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장동료와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일기쓰기활동이 자폐성장애 근로자의 화장실 위생 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Diary Writing Activity based on Interactions with Co-Workers on the Bathroom Hygiene Management Skills of Work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4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diary writing activity based on interactions with co-workers on the bathroom hygiene management skills of work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do so, the study selected three work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had worked part-time in a kimchi packaging factory for 5 months after graduating from the majoring course of special-education schools as study subjects. The experiment environment was composed of the bathroom and lounge in the workplaces they worked and the experiment design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one of the techniques of single subject research. The experiment conditions accordingly wer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intervention program carried out the diary writing activity through the indirect and direct interactions of research subjects with co-workers. Also, the subject matter of such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ons were based on the emotional status and situations of co-workers, when the study subjects performed the bathroom hygiene management skills they targeted in a positive and wrong response each. The bathroom hygiene management skills that were applied as 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a total of 10 behaviors, which were work-related rules that all employees had to fulfill in the workplaces that the study subjects worked. Next, the procedures of data measurement, interobserver reliability, intervention integrity, and social validity for the calculation of research results.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tudy subjects effectively acquired the targeted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maintained the performance of targeted behavior at a completely positive response level 3 week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 program ended. Finally, this research made a discussion and proposal by focusing on the functional values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diary writing activity based on interactions with co-workers on the bathroom hygiene management skills of work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do so, the study selected three workers with au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diary writing activity based on interactions with co-workers on the bathroom hygiene management skills of work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do so, the study selected three work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had worked part-time in a kimchi packaging factory for 5 months after graduating from the majoring course of special-education schools as study subjects. The experiment environment was composed of the bathroom and lounge in the workplaces they worked and the experiment design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one of the techniques of single subject research. The experiment conditions accordingly wer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intervention program carried out the diary writing activity through the indirect and direct interactions of research subjects with co-workers. Also, the subject matter of such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ons were based on the emotional status and situations of co-workers, when the study subjects performed the bathroom hygiene management skills they targeted in a positive and wrong response each. The bathroom hygiene management skills that were applied as 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a total of 10 behaviors, which were work-related rules that all employees had to fulfill in the workplaces that the study subjects worked. Next, the procedures of data measurement, interobserver reliability, intervention integrity, and social validity for the calculation of research results.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tudy subjects effectively acquired the targeted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maintained the performance of targeted behavior at a completely positive response level 3 week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 program ended. Finally, this research made a discussion and proposal by focusing on the functional values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직장동료와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일기쓰기활동이 자폐성장애 근로자의 화장실 위생 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전공과 졸업 이후 5개월째 김치포장 공장에서 파트타임으로 근무를 하고 있는 자폐성장애 근로자 세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다. 실험 환경은 연구 대상들이 근무하고 있는 사업체 내의 화장실과 휴게실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설계는 단일상연구의 기법 중 하나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다. 이에 따른 실험 조건은 기초선, 중재, 유지와 같이 세 가지로 이루어졌다. 중재프로그램은 연구 대상이 직장동료와의 직․간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일기쓰기활동을 전개하는 절차로 실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직․간접적인 상호 작용의 소재는 연구 대상이 목표행동인 화장실 위생 관리기술을 정반응과 오반응으로 각각 수행하였을 때 직장동료가 갖는 감정 상태와 상황에 기초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사용된 화장실 위생 관리기술은 연구 대상이 근무하는 사업체에서 모든 직원들이 번갈아가면서 수행해야 할 직무규칙으로써, 총 10가지의 행동 목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의 산출과 관련하여 자료 측정,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 충실도, 사회 타당도의 절차가 수반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을 통하여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의 적용이 종료된 지 3주가 지난 시점에서 역시 목표행동의 수행을 완전한 정반응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 갖는 기능적 의의를 중심으로 논의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직장동료와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일기쓰기활동이 자폐성장애 근로자의 화장실 위생 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전공과 졸업 이후...

