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폐동맥 가성동맥류에 대한 혈관내 트롬빈 주입 치료: 증례 보고 = Endovascular Thrombin Injection for a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Case Re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33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ssive hemoptysis caused by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s is uncommon, and endovascular treatment such as coil embolization is the first choice for treating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s. Various embolic agents could be used according to the angiographic findings, yet embolization with thrombin injection is very rare. Herein, we describe a case of a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endovascular thrombin injection using a microcatheter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performing a coil embolization due to a short feeding artery.
      번역하기

      Massive hemoptysis caused by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s is uncommon, and endovascular treatment such as coil embolization is the first choice for treating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s. Various embolic agents could be used according to the an...

      Massive hemoptysis caused by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s is uncommon, and endovascular treatment such as coil embolization is the first choice for treating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s. Various embolic agents could be used according to the angiographic findings, yet embolization with thrombin injection is very rare. Herein, we describe a case of a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endovascular thrombin injection using a microcatheter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performing a coil embolization due to a short feeding arte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량 객혈을 일으킨 환자에서 원인으로 폐동맥 가성동맥류의 빈도는 드물며, 코일 색전술과 같은 경도관 색전술이 일차적인 치료 방법이다. 가성동맥류의 크기 및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다양한 색전 물질을 이용한 폐동맥 가성동맥류 치료의 보고가 있었으나 트롬빈 주입으로 치료한 예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폐동맥 가성동맥류의 치료에 있어서 짧은 영양동맥으로 인해 코일 색전술을 시행하기 어려운 경우 미세카테터를 이용한 혈관내 트롬빈 주입으로 폐동맥 가성동맥류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대량 객혈을 일으킨 환자에서 원인으로 폐동맥 가성동맥류의 빈도는 드물며, 코일 색전술과 같은 경도관 색전술이 일차적인 치료 방법이다. 가성동맥류의 크기 및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다...

      대량 객혈을 일으킨 환자에서 원인으로 폐동맥 가성동맥류의 빈도는 드물며, 코일 색전술과 같은 경도관 색전술이 일차적인 치료 방법이다. 가성동맥류의 크기 및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다양한 색전 물질을 이용한 폐동맥 가성동맥류 치료의 보고가 있었으나 트롬빈 주입으로 치료한 예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폐동맥 가성동맥류의 치료에 있어서 짧은 영양동맥으로 인해 코일 색전술을 시행하기 어려운 경우 미세카테터를 이용한 혈관내 트롬빈 주입으로 폐동맥 가성동맥류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eeling AN, "Rasmussen’s aneurysm: a forgotten entity" 31 : 196-200, 2008

      2 Krueger K, "Postcatheterization pseudoaneurysm: results of US-guided percutaneous thrombin injection in 240 patients" 236 : 1104-1110, 2005

      3 Sbano H, "Peripheral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s and massive hemoptysis" 184 : 1253-1259, 2005

      4 Hovis CL, "Percutaneous thrombin injection of a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refractory to coil embolization" 17 : 1943-1946, 2006

      5 Lee K, "Percutaneous injection therapy for a peripheral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after failed transcatheter coil embolization" SPRINGER 31 (31): 1038-1041, 2008

      6 Schellhammer F, "Minimally invasive therapy of pseudoaneurysms of the trunk: application of thrombin" 31 : 535-541, 2008

      7 Remy J, "Massive hemoptysis of pulmonary arterial origin: diagnosis and treatment" 143 : 963-969, 1984

      8 Dobies DR, "Images in cardiovascular medicine. Repair of a perforated pulmonary artery due to a Swan-Ganz catheter using thrombin injection" 119 : e521-e522, 2009

      9 Vázquez V, "Human thrombin for treatment of pseudoaneurysms: comparison of bovine and human thrombin sonogram-guided injection" 184 : 1665-1671, 2005

      10 Cope C, "Coagulation of aneurysms by direct percutaneous thrombin injection" 147 : 383-387, 1986

      1 Keeling AN, "Rasmussen’s aneurysm: a forgotten entity" 31 : 196-200, 2008

      2 Krueger K, "Postcatheterization pseudoaneurysm: results of US-guided percutaneous thrombin injection in 240 patients" 236 : 1104-1110, 2005

      3 Sbano H, "Peripheral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s and massive hemoptysis" 184 : 1253-1259, 2005

      4 Hovis CL, "Percutaneous thrombin injection of a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refractory to coil embolization" 17 : 1943-1946, 2006

      5 Lee K, "Percutaneous injection therapy for a peripheral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after failed transcatheter coil embolization" SPRINGER 31 (31): 1038-1041, 2008

      6 Schellhammer F, "Minimally invasive therapy of pseudoaneurysms of the trunk: application of thrombin" 31 : 535-541, 2008

      7 Remy J, "Massive hemoptysis of pulmonary arterial origin: diagnosis and treatment" 143 : 963-969, 1984

      8 Dobies DR, "Images in cardiovascular medicine. Repair of a perforated pulmonary artery due to a Swan-Ganz catheter using thrombin injection" 119 : e521-e522, 2009

      9 Vázquez V, "Human thrombin for treatment of pseudoaneurysms: comparison of bovine and human thrombin sonogram-guided injection" 184 : 1665-1671, 2005

      10 Cope C, "Coagulation of aneurysms by direct percutaneous thrombin injection" 147 : 383-387,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1-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JKSR) KCI등재
      2016-11-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 대한영상의학회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6 0.05 0.258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