국제품을 들여와 아프리카 산업 기반을 약화시킨다는 현지뿐만 아니라 경쟁국 들의 비난을 사고 있 다. 그러나 중국은 내정불간섭의 원칙에서 독재, 인권 탄압, 부패를 크게 문제 삼지 않는 이른바 베이징 컨센서스(Beijing consensus)란 전략을 펴고 있다. 이 에 비해 한국의 아 프리카에 대한 관심은 아직도 단발적이고 단기적이란 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국의 아프리 카 진출 전략은 틈새전략으로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코리아 브랜드 구 축을 위해서 경제개 발 경험공유와 자원개발수입을 연계시키는 패키지 딜 형(package deal model)을 추구 하고 있다. 한국도 이제 중국의 베이징 컨센서스와 아프리카에서의 반중감정을 타산지석 으로 아프리카와의 협력전략을 위한 서울 컨센서스를 구축하여야 한 다.
목차 (Table of Contents)
환변동보험 및 장외통화옵션(KIKO)의 비교와 중소기업 보호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