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종업원의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이 조직유효성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Employee's Perceived Usefulness of Work-Family Benefii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219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importance of employee's perceived usefulness of work-family benefits that encourag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

      This study aims to reveal importance of employee's perceived usefulness of work-family benefits that encourag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loyee's perception for Family-friendly working condi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uthermore, employee's perception for childcare assistance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re is on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or's social support in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ived usefulness of work-family benefit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e is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for childcare assistance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Third, there are three moderating effects of Coworker's social support in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ived usefulness of work-family benefit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e is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for Family-friendly working condi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other is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for Family-friendly working condi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other is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for childcare assistance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Fourth, there are thre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ocial support in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ived usefulness of work-family benefit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e is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for Family-friendly working condi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other is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for childcare assistance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other is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for childcare assistance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Finally, this study collects data from some employees in Seoul, Korea. Although this study has enough size of sample, it needs to survey in more variety relig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가족친화제도 유용성에 대한 종업원의 지각이 조직유효성인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 지원인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가족친화제도 유용성에 대한 종업원의 지각이 조직유효성인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 지원인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조직차원의 지원에 따라 어떠한 차이의 조절효과가 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헌적 고찰을 통해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의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한 실증연구인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및 조절효과를 분석․검토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 중 가족친화적 근무여건 지각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 중 육아보조지원 지각은 직무만족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 중 육아보조지원 지각과 조직유효성 중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중 상사의 지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 중 가족친화적 근무여건 지각과 조직유효성 중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중 동료의 지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 중 육아보조지원 지각과 조직유효성 중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중 동료의 지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 중 가족친화적 근무여건 지각과 조직유효성 중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중 조직차원의 지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 중 육아보조지원 지각과 조직유효성 중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중 조직차원의 지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데이터는 서울에서 근무하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역의 데이터를 얻어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 1.2 연구의 방법 및 논문의 구성=4
      • 제2장 이론적 배경=5
      • 2.1 가족친화제도=5
      • 제1장 서론=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 1.2 연구의 방법 및 논문의 구성=4
      • 제2장 이론적 배경=5
      • 2.1 가족친화제도=5
      • 2.1.1 가족친화제도의 개념=5
      • 2.1.2 가족친화제도의 유형=6
      • 2.1.3 가족친화제도의 접근방법=9
      • 2.1.4 가족친화제도에 대한 이론적 관점=11
      • 2.1.5 가족친화제도 관련연구=13
      • 2.2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17
      • 2.2.1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의 개념=17
      • 2.2.2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의 결과변수=20
      • 2.3 사회적 지원=21
      • 2.3.1 사회적 지원의 개념=21
      • 2.3.2 사회적 지원의 원천=24
      • 2.3.3 사회적 지원의 효과=27
      • 제3장 연구모형의 설게 및 연구방법=29
      • 3.1 연구모형의 설계=29
      • 3.2 연구가설의 설정=30
      • 3.2.1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과 조직유효성=30
      • 3.2.2 사회적 지원 중 상사의 지원의 조절효과=30
      • 3.2.3 사회적 지원 중 동료의 지원의 조절효과=31
      • 3.2.4 사회적 지원 중 조직차원의 지원의 조절효과=32
      •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33
      • 3.3.1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지각=33
      • 3.3.2 사회적 지원=33
      • 3.3.3 조직유효성=34
      • 3.4 조사 및 연구방법
      • 3.4.1 설문의 구성=36
      • 3.4.2 통계분석 방법=37
      • 제4장 실증분석=38
      • 4.1 기초통계분석=38
      • 4.1.1 인구통계학적 분석=38
      • 4.1.2 요인분석=41
      • 4.1.3 신뢰성분석=45
      • 4.1.4 상관관계분석=46
      • 4.2 가설검증 및 논의=47
      • 4.2.1 가설 1의 검증=47
      • 4.2.2 가설 2의 검증=48
      • 4.2.3 가설 3의 검증=51
      • 4.2.4 가설 4의 검증=55
      • 4.3 분석결과=59
      • 제5장 결론=62
      • 5.1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62
      • 5.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65
      • 참고문헌=66
      • 설문지=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