      본 연구는 직장동료와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일기쓰기활동이 자폐성장애 근로자의 화장실 위생 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전공과 졸업 이후 5개월째 김치포장 공장에서 파트타임으로 근무를 하고 있는 자폐성장애 근로자 세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다. 실험 환경은 연구 대상들이 근무하고 있는 사업체 내의 화장실과 휴게실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설계는 단일상연구의 기법 중 하나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다. 이에 따른 실험 조건은 기초선, 중재, 유지와 같이 세 가지로 이루어졌다. 중재프로그램은 연구 대상이 직장동료와의 직․간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일기쓰기활동을 전개하는 절차로 실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직․간접적인 상호 작용의 소재는 연구 대상이 목표행동인 화장실 위생 관리기술을 정반응과 오반응으로 각각 수행하였을 때 직장동료가 갖는 감정 상태와 상황에 기초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사용된 화장실 위생 관리기술은 연구 대상이 근무하는 사업체에서 모든 직원들이 번갈아가면서 수행해야 할 직무규칙으로써, 총 10가지의 행동 목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의 산출과 관련하여 자료 측정,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 충실도, 사회 타당도의 절차가 수반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을 통하여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의 적용이 종료된 지 3주가 지난 시점에서 역시 목표행동의 수행을 완전한 정반응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 갖는 기능적 의의를 중심으로 논의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정보서 발간 사업(2013~201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2 박혜성,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생활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한국자폐학회 14 (14): 65-92, 2014

      3 안의정,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에 관한 상사의 경험 및 인식" 한국자폐학회 14 (14): 53-80, 2014

      4 김영준, "직장동료교수를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지적장애 근로자의 청결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31 (31): 95-126, 2015

      5 나용기, "직장동료가 판단하는 장애인의 직업적 성공 요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6 강현지,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일기에 나타난 문장 특성"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7 배현정, "지적장애인의 임파워먼트와 적응행동능력에 관한 연구 : '동그라미'사례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8 김태진,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4

      9 김형일, "전환교육의 이해와 실행" 교육과학사 2013

      10 이익동, "장애학생의 고용성과향상을 위한 특수학교-기업체연계 직업전환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서장애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11 (11): 97-120, 2011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정보서 발간 사업(2013~201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2 박혜성,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생활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한국자폐학회 14 (14): 65-92, 2014

      3 안의정,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에 관한 상사의 경험 및 인식" 한국자폐학회 14 (14): 53-80, 2014

      4 김영준, "직장동료교수를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지적장애 근로자의 청결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31 (31): 95-126, 2015

      5 나용기, "직장동료가 판단하는 장애인의 직업적 성공 요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6 강현지,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일기에 나타난 문장 특성"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7 배현정, "지적장애인의 임파워먼트와 적응행동능력에 관한 연구 : '동그라미'사례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8 김태진,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4

      9 김형일, "전환교육의 이해와 실행" 교육과학사 2013

      10 이익동, "장애학생의 고용성과향상을 위한 특수학교-기업체연계 직업전환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서장애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11 (11): 97-120, 2011

      11 김지선, "장애인과 자원봉사자의 관광경험 분석 :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12 박은영, "자폐인의 직업유지 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207-226, 2007

      13 조인수, "자폐인의 지원고용 대책에 관한 연구" 6 : 61-78, 1996

      14 방명애, "자폐아의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전략" 15 (15): 183-203, 1999

      15 방명애, "자폐아동의 인지특성과 교수전략" 16 (16): 139-157, 2000

      16 강수균, "자폐아 언어치료" 대구대학교출판부 2011

      17 임경원, "자폐성 장애인의 직업재활 관련 요인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 한국직업재활학회 21 (21): 43-70, 2011

      18 임경원, "자폐성 장애인의 직업유지 요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5

      19 이소현,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자기관리 전략 사용에 대한 국내외 연구 고찰" 한국자폐학회 13 (13): 97-118, 2013

      20 이숙향,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과 성인의 직업교육 및 고용지원을 위한 중재 요소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167-193, 2012

      21 강미정, "일기지도 중재가 경도 지적장애아동의 언어표현 활동에 미치는 효과"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5

