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 자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부모 인식 분석 = An Analysis of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ognized by their par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48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175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motivation related to activities was the highest among other motivations(goal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in the surve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Second, this survey showed that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the result was on the training personnel. Then the survey appeared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methods, information for users and educational contents. The satisfaction on educational facilities was the lowest for satisfaction. Third, the higher the degree of motivation related to activities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Promotion plans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175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The ...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175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motivation related to activities was the highest among other motivations(goal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in the surve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Second, this survey showed that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the result was on the training personnel. Then the survey appeared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methods, information for users and educational contents. The satisfaction on educational facilities was the lowest for satisfaction. Third, the higher the degree of motivation related to activities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Promotion plans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 부모를 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발달장애인 부모 175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를 조사한 결과 활동지향성 참여 동기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목표지향성 참여 동기, 학습지향성 참여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교육방법에 한 만족도, 이용방법에 대한 만족도,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다.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유형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활동지향형 동기가 높을수록 교육내용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 부모를 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발달장애인 부모 175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

      이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 부모를 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발달장애인 부모 175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를 조사한 결과 활동지향성 참여 동기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목표지향성 참여 동기, 학습지향성 참여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교육방법에 한 만족도, 이용방법에 대한 만족도,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다.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유형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활동지향형 동기가 높을수록 교육내용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한국교육개발원 2014

      2 이기환, "평생교육학습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 관공서의 평생교육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3 은주희,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참여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한국교육방법학회 25 (25): 479-499, 2013

      4 이내빈,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송소현, "특수학교 기반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지원 모형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11

      6 장은숙,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문제점 및 활성화 과제" 29 (29): 119-139, 2008

      7 민들례, "중년여성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만족도의 관계" 14 (14): 73-82, 2014

      8 김대명,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주도학습이 프로그램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육서비스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여성연구소 25 (25): 1-40, 2015

      9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3~17)" 교육부 2013

      10 박노동, "장애인 평생학습 활성화방안 연구" 대전발전연구원 2011

      1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한국교육개발원 2014

      2 이기환, "평생교육학습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 관공서의 평생교육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3 은주희,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참여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한국교육방법학회 25 (25): 479-499, 2013

      4 이내빈,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송소현, "특수학교 기반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지원 모형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11

      6 장은숙,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문제점 및 활성화 과제" 29 (29): 119-139, 2008

      7 민들례, "중년여성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만족도의 관계" 14 (14): 73-82, 2014

      8 김대명,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주도학습이 프로그램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육서비스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여성연구소 25 (25): 1-40, 2015

      9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3~17)" 교육부 2013

      10 박노동, "장애인 평생학습 활성화방안 연구" 대전발전연구원 2011

      11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12 정인숙,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5

      13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 5. 25. 법률 제 8483호 신규제정)"

      14 장춘명, "여성평생교육 참여자의 사회교육프로그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15 김나영,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 11 (11): 958-968, 2011

      16 류정무, "스포츠 심리학" 믿음사 1990

      17 박나연,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동기별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북 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18 최은수, "성인학습자의 주민자치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 1 (1): 55-75, 2005

      19 윤점룡, "성인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모형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0

      20 김봉옥, "성인기혼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과 교육 참여 동기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중규모도시지역 여성교육기관 중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1 이석진, "성인 평생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65-193, 2015

      22 강순원, "서울형 장애성인 평생교육 운영 모형 개발" 서울특별시교육청 2011

      23 김두영,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에 관한 부모의 요구" 함께가는 서울장애인 부모회 2015

      24 김경열, "발달장애 아동의 학령기이후 교육참여에 관한 학부모심층면담"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1-21, 2012

      25 유장순, "발달장애 대학생의 여가활동 실태 및 선호도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75-94, 2009

      26 권인탁, "대학평생교육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소 11 (11): 139-164, 2013

      27 이희정,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19): 67-108, 2011

      28 임영희, "대학 평생교육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 동기, 프로그램 만족도, 행복감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7 (7): 45-66, 2012

      29 권대봉,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담당자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원격교육연구소 9 (9): 55-79, 2013

      30 전명수, "노인 평생교육 참여 동기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3

      31 김미란,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 동기 및 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13

      32 박선향, "고등교육 소외계층의 평생학습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33 김정재, "경상남도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및 지원방안 연구" 경상남도교육연구정보원 2009

      34 Houle, "The inquiring mind: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35 Merriam, S. B., "Learning in adulthood. A comprehensive guide" Jossey-Bass 1999

      36 Smith, D. H., "Handbook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246-259, 1989

      3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38 국립특수교육원, "2014 특수교육 실태조사" 국립특수교육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