      22 김정아,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상호작용 전략이 토론 메시지와 문제해결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3 이용기, "워드프로세서 활용 일기쓰기 훈련이 발달장애 아동의 문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24 이예경, "온라인 토론에서의 간접적 상호작용의 수준과 비판적 사고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퍼듀대학교 대학원 2009

      25 강유진,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이 자폐 범주성 장애 성인의 직장 내업무 독립수행율 및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5 (15): 23-48, 2015

      26 우규연,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일기쓰기 중재가 지체장애 중․고등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7 송승민, "스마트 폰 앱 기반의 직업교육이 자폐스펙트럼장애 고등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353-375, 2014

      28 정운용, "생활중심 전환교육이 자폐학생의 직업적응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9 최선희, "생활일기를 통한 언어지도가 경도지적장애학생의 글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2

      30 정현정,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직업기술 교수가 중도장애 학생의 제과점 진열하기 직무수행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1 지경민, "마인드맵을 활용한 독서 일기 지도가 지체장애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2 이영철, "마인드맵을 통한 일기 쓰기지도가 정신지체 학생의 국어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69-91, 2009

      33 홍성란, "마인드 맵을 통한 일기쓰기 지도가 초등학교 쓰기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 및 일기쓰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4 김영준, "다중교수접근 직업훈련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직무 및 자기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3

      35 황윤의, "나도 오늘 출근합니다" 학지사 2012

      36 허미진, "그림일기를 통한 언어지도가 청각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7

      37 이경민, "그림일기를 이용한 통합적 언어활동이 경도지적장애아동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1

      38 오만록, "교육사회학" 정민사 2015

      39 이금옥, "고기능 자폐 성인의 사무보조직 수행에 관한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40 이한별,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쓰기발달 중재를 위한 텍스트지식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6

      41 조인수, "개별화 전환교육계획을 위한 전환사정" 대구대학교 출판부 2010

      42 Graham, S., "Writing next: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Writing of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 Report to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Alliance for Excellent Education 2007

      43 Graham, S., "Writing Better: E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Brookes Publishing Company 2005

      44 Olson, D. R., "The quotation theory of writing" 31 (31): 4-26, 2014

      45 Silio, M. C., "The effects of word prediction and text-to-speech technologies on the narrative writing skills of Hispanic students with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25 (25): 17-32, 2010

      46 Prater, M. A., "Teaching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mild to moderate disabilities" Allyn and Bacon 2007

      47 Gray, C., "Teaching children with autismi strategies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socialization" Delmar 219-241, 1995

      48 Fredrickson, B. L., "Positive emotions broaden the scope of attention an thought-action repertories" 19 (19): 313-332, 2005

      49 Butterworth, J., "Natural supports in the workplace : Defining an agenda for research and practice" 21 (21): 103-113, 1996

      50 Witt, M. A., "Job Strateg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eterson’s Guides 1992

      51 Dunn, R., "Impact of Learning-Style Instructional Strategies on Students’Achievement and Attitudes : Perceptions of Educators in Diverse Institutions. A Journal of Educational Strategies" 82 (82): 135-140, 2009

      52 Bouck, E. C., "Functional curriculum models for secondary students with mild mental impairment" 44 (44): 435-443, 2009

      53 Burke, R. V., "Evaluation of two instruction methods to increase employment options for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31 (31): 1223-1233, 2010

      54 Machalicek, W., "Effective practices for children with autism: educational and behavioral support interventions that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269-298, 2008

      55 Brolin, D. E., "Career development and transition services: A functional life skills approach" Merrill/Prentice Hall 2004

      56 Feldman, D., "Beyond the classroom : writing as therapy" 24 (24): 93-104, 2011

      57 Beukelman, D. 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ing children and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Paul H. Brookes 2013

      58 Sitlington, P. L., "Assess for success: A practitioner’s handbook on transition assessment" Corwin Press 2007

      59 Howlin, P., "An 8 year follow-up of a specialist supported employment service for high-ability adults with autism or asperger syndrome" 9 (9): 533-549, 2005

      60 Cannella-Malone, H. I., "Access! teaching writing skill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47 (47): 272-280,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